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소독약을 바르면 왜 거품이 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독약에는 과산화수소 (H2O2)가 포함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이 과산화수소는 물 (H2O)에 비해 굉장히 불안정한 분자입니다.이 과산화수소가 들어있는 소독약을 상처부위에 발라주게 되면, 피에 있는 카탈라아제라는 촉매제 때문에 과산화수소가 물과 산소로 급격하게 분해합니다. 여기서 발생한 산소 기체로인해 거품이 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8
5.0
1명 평가
0
0
자동차의 성능중 토크와 출력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질문자님께서 생각하신대로 최고 출력과 최대 토크는 거의 동일한 성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도심지에서는 최고 출력과 최대 토크를 낼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고사양이 꼭 필요한것은 아니죠. 질문자님께서 고려하시는 부분에 초점을 맞춰 구매하시면 됩니다. 연비나 소음 등을 고려한다고하면 좋은 연비와 소음이 잘 잡힌 차량을 구매하면 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8
0
0
오늘 난마돌 태풍영향이 있는 날인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기의 수증기량이 늘고, 노을이 형성되어 그렇습니다. 노을은 해질 무렵, 태양이 지평선에 놓일 때 태양 빛이 지구의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온 빛을 보게됩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은 우리눈에 도달하기전에 산란되어 흩어져 버리고, 파장이 긴 빛들 빨강, 주황, 노랑 등의 빛은 산란되지않고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노을이 노랗고 붉게 보이는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가을 하늘이 높다는 말은 과학적으로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고 파랗게 보이는 것이죠. 우주에는 빛이 산란할만한 기체가 없는 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6g도 이제 개발을 하는듯 한데! 그 원리는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LTE, 5G, 6G 는 인터넷 속도의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5G는 20Gbps(giga bits per second) 로 초당 20Gb 전송이 가능합니다.6G는 1Tbps 로 초당 1Tb(=1000Gb) 전송이 가능합니다.6G는 5G에 비해 50배나 빠른 전송속도를 가지고 있죠.그리고 이러한 속도 향상이 가능한 이유는 주파수, 통신, 전기 등의 기술의 발달로 가능하게 된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8
0
0
구름한점 없는 가을 하늘은 왜 파란색 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고 진하게 보이는 것이죠. 우주에는 빛이 산란할만한 기체가 없는 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차가운 물건에 손을 가져다대면 달라붙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건조하고 추운 겨울에는 차가운 물건에 손이 붙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공기중에 수증기가 거의 없긴 하지만 존재하고 있으며, 땀구멍이나 세포에서 수분이 조금씩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찬 물건을 만지게 되면 미량의 수분이 얼어붙어 달라붙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18
0
0
‘카본’ 이라는 성분은 자연에 있는 성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카본은 탄소(C)로 탄성도와 강도가 높고, 가벼우며, 내열성, 전기 전도성이 매우 우수한 물질입니다. 이러한 카본은 자연에서 채취할 수 있는 광물입니다. 그리고 카본은 그래핀, 탄소 나노 튜브, 다이아몬드 등으로 원자의 구조와 배열에 따라 다른 특성으로 나타납니다. 카본은 보통 6각형의 구조로 배열을 이룹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8
0
0
레이저관련 기술이 우리나라는 어느 수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레이저와 관련하여 과학적인 연구, 군사적인 연구 지속적으로 계속 발전해 나가는 중입니다. 현재 레이저 무기에 대한 발달 현황은 국가적으로도 기밀 사항이기 때문에 알기 어렵습니다. 다만 뉴스나 기사에서 언급된 레이저 기술로는 레이저를 사용해 비행체를 태우거나 엔진을 폭파시키는게 가능한 정도로 개발되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8
0
0
실제로 전자파는 인체에 많이 유해한 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은 마그넷이나 전자파가 나오긴 하지만 인체에 유해할 정도의 전파가 방출되지는 않습니다. 스마트폰을 제작할 때에도 안전규정을 지키며 생산하기 때문에 큰 걱정은 안하셔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또한, 전선이나 tv, 컴퓨터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인체에 유해할 정도의 전파는 방출되지 않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8
0
0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