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태풍이 오는 방향에 따라 피해도 상이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진행방향에 대해 오른쪽, 왼쪽의 강도는 태풍의 회전 방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북반구에서의 태풍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죠. 그리고 진행방향은 보통 북쪽을 향합니다. 이러한 태풍의 오른쪽 부분을 보시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진행방향이 북쪽이므로 오른쪽 부분은 회전속력과 진행방향의 속력이 더해져 바람이 강합니다. 반대로 왼쪽 부분에서는 회전속력과 진행방향의 속력이 반대이므로 차감되는 효과로 인해 바람이 태풍의 오른쪽 부분에 비해 약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2
0
0
당구공을 만드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페놀수지의 공을 사용합니다. 페놀수지를 원료로 만든 공은 단단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어느 방향에서나 균등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수명도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당구공 적합하여 사용되고 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2
0
0
완전 2심방 2심실이 아닌 생명체는 혈액 관리를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렇게 진화를 해왔기 때문입니다. 2심방 2심실을 가지지 않고 2심방 1심실을 갖고 진화해온 동물도 있습니다. 각자의 특징에 맞게 진화해 온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2
0
0
뚝배기가 다른 그릇에 비해서 열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잇는 과학적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뚝배기는 도자기처럼 만들어졌고, 열이 빨리 올라 음식을 끓이는 시간이 길지만 잘 식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열이 오래 보존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2
0
0
백두산 분화가능성은 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다시 화산 활동을 시작할지는 예측이 어렵습니다. 다만 지진계를 활용하여 전조현상을 관측하여 화산활동이 시작할 가능성을 보고 판단이 가능합니다.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2
0
0
물체의 강도와 경도는 무엇이 결정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질을 이루고 있는 원자, 분자 구조로 판단이 가능하며, 강도와 경도는 물체를 이루고 있는 원자와 분자간의 인력에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원자와 분자간의 인력은 전기력이구요. 결국 원자, 분자간의 전기력이 강할 수록 강도 경도가 큰 물체가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12
0
0
갯벌에 물이 차고 빠지는 것은 왜 그런거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조수가만의 차에 의해 물이 빠지고 차는것을 반복합니다.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2
0
0
컴퓨터 언어를 한글을 받아 들이는 언어를 개발하지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한글을 사용하여 검색도 하고 채팅도하고 많은 것을 합니다. 또한 한글로 코딩을 할 수도 있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2
0
0
동맥혈과 정맥혈을 산소와 이산화탄소 같은 기체로 구분하여도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그렇게 구분하셔도 괜찮을 듯합니다. 동맥혈에는 산소가 다량 포함되어있으며 정맥혈에는 산소가 거의 포함되어있지 않습니다.
학문 /
화학
22.09.12
0
0
우주쓰레기의 속도는 왜 빠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 외부에서 날아오는 물체의 속력은 가지각색이 될 수 있습니다. 외부에서 날아오는 물체가 폭발을 겪었을 경우 아주 빠른 속력을 가질 수 있죠. 우주쓰레기 역시 마찬가지로 폭발을 겪었을 경우 속력이 아주 빠를 수 있습니다. 또한 지구 자전과 공전 속력도 빠르므로 상대적인 속도차에 의해 더욱 빠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2
0
0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