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파스퇴르가 광견병 백신을 어떻게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완성에는 실패라는 과정이 수반됩니다. 파스퇴르 역시 처음부터 광견병 백신을 한번에 성공시키진 못하였습니다. 끈기와 집착을 가지고 여러번의 실험과 시도가 있었기 때문에 광견병 백신을 개발할 수 있었죠.
학문 /
생물·생명
22.09.15
0
0
빨래비누, 일반비누의 성분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 비누와 세탁용 비누의 차이는 일반 비누에 함유된 성분이 세탁용 비누에 있지만, 여기에 증백제라는 염료가 더 추가되어 있습니다. 증백제는 섬유를 더 밝고 하얗게 만드는 특징이 있죠. 또한 세탁용 비누는 알칼리성 입니다.세탁용 비누로 세안할 경우 알칼리성에 의해 피부에 있는 보호막이 파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더 많은 노폐물이 쌓일 수 있습니다. 또한 모공이 늘어나게 되며 피부 처짐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주름의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그래서 빨래 비누로 세안하는것보다 일반 비누를 사용하여 세안하는것이 더욱 좋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5
0
0
클라우드 컴퓨팅이 무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클라우드 컴퓨팅은 컴퓨터의 물리적 부품이나 소프트웨어를 직접 구매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업체로부터 빌려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기업에서도 이를 사용이 가능합니다. 컴퓨터의 물리적 부품에는 SSD, HDD 와 같은 저장 장치도 포함되며, GPU, CPU와 같은 것도 포함됩니다. 기업에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할 경우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해야하는데 이를 보안, 관리하고 처리하는데는 전문가도 필요할 뿐더러 물리적인 공간도 소모됩니다. 그래서 기업에서 데이터 베이스를 처리해줄 업체를 구해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5
0
0
태풍이 여름에만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태풍의 강도는 수증기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에도 강한 태풍이 올 수 있으며, 태풍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때 강한태풍이 됩니다. 그런데 9월에는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이로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수증기량이 많아져 강한 태풍이 만들어 지는것이죠.그래서 여름과 가을 수온이 높은 시기에 태풍이 오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5
0
0
휘발유, 경유, 등유 등 정제 과정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휘발유는 30~150도 정도에서 기화가 일어나며 이 기체를 수집하여 액화함으로써 추출이 가능합니다.등유는 150~200도 정도, 경유는 230~350도 정도에서 추출이 가능합니다.원유를 가열함으로써 원유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 원유의 온도가 30~150일때는 휘발유가 기화되므로 휘발류가 추출되어 나오는 관을 열어 추출을 하죠. 이 때 경유나 등유의 관은 닫혀있습니다.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끓는점에 맞게 각각의 추출물이 연결된 관을 여는 식으로 추출을 합니다. 그리고 원유에서는 중유가 30~50%정도로 가장 많이 추출됩니다. 성분에 따라 가격이 다른 이유는 다양하고 복잡한 이유가 있습니다. 경제적, 정치적인 이유가 있을 수 있으며 어떤 유류를 많이 사용하는지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5
0
0
폴라로이드는 찍은 사진을 왜 빛을 비추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폴라로이드나 다른 사진기도 마찬가지로 빛의 방향으로 물체를 두고 사진을 찍게되면 물체에서 나오는 빛보다 배경의 빛이 강하게 노출되기 때문입니다. 배경의 빛이 강해지면 물체의 선명도가 떨어질 수 있죠. 그래서 보통 빛이 물체를 비출때 빛이 비추는 방향을 등지고 찍는게 물체를 선명하게 찍는 방법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5
0
0
햇빛 방향을 잘 조절하면 입으로 물을 뱉어도 무지개를 만들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충분히 가능합니다. 대신 입으로 분사할때 물 입자가 크면 잘 보이지 않고 작아져야 무지개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지개를 보려면 햇빛을 등지고 보시는게 더 관측이 잘 될 것입니다.저도 실제로 본적이 있으며 가능한 이야기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5
0
0
에어컨은 누가 만들었으며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컨은 1902년 미국에서 윌리스 캐리어에 의해 최초 발명되었습니다.에어컨에서 찬바람을 생성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에어컨 내부에서 순환하는 냉매가 존재합니다. 이 냉매가 외부에서 들어온 공기의 열을 기체가 되는데 사용합니다. 그러면 냉매는 액체에서 기체로 상태가 변하고, 외부 공기는 열을 빼앗겨 차가워 지는것이죠. 그래서 우리에게 시원한 바람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이 기체가 된 냉매는 물에 의해 식혀져 다시 액체가 되고, 또 다시 이 액체가 된 냉매는 외부의 공기의 열을 빼앗아 기체가 되는것을 반복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5
0
0
수맥이 흐르는 곳에서 자면 왜 몸이 안 좋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맥이란것은 과학적으로 입증되거나 한 것은 아닙니다. 특정 나라는 바다 위에서 잠을 잘 자기도 하는데 이를 보면 수맥이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예시가 됩니다.잠을 자고 나서 몸이 무겁고 찌부둥하신다는것을 보니 좋은 숙면을 취하지 못하신걸로 판단됩니다. 수면 치료나 상담을 한번 받아보시는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4
0
0
햇빛을 받으면 사람도 비타민을 합성한다는데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타민 D는 자외선에 의해 합성됩니다. 우리 몸에 있는 7-드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자외선으로 인해 프리비타민 D3로 전환이되고, 프리비타민 D3는 태양열을 받아 비타민 D가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4
0
0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