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뱃 멀미, 차 멀미, 비행기 멀미 등 멀미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멀미는 불규칙한 움직임이나 시각이 감지하는 움직임과 실제 몸의 움직임이 다를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귓속에 있는 내이의 반고리관에서 림프액이 뇌의 구토 중추로 전달됩니다. 그러면서 멀미를 하게 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0
0
0
철에 녹은 어떻게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녹이 스는 이유는 공기중에 산소와 반응을 하기 때문입니다.철이 녹이스는것은 산화돼었다고 표현하죠. 철의 표면에 공기 중 산소와 맞닿으며 반응을해 산화철이됩니다. 산화철이 되면서 녹이 스는것이죠. 습할 경우에는 물이 철을 이온화시키는데 이로인해 철이 더욱 빨리 산화됩니다. 산화 된 철은 붉으스름해집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0
0
0
새벽에 2~3시보다 5~6시가 더 추운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해가 뜨기전이 가장 춥습니다. 이유는 대기의 온도와 지면의 온도에 있습니다.낮에는 햇빛으로 대기와 지면이 따뜻하게 데워집니다. 그런데 해가 저물면서 대기와 지면이 식기 시작하죠. 그런데, 대기와 지면은 곧바로 차가워지는것이 아니라 열을 품는 능력이 있어서 서서히 차가워집니다. 그리고 대기는 지면보다 비교적 더 천천히 식습니다. 이렇게 대기와 지면은 해가 뜨기 전까지 계속 식습니다. 그래서 해가 뜨기전에 가장 춥죠. 그리고 대기 덕분에 햇빛이 없는 밤에도 극심한 추위를 모면할 수 있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0
0
0
과학적으로 태풍의 눈속은 진짜 고요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태풍의 눈은 맑은 날씨입니다. 태풍의 저기압에 의해 바람이 들어오며 중심 부근에서는 상승기류가 형성되는데, 이 상승기류가 반경을 가지고 생겨납니다. 그래서 상승기류는 태풍의 중심에 바람이 불어 들어가지 못하게 벽 역할을 해주는것이죠. 이런 이유로 태풍의 눈은 고요하며 맑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0
0
0
모자 쓰고 나가도 비타민D 합성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자를 쓰셔도 몸에 노출된 부위가 있으면 합성이 가능합니다! 또한, 모자를 쓰더라도 얼굴에 자외선이 닿으니 얼굴에서도 어느 정도 합성이 일어납니다.비타민 D는 자외선에 의해 합성됩니다. 우리 몸에 있는 7-드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자외선으로 인해 프리비타민 D3로 전환이되고, 프리비타민 D3는 태양열을 받아 비타민 D가 됩니다. 햇빛을 쬐면 기분도 좋아지고 비타민D도 많이 합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주일에 2~3회정도 하루 10분에서 20분정도 쬐는게 가장 좋을듯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0
0
0
전기영동할 때 buffer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DNA나 단백질의 전기영동을 위해서 물을 넣으면 전기영동을 확인하기가 사실상 어렵죠. 물때문인지 DNA나 단백질의 전기영동에 의한것인지 분간이 안됩니다. 왜냐하면 물은 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이기 때문이죠. 전기영동을 위해 전기가 잘 통하지 않으며 DNA나 단백질을 안정화 시켜주는 buffer를 넣어주는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0
0
0
황이 바다에서 대기로 이동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황은 바다에서 Na2SO4, MgSO4, CaSO4, K2SO4 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바닷물에 살고 있는 플랑크톤, 미역, 해초 등은 앞선 것들을 체내로 흡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많은 플랑크톤과 미역, 해초 등이 죽으면서 분해되어 황을 포함하고 있는 디메틸설페이트과 같은 가스를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이 황이 대기중으로 이동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0
0
0
과학적으로 김치를 많이먹는다고 제몸에서 마늘냄새가 많이 날 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김치에 마늘이 들어간다면 김치를 많이 먹으면 냄새가 고약해질 수 있습니다.마늘에는 '알린'이라는 황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알린은 우리 몸에서 배출되는 노폐물인 땀 냄새를 심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마늘을 많이 먹거나 마늘이 들어간 김치를 먹게되면, 알린이라는 성분 때문에 냄새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도, 평소 잘 씻고 깨끗하게 다니면 냄새가나는지 분간을 하기 어렵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0
0
0
물체가 움직이지 않으면 힘은 0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벽에게 작용하는 힘의 총 합은 0이 됩니다.힘은 움직이지 않아도 작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지구 위에 정지해 있는 동안 지구의 질량과 우리의 질량 사이에 만유인력이라는 힘이 존재하죠. 그리고 땅이 우리를 떠받치는 힘(수직항력)이 존재합니다. 이 두 힘이 평형을 이뤄 우리가 정지해 있는것이죠. 즉, 정지해 있는 동안 작용하는 힘이 있지만 전체적인 힘의 합은 0이 됩니다. 만약 힘의 합이 0이 아닌 값을 갖는다고하면 우리는 힘에 의해 가속 운동을 하게됩니다.벽을 밀려고해도 벽이 밀리지 않는 이유는 벽의 기준으로 힘의 총합이 0이 되기 때문입니다. 벽은 구조물로 고정되어있으며 우리가 미는 힘을 받기도하지만 고정된 부분에서 밀리지 않는 힘을 받기도 합니다. 그래서 전체적인 힘의 합이 0이 되는것이죠.힘(force)는 질량(mass)과 가속도(acceleration)의 곱으로 정의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0
0
0
서로다른 재질의 금속을 전기분해로 분리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리와 니켈이 각각 섞인 경우 전기분해로 분리해 내는 연구도 있으며, 전해액을 넣어 침전시키는 방법으로 분리해 내는 연구도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0
0
0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