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착시현상이 일어나는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착시현상은 주변 환경적 요소와 메인이 되는 주요 요소와의 관계에서 뇌에게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현상입니다. 환경적 요소로 인해 주요 요소가 달리 보이는 경우에 착시가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키가 190cm인 무리에서 180cm의 키를 가진 사람이 서있는 경우에 우리는 180cm의 키를 유추해보라고하면 160정도로 예상을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흔히 봐온 평균키는 170정도이고 당연히 무리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평균키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하기 때문에 키가 작아보이는 사람을 160정도로 봅니다. 즉, 환경적 요소로인해 주요요소에 대한 판단을 흐리게 만들었죠. 대부분의 착시는 이러한 원리로 작용을 합니다. 동그라미가 그려진 패턴 사이에 그어진 직선은 휘어져 보이거나, 회색 무늬 사이에 있는 하얀 공간에 점이 생기는게 전부 환경요소들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착시가 일어난 예가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0
0
0
오늘 100년 만에 가장 둥근 보름달이 뜬다고 하는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의 크기가 차이나는 것은 달의 공전 궤도가 정확한 원이 아니고 타원 형이며, 지구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질때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100년 만에 가장 둥근 보름달인 이유는, 태양-지구-달 순으로 놓이게 되면 보름달을 관측할 수 있는데 정확하게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상에 놓일 때 우리나라가 달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놓이게 되어 100년만에 가장 둥근 보름달을 관측할 수 있는것이죠. 보름달을 관측할 수 있을 때 항상 태양-지구-달 순으로 놓이지만 우리나라가 달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놓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100년만에 가장 둥근 보름달을 맞이한 것입니다. 그리고 재미있는것은 거의 매해 추석이나 설날에 특별한 날임을 강조하기위해 몇 십년 만에 찾아온 날이다 라는 문구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렇게 매년 특별한 날이 될 수 있는것은 과학적인 해석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0
0
0
원산도 갈때 바닷속 도로가 있는데요. 바닷속이지만 지하였어요 바닷속 땅 밑에는 물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해저터널은 바다 물 속에 존재합니다. 그래서 이름도 해저터널이죠. 해저 터널을 건설할때 터널 주변에 임시로 벽(댐)을 설치합니다. 그리고 바닷물을 잠시 퍼낸 뒤 터널을 제작하죠. 그리고 다시 물을 채우는 식으로 작업을 합니다. 그래서 바다 물 속에 해저 터널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물론 바다물의 수압을 고려하였고, 지진이 발생할 때의 상황도 고려하여 제작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0
0
0
무지개, 쌍무지개 등은 어떤 원리에 의해 보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햇빛이 수증기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이 물방울이 마치 프리즘 역할을 하여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것입니다.쌍무지개 역시 햇빛이 물방울을 통과하여 생기는데, 프리즘 역할을 하는 물방울 영역이 2개로 나뉘어져 있을 때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0
0
0
무지개 색은왜 7 가지색으로만 나타나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물방울에 통과된 태양빛이 굴절하면서 파장별로 색깔이 분해되어 우리눈으로 들어오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때 물방울을 통과한 빛이 파장별로 색깔이 분해되는데, 빨주노초파남보 뿐만아니라 빨간색과 주황색 사이의 색도 포함 될뿐더러 문자로 표현할 수 없는 연속적인 가시광선 영역의 색상이 전부 포함되어있습니다. 우리가 빨주노초파남보라 7개로 나눈 이유는 편의상 나눈것입니다. 무지개에 딱 7개의 색만 있는것은 아닙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0
0
0
고기압과 저기압에 대해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압이라는 것은 공기의 압력을 의미합니다. 공기가 많이 밀집되어있으면 공기의 압력이 높은 고기압 상태이며, 공기가 많이 없으면 공기의 압력이 낮은 저기압 상태이죠. 보통 기압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공기가 이동하며 이것이 바람이 됩니다. 우리 지구는 공기가 모두 균일하게 있는것이 아닌, 지열과 태양열 등 온도의 요인과 지구의 자전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공기가 밀집된 지역이 있으며, 공기가 희박해지는 지역도 있습니다. 이로인해 고기압 지대와 저기압 지대가 나타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0
0
0
약산성과 알칼리 비누 차이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피지 분비가 많고 얼굴에 유분이 많은 지성 피부에는 알칼리성 비누가 좋으며, 민감성 피부나 어린 아이에게 사용하기에 적합한 비누는 약산성 비누가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2.09.10
0
0
양력과 음력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력은 1년 동안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의 계절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달력이며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것을 기준으로 하여 만든 달력입니다.음력은 달이 우리 지구를 공전하는 것을 기준으로 만든 달력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0
0
0
우주에서의 방위는 어떻게 정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경우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보통 관측하는 우리가 기준이 되므로 지구 중심을 기준으로 위치를 잡습니다. 특정 은하에 있는 천체들의 위치를 잡을 때에는 그 은하를 중심으로 기준을 잡기도하며, 특정 별을 기준으로 공전하는 행성들의 위치를 기술할 때에는 그 별을 중심으로 하여 기준을 잡기도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0
0
0
학교에서 멸치 해부실험을 한다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조심스럽게 시간적 여유를 가지시고 천천히 진행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또한 연습량이 많아지면 능숙해지는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많은 연습을 통해 숙달시키시길바랍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0
0
0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