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6살딸애가 뻔 한 질문인데 답을 못주겠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우주는 빛이 산란할만한 기체가 없는 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6
0
0
텀블러의 일반적인 수명과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텀블러 내부가 진공처리 된 경우에는 보온 보냉 효과가 2~3년정도 지속된다고 합니다. 보온 보냉 효과는 텀블러 외부와 내부의 열교환을 차단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입니다. 텀블러를 툭툭 쳐보시면 안이 비어있다는 느낌이 드실겁니다. 그 부분을 진공으로 두거나 열 전도성이 낮은 물체를 채워 넣음으로써 내외부의 열교환을 거의 0으로 만들죠. 그래서 보온, 보냉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6
0
0
내진설계는 어떤 원리로 하는거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내진설계로 버틸 수 있는 진도는 7정도까지 버틸 수 있는것이 기준으로 되어있습니다.내진 설계의 원리는 공명 진동수를 없애는데 있습니다.모든 물체에는 공명 주파수가 존재합니다. 공명 주파수는 물체의 재질, 모양, 크기 등과 관련이 있으며 물체를 가장 강하게 진동시킬 수 있는 주파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체를 특정한 진동수를 주어 흔들 때, 떨림의 진폭이 가장 클 때가 공명주파수가 된것인데, 이 공명 주파수에 도달한 물체는 떨림의 진폭으로 인한 뒤틀림을 이기지 못하고 부숴집니다. 이러한 공명 주파수는 지진에 의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지진 흔들림에 괜찮은 소재를 사용하거나 공학적으로 건물을 유연하게 짓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6
0
0
토네이도는 대체적으로 북미에 많이 발생하던데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토네이도는 기체나 유체의 흐름 중 난류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우리 주변에서도 난류가 흔히 발생하지만 상승기류와 강한 바람을 만나지 않는 이상 토네이도가 쉽게 생기지 않습니다. 미국에서는 강한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 난류가 발생해 상승기류를 거대한 토네이도가 자주 생기죠. 우리나라는 상승기류는 있지만 바람이 강하지 않아 토네이도가 거의 발생 안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미국이나 남미 지역권의 경우 강한바람과 상승기류가 발생할 조건이 좋기 때문입니다. 또한 평지가 많아 토네이도가 쉽게 힘을 잃지 않아 더욱 거세질 수 있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6
0
0
물 색(Color) 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이 파란 이유는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의 빛은 투과가 잘되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의 빛이 산란이 잘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산란은 물 분자와 빛과의 상호작용으로 빛의 경로가 뒤틀리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파란 빛이 물분자에 산란되어 여기저기 튀다가 수면밖으로 나와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바닷물이 파랗게 보이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6
0
0
지구안에 핵에대해서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탄생에 있어 현재 과학적으로 이게 절대적으로 맞는것이다 라고 할만한 연구까진 진행된것은 없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가장 각광받는 이론은 빅뱅 이론이죠. 한점에서 폭발하여 우주가 탄생되었다는것이죠. 하지만 이 폭발이 어떻게해서 발생했는지는 아직 모릅니다.지구와 같은 행성들이 태양계 외부에서 날아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것이 아니라면 태양이 만들어지고 태양계 주변에 분포한 물질과 가스등이 중력에 의해 모여 각각의 행성을 형성하였을 것입니다. 이는 번쩍하는 동시가 아닌 오랜 시간에 거쳐 동시에 만들어졌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내부의 핵은 밀도가 높은 물질 철, 니켈, 황, 우라늄 등 무거운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밀도가 높은 물질들로 밀집된 부분이라 중력에 압력이 높은 상태이죠. 또한 핵은 고온 고밀도 상태에서 우라늄과 같은 방사 물질이 핵분열을 하고 있기 때문에 뜨거움이 유지되고 있죠. 이 뜨거운 열기가 지층을 녹이지 못하는 이유는 지구 표면으로 갈수록 온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핵의 열기로 멘틀은 용융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멘틀 외부부터는 지질을 녹일 온도가 되지 못하여 지층이 있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6
0
0
킹크랩은 왜 단미하목에 속하지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킹크랩은 크기가 커 왕게상, 왕게과에 속하여 단미하목으로 분류하지 않았습니다. 단미하목은 몸통의 크기가 1~5cm로 작은 종류의 게들이 속하도록 분류해 놓은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6
0
0
관찰하는 위치에 따라서 달의 모양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지구의 위치에 따라서 달의 크기와 모양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달은 아주 먼 거리에 있기 때문에 그 차이는 무시해도 될만큼 미미하긴합니다. 사람의 눈으로는 분간이 안될 정도의 차이죠. 그래도 아주 정확한걸 좋아하신다면 다르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수치적으로 확실히 다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6
0
0
사람목소리로 유리를 깨는 것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소리는 매질(공기, 물체 등)을 진동시켜 전파해 나갑니다. 그리고 실제로 소리만으로 유리를 깬 사례도 많이 있습니다. 이는 공명 주파수라는 것 때문입니다. 모든 물체에는 공명 주파수가 존재합니다. 공명 주파수는 물체의 재질, 모양, 크기 등과 관련이 있으며 물체를 가장 강하게 진동시킬 수 있는 주파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소리의 높낮이를 변경해가며 유리의 떨림을 관찰하면서 공명 주파수를 찾습니다. 떨림이 가장 강할 때 공명주파수가 된것인데, 이 때 찾아낸 공명 주파수로 소리를 내어주면 유리의 진동의 진폭이 커지게 됩니다. 그러면 유리는 더 이상 진폭으로 인한 뒤틀림(유리 물질 내 인력보다 강한 진동, 진폭에 의해)을 견디지 못하고 깨지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6
0
0
지구과학에서 자오선은 어떻게 혹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오선이란 북극점과 남극점을 지구의 표면에서 최단거리로 잇는 선입니다.태양광 패널 설치시 햇빛이 뜨는 남중 방향이 좋으며 대낮에 햇빛량이 가장 강하기 때문에 남향으로 30~50도 정도로 기울여 두시는게 가장 효율적이며 좋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6
0
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