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태양의 흑점이 형성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흑점은 태양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많이 나타납니다. 태양 표면인 광구는 쌀알무늬를 띱니다. 그런데 태양 활동으로 인해 온도가 높아지는 부분과 낮아지는 부분이 극명해지면서 흑점이 나타납니다. 흑점은 태양의 표면 온도인 6000도 보다 작은 4000도 정도가 됩니다.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죠.이해가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9
0
0
가을 햇볕이 유난히 따가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실제로 여름의 햇볕이 가장 뜨겁고 따갑습니다. 하지만, 봄, 가을, 겨울에도 피부는 햇빛에 의에 탈 수 있으니 항상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주셔야합니다. 또한 가을에는 대기 중에 미세먼지, 기타 오염 물질의 양이 가장 적은 계절이며 자외선이 이와 부딪히지 않고 그대로 올 수 있는 환경입니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피부가 조금 더 탈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여름만큼 강하지는 않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9
0
0
잔잔하던바다가 파도가 밀려오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파도는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발생합니다.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바다와 호수에 작용하므로 물결이 이는걸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넓고 깊은 바다에 비해 호수는 좁고 얕으므로 파도가 크게 일렁이지 않습니다.또한, 파도는 바람에 영향도 받으며 바람이 불면서 물결이 일렁이며 파도가 될 수 있습니다. 만약 큰 태풍이나 바람이 분다면 호수에도 파도가 칠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09
0
0
(집)파리가 날아다닐때 파리 몸에 묻어있던 오염 물질들도 같이 뿌려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 제 이불과 옷에 파리에 묻은 오물(똥)이 미세하게나마 떨어졌을 가능성이 있을까요?파리의 몸에 오염물질이 무한하지 않는 이상 떨어졌을 가능성은 희박합니다. 질문자님께서 파리를 보기전까지 파리는 계속 어딘가를 날아다니고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면 오염물질이 떨어진다 쳤을 때 계속 날아다녔던 파리의 몸에서 오염물질이 전부 다 떨어졌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만약 오염물질이 있다하더라도 접촉하지 않으셨다면 괜찮으실겁니다. 희박한 확률로 오염물질이 떨어졌을수도있습니다.2. 보통 파리 날개짓 소리는 사람의 귀에 몇 M 반경까지 들리나요? 파리가 저한테 얼마나 가까이 있었을지 궁금해요보통의 파리의 경우 3~5m 정도 까지 들릴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9
5.0
1명 평가
1
0
마음에 쏙!
200
양자컴퓨터는 어떤 원리로 설계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자 컴퓨터는 기존 컴퓨터를 초월하는 연산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양자 컴퓨터는 양자 중첩의 원리를 기반으로 큐빗(qubit) 체계를 사용합니다. 기존 컴퓨터는 bit 이진법 체계를 사용하죠. 기존 비트 체계로 2자리를 표현하는 방법은 00, 01, 10, 11 로 0, 1, 2, 3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큐빗은 2자리를 동시에 중첩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a l00>+b l01>+c l10>+d l11> 한번에 표현합니다. a, b, c, d는 lal^2+lbl^2+lcl^2+ldl^2=1이라는 관계가 있습니다. 또한 자릿수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비트체계보다 큐빗의 체계가 더욱 빠른 연산이 가능하죠. 왜냐하면 비트 체계가 각각을 하나하나 표현하여 연산할 때, 큐빗 체계는 한번에 연산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양자 컴퓨터는 기존 컴퓨터를 초월하는 연산 속도를 가지고 있는것입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양자컴퓨터의 장점은 암호해독에 아주 능하다는 것이죠. 그런데 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는 기존 컴퓨터로 풀기 어렵게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양자컴퓨터가 등장하면 암호해독이 쉽게 가능하기 때문에 그런 이야기 나오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9
0
0
코리올리 효과로 기류의 회전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 지구를 위에서 바라볼 때 지구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합니다. 그리고 이상황에서 우리가 적도에서 물체를 북극 방향으로 쏘았다고 상상해보죠. 지구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에서 본 관찰자 입장에서는 분명 물체를 북극방향으로 쐈는데 오른쪽으로 휘어서 날아갈 것입니다. 왜냐하면 적도에서 자전속도로 인해 오른쪽으로 운동하려는 관성이 작용하기 때문이죠. 이 관성은 적도에서 자전 속력이 가장 빨라 지구의 북반구보다 강합니다. 이를 코리올리 효과라고 하며, 마치 지구 관찰자의 입장에서 힘을 받는거 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관성력으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북반구에서 태풍이나 배수구에서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지도 바로 이해가 가실겁니다. 태풍이나 배수구의 경우는 위쪽 유체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왼쪽으로 휘며, 아래쪽 유체는 위쪽으로 이동하며 오른쪽으로 휘기 때문이죠. 지구의 자전에 의해, 코리올리 효과에 의한 것이죠.이해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9
0
0
해일은 왜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본 바로 남쪽 부근에는 유라시아판과 필리핀판, 태평양판, 북아메리카판 등 판이 만나는 경계부가 다수 존재합니다. 그래서 특히 일본에서 지진과 해일, 쓰나미등이 자주 발생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9
0
0
자외선을 받으면 얼굴이 늙는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은 진동수가 높고 빛 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피부에 있는 세포들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그래서 장시간 노출될 경우 최악의 경우 피부암에 걸리기도 하죠. 그래서 햇빛에 많이 노출될 위험에 있을때는 자외선 차단제를 꼭 발라줘야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9
0
0
형광등이 터질 때 팍 소리가 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형광등 속에는 아르곤, 질소 기체와 수은의 증기(기체 상태)가 포함되어있습니다. 형광등을 켜면 형광등 속 필라멘트가 가열되며 전기적인 방전, 즉 전자들이 튀어 나옵니다. 이때 수은 기체 분자와 전자가 충돌하면서 자외선을 방출하게 됩니다. 그리고 방출된 자외선은 형광등 내부 표면에 형광물질을 자극해 가시광선의 빛을 발하게 하죠. 아르곤, 질소 기체는 반응성이 낮은 기체로 형광등 내에서 부식이 일어남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만드는데 유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형광등을 깨뜨리면서 나는 소리는 외부와 내부의 기압차에 의해 펑하는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또한, 내부 수은 기체가 있어서 체내에 쌓이면 좋지 않으니 주의하셔서 작업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그리고 현재는 LED가 형광등보다 효율이 좋고 수명도 길기 때문에 대부분 LED를 사용하는 추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9
0
0
드라이이이스의 과학적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상태로 존재하는것입니다. 마치 물이 얼어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되는점인 영하 78도 이하의 온도로 존재합니다. 드라이아이스는 -78도 이하로 매우 차가운 상태이며 주변의 열을 흡수하려고 합니다. 아이스크림은 영하 10도 정도만 돼도 굉장히 차가운 상태이죠. 그런데 드라이아이스입장에서는 -10도인 아이스크림이 상대적으로 뜨겁게 느껴지기 때문에 아이스크림의 열을 뺏어오게됩니다. 그래서 드라이아이스가 승화(고체->기체)하면서 아이스크림은 더욱 차가워 지는것이죠. 그래서 아이스크림을 녹지 않게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9.09
0
0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