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굳센나비2022
굳센나비202222.09.08

드라이이이스의 과학적 원리가 뭔가요?

베00 아이스크림을 좋아해서 자주 사 먹는데

가는 동안 걸리는 시간을 확인하고 아이스크림이 녹지 않게 드라이아이스를 넣어줍니다.

이 드라이아이스는 어떤 과학적 물질이길래 아이스크림을 녹지 않게 해주나요?

드라이아이스의 온도는 얼마나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상태로 존재하는것입니다. 마치 물이 얼어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되는점인 영하 78도 이하의 온도로 존재합니다. 드라이아이스는 -78도 이하로 매우 차가운 상태이며 주변의 열을 흡수하려고 합니다. 아이스크림은 영하 10도 정도만 돼도 굉장히 차가운 상태이죠. 그런데 드라이아이스입장에서는 -10도인 아이스크림이 상대적으로 뜨겁게 느껴지기 때문에 아이스크림의 열을 뺏어오게됩니다. 그래서 드라이아이스가 승화(고체->기체)하면서 아이스크림은 더욱 차가워 지는것이죠. 그래서 아이스크림을 녹지 않게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훈식 박사입니다.

    드라이 아이스는 이산화탄소를 고체화한 것입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수증기를 얼음으로 만든 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우리가 얼음을 녹이면 물이 됩니다. 왜냐하면 상온 보통온도에서는 물은 액체가 맞기 때문입니다. 만약 얼음을 200도에 가져다 놓으면 얼음은 물로 변했다가기체로 되지 않고 바로 기체가 될 것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상온에서 기체입니다. 때문에 고체가 기체가 되는 것이고 온도는 -78도입니다. 만약 -80에 드라이아이스를 놔두면 고체상태로 유지 될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08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 아이스는 이산화탄소를 저온에서 압력을 가하면 고체가 됩니다. 기체에서 고체가 되는 온도는 영하78.5도 입니다. 하여 그이상의 온도가 되면 다시 기화합니다. 연기처럼 나오는 것은 차가운 기체가 공기중 수증기를 만나 응결되어 보이는 현상 입니다. 냉동고를 열었을때 보이는 현상과 같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물을 얼리면 얼음이 되고, 0도에서 녹습니다.

    이산화탄소를 얼리면 드라이아이스가 되며 -78도에서 얼고, 녹습니다.

    이렇게 저온까지 내려가고, 드라이아이스는 상온에서 액체상태없이 바로 기체인 이산화탄소로 변하기 때문에 사용이 용이 합니다.

    따라서 저온 보관시에 드라이아이스를 많이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로 만들어집니다.
    이산화탄소가 고체인 얼음이되기위해서는 영하 78.5도가 되어야합니다.

    즉, 드라이아이스는 최소 영하 78.5도의 온도로 주변의 열을 모두 빼앗아가며 기화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어는점은 0도씨 이지만, 이산화탄소의 어는점은 영하 78도씨 입니다.


    그렇기에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된 드라이아이스로 아이스크림을 보관하면 영하78도씨로 보관되어 녹는걸 방지할 수 있는거죠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를 고체로 만든 것입니다.

    온도가 영하 78도에서 승화될 정도로 굉장히 온도가 낮기때문에 아이스크림 보존제로 많이 사용합니다.


  • 드라이아이스는 이보다 얼음보다 낮은 온도 (-80도 정도)입니다.

    따라서 상당히 아이스크림 보존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드라이아이스 자체가 차갑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