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왜 태풍은 항상 남해쪽에서 동해로 통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위도 부근은 코리올리 효과를 받는 영향이 큰 위도이기 때문에 편서풍이 불어 남서에서 북동을 향한 바람이 붑니다.코리올리 효과를 설명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태양, 지구를 위에서 바라볼 때 지구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합니다. 그리고 이상황에서 우리가 적도에서 물체를 북극 방향으로 쏘았다고 상상해보죠. 지구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에서 본 관찰자 입장에서는 분명 물체를 북극방향으로 쐈는데 오른쪽으로 휘어서 날아갈 것입니다. 왜냐하면 적도에서 자전속도로 인해 오른쪽으로 운동하려는 관성이 작용하기 때문이죠. 이 관성은 적도에서 자전 속력이 가장 빨라 지구의 북반구보다 강합니다. 이를 코리올리 효과라고 하며, 마치 지구 관찰자의 입장에서 힘을 받는거 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관성력으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북반구에서 태풍이나 배수구에서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지도 바로 이해가 가실겁니다. 태풍이나 배수구의 경우는 위쪽 유체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왼쪽으로 휘며, 아래쪽 유체는 위쪽으로 이동하며 오른쪽으로 휘기 때문이죠. 지구의 자전에 의해, 코리올리 효과에 의한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가을에 산과들에 나뭇잎들이단풍이드는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을 지난 봄에 잎이 돋아나기 시작하고 잎에 있는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합니다.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고 엽록소가 분해되어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항균필름은 어떻게 효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향균 필름의 원리는 구리성분을 함유하여 만들어 바이러스, 균을 제거하는 원리입니다. 바이러스, 균이 구리이온을 영양소로 착각하고 흡수하는데, 실제 영양소가 아닌 구리가 바이러스와 균의 세포막을 뚫어 죽게 만드는 원리이죠. 향균 구리 합금에서 바이러스는 30분 이내 사멸했다는 연구도 존재합니다.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 결과는 구리 합금이나 구리로 만든 물체에서의 결과이므로 향균필름 내에 구리의 성분이 얼마나 함유돼있는지에 따라 수명이 각기 다릅니다. 구리 자체의 향균 효과는 6개월 정도 지속된다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9.18
0
0
봄여름가을겨울 날씨는왜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이 바뀌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지구의 공전궤도면과 수직하게 서있지 않고 기울어진 채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며 남반구가 태양과 가깝게 놓이게 되면 여름, 가장 멀게 놓이게 되면 겨울, 그 중간을 봄과 가을을 맞이합니다.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아 온도가 높아져 뜨거워지는 여름, 태양 에너지를 적게 받아 온도가 떨어져 추워지는 겨울 등으로 계절성이 나타나는 것이죠.날씨는 기단의 영향을 받습니다.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북서쪽에 차고 건조한 기단, 북동쪽에 차고 습한 기단, 남서쪽에 따뜻하고 건조한 기단, 남동쪽에 습하고 따뜻한 기단이 있죠. 계절이 바뀌면서 기단의 세력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온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년 같은시기에 같은 기단이 세력이 강하지만 세력차가 조금씩 나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8
0
0
형광등은 켜질때 왜 깜빡깜빡 거리다가 켜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옛 제품은 점등관과 안정기의 작용에 의해 작동하는 시간이 걸려 형광등이 깜빡거렸습니다. 점등관에서 형광등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조절하는데, 전압이 높을때 전자가 튀어나와 수은 기체와 반응을 통해 자외선이 방출되며 이 자외선이 형광등 내부 표면에 형광물질을 들뜨게해 밝아집니다. 그리고 점등관의 전압 조절로 전자가 튀어나오고 안나오고를 반복하다 켜지게 되는것이죠. 그래서 깜빡거림이 있습니다. 하지만 요새는 바로 켜지는 형광등이 대부분이며 내부 설계가 바뀌었죠.
학문 /
전기·전자
22.09.17
0
0
헬리코박터 균에 대해 문의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러한 균들이 산성에서 살수 있는 이유는 내산성이 있는 유산균이기 때문입니다. 산성 환경에서도 죽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는 유산균이 존재하죠. 그래서 위액의 산성환경을 버티고 장까지 살아갈 수 있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7
0
0
모기약이 어떻게 모기를 죽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곤충, 해충을 죽이는 살충제가 곤충의 몸에 닿게되면 곤충의 신경을 마비시켜 죽입니다. 그리고 살충제는 인체에도 해로울 수 있으니 사용시 꼭 환기를 해주시는게 좋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7
0
0
핸드폰 지문인식은 어떤 원리로 되는거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문 인식 센서로 초음파를 사용하는 원리입니다. 스마트폰에 지문을 등록할때 지문의 울퉁불퉁함을 이용하여 초음파를 쏴 특징을 저장 시켜놓는것이죠. 초음파가 굴곡을 인식해 이미지화 시킨다고 이해하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7
0
0
북극의 얼음이 다 녹는다면 어떤 일이 벌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온난화로 남극과 북극의 눈과 얼음이 계속해서 녹고 있습니다. 북극의 경우 대륙이 없고 빙하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남극은 대륙 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북극의 빙하가 녹게 될 경우 해수면의 상승은 없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왜냐하면 물 위에 얼음이 둥둥 떠있다가 얼음이 녹아도 수위가 안 올라가는 이유와 같습니다. 물은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지는데, 그 부피가 커지는 만큼 수면 위로 뜨기 때문이죠. 하지만 남극의 경우는 다릅니다. 남극은 대륙이며 대륙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이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바다로 유입되면 해수면의 상승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 전체 면적의 70퍼 정도가 바다이며 일부 남극의 얼음이 전부 녹지 않는 이상 해수위의 상승은 미미합니다.눈과 얼음이 녹아 바다로 유입되고 태양 에너지를 받아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해수위가 상승하는 또 다른 조건입니다. 바닷물에 열이 가해지면 운동성이 활발해져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이죠.빙하가 녹아 바다로 유입되며 해수의 온도를 낮추는 요인도 있으며, 이 해수의 온도가 대기의 온도에도 영향을 미쳐 대기의 온도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또한 대기의 온실효과로 여전히 대기의 온도가 어디까지 올라갈지 예측이 어렵죠. 복합적인 요인들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7
0
0
어떻게 태어날때 안가지고 있던털이 몸에서 갑자기 생기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성장하면서 신체 변화를 겪는 것입니다. 사춘기가 왔다고하고 2차성징이 시작됐다고 하죠. 이 때 2차성징이 오면서 호르몬의 분비로 목소리의 변화, 신체의 변화가 생기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7
0
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