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달달한 너구리
달달한 너구리
22.09.20

철에 녹은 어떻게 생기는 건가요?

단순히 철에 물이 묻고 오래 되면 녹이 슨다고는 알고 잇는데

어떤 원리로 녹이 생기는지는 생각해본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녹은 왜 생기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09.20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은 산소와 결합을 잘 합니다. 녹이 발생 한다는 것은 산소와 결합하여 화학적으로 산화된다는 것입니다. 산화되면 분자구조가 깨지고, 변형되어 물질의 구조가 깨집니다. 하여 철에 생기는 녹은 대기중의 산소나 물속의 산소와 철이 결합하여 산화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이 스는 이유는 공기중에 산소와 반응을 하기 때문입니다.

    철이 녹이스는것은 산화돼었다고 표현하죠. 철의 표면에 공기 중 산소와 맞닿으며 반응을해 산화철이됩니다. 산화철이 되면서 녹이 스는것이죠. 습할 경우에는 물이 철을 이온화시키는데 이로인해 철이 더욱 빨리 산화됩니다. 산화 된 철은 붉으스름해집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훈식 박사입니다.

    철은 원소기호 Fe 입니다. 철이 산화되어 산화철이 되면 표면에 산화철 로 변학0 됩니다. 일종의 화학반응 입니다. 철은 사람에게 사용하기 편리하고 충분히 강도도 있고 연성도 있어서 많이 시용하는데, 문제는 반응성이 어느정도 있다보니까 표면에 도금을 하여, 아연도금처럼... 보호를 하거나 페인트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관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이 녹스는 원리는 물이 묻게되면 주변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철을 만듭니다.


    이러한 산화철들이 녹이라고 불리웁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에 녹이 생기는 이유는 산화반응 때문입니다.

    물의 구성 성분은 수소 2개, 산소1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원자기호로는 H2O입니다.

    이중 산소가 녹을 생기게하는건데 철이 산소와 산화결합 하면서 산화철이 생성이 되는데 이 산화철이 우리가 말하는 녹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아니더라도 대기중에서도 철은 부식이된답니다.


    철이 녹(부식)이 생기는 이유는, 철은 이온화경향성이 큰 금속입니다. 대표적으로 알루미늄, 니켈 등이 있는데 이러한 금속들은 산소를 만나 산화반응을 무척 잘 일으킨답니다.


    철은 +2가, +3가가 되어 산소와 결합하고 이것들이 녹이 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주위의 많은 물체는 공기와 접촉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산소에 의해 산화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철 또한 주위의 산소에 의해 산화현상이 일어나면서 녹이 생기게 됩니다.

  • 녹은 산소와의 결합에 의해 생기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산소를 차단하기 위해 진공 중에 보존하거나, 기름이나 도료 등을 칠하면 녹이 생기지 않습니다.

    산소는 반응성이 매우 큰 물질이고 주변 물질을 산화시키게 됩니다.

    녹은 산소가 철을 산화시켜서 나오는 산화물의 일종입니다.

  • 안녕하세요.

    녹슨 부위의 짙은 황색은 산화철이라는 물질입니다.

    이것은 철이 산소와 물을 만났을때, 아주 느리게 반응하면서 철이 산화철로 변하는것입니다.

    따라서 녹을 방지하는 간단한 방법은 수분을 피하게 하는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