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제임스웹 관련 문제점이 발견됬다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제임스 웹이 미소 유성체, 즉 유성진(작은 암석 입자)과 충돌을 했는데, 예상보다 타격이 컸다고 하죠. 유성진과의 충돌은 예상했지만 이번 충돌의 타격은 예상 범위를 벗어난것이라고 합니다. 충돌은 관측시 사용되는 18개의 거울 중 하나에 충돌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부분은 하드웨어 부분의 타격이기 때문에 수리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NASA 입장에서 밝히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능이 저하 되겠지만 지속적으로 최선을 다해 성능을 극대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비누 자체가 단백질을 녹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누가 피부의 단백질을 녹인다기보다 피부의 가장 바깥 쪽 세포 외곽에 놓인 때가 녹는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비누는 알칼리성으로 단백질을 녹일 수 있는 성분이 들어있습니다. 하지만 알칼리성이라고해서 모든 단백질을 녹이는것이 아닙니다. 피부의 가장 바깥 쪽 세포 외곽에 있는 얇은 단백질인 때 만을 녹이게 되죠. 그리고 이 때가 녹으며 미끌거림을 느끼는 것입니다. 그러니 너무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비누에도 센 비누와 약한 비누가 있는데, 피부가 얇으신 경우에는 순한 비누를 사용하시길 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8
0
0
전기를 맨처음 발견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리스에서 한 철학자는 호박(보석 종류, 화석 종류)을 헝겊으로 닦다가 먼지가 자꾸 달라 붙는 현상을 발견하였습니다. 이상한 현상을 목격한 철학자는 전기라는 새로운 용어를 쓰기보다 호박에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해석하였습니다. 이것이 인류가 전기를 발견한 첫 사건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철학자의 이름은 탈레스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8
0
0
고래는 바다에 사는데 왜 포유류로 되어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포유류는 새끼를 낳고, 새끼에게 젖을 통하여 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동물을 의미합니다. 고래는 새끼를 낳으며 젖을 먹이기 때문에 포유류에 속합니다. 물고기는 새끼가 아닌 알을 낳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8
0
0
이론만 본다면 지구만 뚫고 아래로 지나가면 북극에서 남극으로 갈 수 잇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공기 저항만 무시한다면 이론적으로 가능합니다. 북극점에서 남극점으로 정확하게 지구중심을 지나게 뚫으면 북극점에서 폴짝 뛰어 남극점에서 폴짝 나올 수 있습니다. 단 공기저항이 없어야 가능한 일이죠. 만약 공기저항이 있다면 남극점에 도달하기전에 방향을 틀게 되는데, 다시 북극점으로 향하다가 도달하지못하고 턴을 하여 다시 남극점으로 향하기를 반복합니다. 즉, 감쇠 진동(진동 간격이 줄어드는 진동)을 하게되죠. 그래서 시간이 지나고는 지구 중심에 갇힐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공기 저항과 같은 마찰이 없어야 가능한 일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햇빛에 피부가 검게 타고 벗겨지는 것은 어떤 이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피부가 타거나 손상되는것은 에너지가 강한 빛인 자외선 때문입니다.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멜라닌세포를 죽여 검게 되고, 피부껍질이 벗겨질수도 있습니다. 또한 심한 경우에는 피부암에 걸릴수도 있죠.자외선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깊게는 피부->표피->기저세포 까지 침투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8
0
0
세계 최초의 휴대전화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세계 최초의 휴대폰은 1973년에 motorola에서 근무하던 마틴 쿠퍼 박사와 그의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그때의 휴대폰 무게는 850.5g이었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8
0
0
태양은 자신의 정가운데를 자전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자신의 중력과 여러 행성들의 무게중심을 자전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도 태양계의 행성들과 비교했을 때 아주 작은 반경으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태양도 질량을 가진 물체이고 태양계의 행성들도 질량을 가진 물체입니다. 그리고 이들은 질량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고 있죠. 그리고 그 질량 중심은 태양계의 행성들도 질량이 있기 때문에 당연히 태양의 중심은 아닙니다. 그래서 서로서로 복잡하게 얽혀 타원 운동을 하고 있죠. 하지만 태양의 공전 반경은 매우 작습니다. 이유는 태양의 질량이 태양계의 99.85%정도 차지하기 때문이죠. 거의 질량중심에 있다고 보셔도 됩니다.태양도 태양계 내에서 공전하고, 또 우리 태양계는 은하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은하 중심에는 블랙홀이나 거대한 별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막대한 중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이 은하 중심을 기준으로 우리 태양계도 공전을 하고 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얼음틀에 물넣고 냉동실 넣으면 몇시간만에 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냉동고의 온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3~5시간 정도면 완전히 얼릴 수 있습니다. 자기전에 얼려두고 자시고 깨어나서 확인해보시면 얼어 있을 겁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8
0
0
차가운 아이스크림을 한꺼번에 많이 먹으면 갑자기 머리가 띵해지는 과학적 원인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찬 물을 빠르게 마시거나, 슬러쉬, 얼음, 아이스크림을 먹게되면 가끔 머리가 띵한 경험을 하셨을 겁니다.찬 물질이 입에 들어오고 그 냉기로인해 모세혈관에서 열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수축하는 반응이 일어납니다. 그리고 다시 이완하는데, 이 때 얼굴에 분포해 있는 뇌의 신경이 자극을 받기 때문에 머리가 띵한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8
0
0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