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형광듬의 발열온도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형광등의 발열이 있고 따뜻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발열하는 형광등의 온도가 최대 36도 정도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주변의 물질을 태우거나 녹일만한 온도를 행사하지 않죠. 그러니 큰 걱정안하셔도 좋을거 같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9
0
0
간지러울때 긁으면 왜 시원할까여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피부가 가려운 이유는 모기에 물리거나 세균 감염, 상처 치유, 건조함 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에의해 피부의 신경이 작은 자극을 받게되는데 이게 가려움으로 느껴지는것입니다. 마치 우리가 손 끝으로 피부를 살살 만지는 간지러움처럼 말이죠. 간지러운 부위는 기본적으로 작은 자극을 받고 있는 부위입니다. 그리고 이 자극은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해주죠. 그런데, 우리가 간지러운 부위를 긁게되면 작은 자극이 아닌 큰 자극이 됩니다. 그리고 큰 자극이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며 작은 자극의 신호를 없앱니다. 그러면서 간지러움이 사라지는것이죠. 그래서 시원한것이구요. 그런데, 긁고나서(큰 자극을 주고나서) 몇 십초 뒤면 다시 작은 자극(가려움)의 신호가 전달돼 다시 가려움을 느낀다고합니다. 그래서 긁는것보다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9
0
0
음식들이 익으면서 수축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기나 음식을 굽게 되면 근섬유, 섬유 조직 및 결체조직(섬유)이 감축이 일어납니다. 고기는 근섬유로 이루어져 있고 열을 받게 되면(온도가 올라가면) 수축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고기를 구워 익히면 생고기일때보다 크기가 작아지죠. 또한, 고기 내에 수분이 빠지면서 크기가 작아지는 요인도 작용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9
0
0
실제 자연에서 하디바인베르크 법칙을 만족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하디바인베르크 평형상태는 자연에서 만족됩니다. 자연에서 발생되는 현상을 관측하여 법칙을 만들었기 때문에 현 자연에서 하디-바인베르크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죠. 또한 이 평형상태 기술하기 위해 수학적으로도 증명을 하였죠.그렇지만 법칙이 그렇듯 항상 만족하는것은 아닙니다. 이 법칙이 만족되기 위해서는 몇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큰 개체군 집단, 무작위 교배, 돌연변이나 이주가 없음, 자연선택 적용 안됨, 집단간의 유전자 흐름이 없다 등의 조건이 필요하죠.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의 부분계에서는 하디바인베르크의 평형상태에 도달하게 됩니다. 물론, 자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앞의 나열된 조건이 만족하리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근사적으로 상태에 도달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9
0
0
가을 하늘이 유독 맑은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부터 이해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왜냐하면 가을이 되면서 양쯔강 기단의 영향을 받아 건조한 대기 상태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건조한 대기로 인해 공기중에 수증기나 미세먼지의 양이 다른 계절에 비해 상당히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깨끗한 가을 하늘의 높은 곳에서부터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이 보이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9
0
0
녹은 아이스크림은 다시 얼리면 원래 상태의 아이스크림이 왜 안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기 아이스크림을 제조할 때 아이스크림의 부드러운 식감을 위해 공기의 주입이 있습니다. 이를 오버런이라고 합니다. 오버런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아이스크림은 진한맛과 부드러운 식감을 가지고 있죠. 그런데 이 아이스크림이 한번 녹으면 아이스크림 사이사이에 있던 기포(오버런)가 사라져버리게 됩니다. 그리고 다시 이 아이스크림을 얼리면 이전과 같은 식감, 맛이나 부드러움을 느낄 수 없는 것이죠. 그리고 녹았던 아이스크림이 상온에 많이 노출돼 있을 경우에는 상할 우려도 있습니다. 그래서 웬만하면 녹았던 아이스크림을 다시 얼려서 안드시는게 좋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9
0
0
태풍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태풍의 강도는 수증기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에도 강한 태풍이 올 수 있으며, 태풍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때 강한태풍이 됩니다. 그런데 여름, 가을 경 특히 9월에는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이로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수증기량이 많아져 강한 태풍이 만들어 지는것이죠.태풍 이름은 그 국가에 영향을 미칠만한 태풍에 이름을 붙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지난 태풍들의 이름은 우리에게 친숙한 이름들이죠. 태풍 이름은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가 각 조 28개씩 5개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 5조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합니다. 140개를 모두 사용하고 나면 1번부터 다시 사용하죠. 태풍이 보통 연간 약 25개 정도 발생하므로 전체의 이름이 다 사용되려면 약 4∼5년이 소요되죠.참고로 이전 태풍 힌남노는 라오스에서 제출한 명칭입니다. 라오스 캄무안주에 있는 국립보호구역의 이름을 따서 태풍의 이름을 붙인것이지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9
0
0
오로라는 어떻게 형성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하전입자)에 의해 대기에 있는 분자, 원자와의 충돌로 예쁜 오로라가 만들어집니다.하전입자는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주선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인 우주선이 지구로 들어오는데 이때 전하를 띠고 있으면 지구 자기장에의해 나선운동을 합니다. 그리고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에서 나선운동이 강하게 일어나죠. 나선운동을 하며 대기에 있는 기체와 부딪히며 빛을 발하는데 이를 오로라라고합니다.빛이 나는 원리는 기체 분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외부 우주선과의 충돌로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려고 낮은 에너지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손실되는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 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9
0
0
호랑이와 사자가 새끼를 낳으면 그 새끼는 왜 생식능력을 잃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러한 교배가 정상적인 교배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수컷의 경우 생식능력이 없지만 암컷의 경우는 생식능력이 있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생식능력이 없는것에 대해서는 현재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며 연구중이라고 하며 성염색체의 결핍으로 인해 수컷의 생식능력이 없다는 설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9
0
0
우주여행은 언제쯤 가능하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막 우주에 대해 첫걸음을 뗀 단계입니다. 아직은 유인우주선에 대한 계획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유인우주선을 이용해 우주 탐사를 다녀오고 난 뒤 차차 안정화 과정을 거쳐 우주 여행에 대한 계획도 세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9
0
0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