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데이터 분석 기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데이터 분석 기법으로는 선형 회귀 분석, 의사 결정 나무, 군집 분석, 머신러닝, 딥러닝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과 분석하고자 하는 모델에 따라 라이브러리가 다를 수 있습니다. 원하는 모델에 대해 구글링을 해보시고 라이브러리를 설치하여 분석하시는것이 좋을 듯 합니다.예시로 선형 회귀 분석의 경우 scikit-learn(sklearn) 라이브러리의 LinearRegression 을 import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24
0
0
행성마다 중력의 정도가 차이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유인력이란것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질량을 가지고 있기만하면 만유인력(중력)이 작용합니다. 여기서 질량이 큰 물체는 더 강한 중력을 만들고, 질량이 작으면 약한 중력을 만듭니다. 또한, 물체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중력의 세기게 세지죠. 행성마다 각자 가지고 있는 질량이 다릅니다. 그래서 행사하는 중력의 세기도 제각각 다른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4
0
0
핵무기는 어떻게 개발하게 된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핵무기의 과학적 원리는 핵분열 반응에 있습니다.핵분열은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과 같은)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불안정한 원자가 다른 원자로 변하며 결손되는 질량이 발생하는데, 이 결손된 질량이 에너지로 전환됨에 따라 에너지를 얻어지는 것입니다. 불안정한 원자에 중성자를 충돌 시킴으로써 붕괴를 시키는데, 이 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 많은 양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연쇄 반응이 끝나면 에너지는 더 이상 나오지 않기 때문에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과 같은)가 원료로 필요합니다. 핵무기를 만든 계기는 양자역학과 상대성 이론이 조금씩 적용된 것으로 전쟁의 강한 무기를 만들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4
0
0
엑스레이 찍을때 방사능이 왜 나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방사선이란 높은 에너지의 빛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리가 볼 수 있는 빛은 가시광선으로 빨주노초파남보로 알려져있습니다. 이러한 빛은 비교적 파장이 길고 진동수가 작아 에너지가 작은 빛입니다.하지만, 자외선이나 X-ray는 진동수가 크고 높은 에너지의 빛입니다. 자외선을 계속 맞고 있으면 피부가 타고, 위험할 경우 피부암까지 걸릴 수 있죠. X-ray의 경우는 자외선 보다 더 강한 에너지입니다. 그래서 더욱 빠르고 강하게 세포를 파괴하거나 변형시킬 위험이 있죠. 그래서 임산부의 경우 X-ray를 최대한 피하는게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3.07.24
0
0
거미를 죽이지 않고 놔두면 집안의 벌레를 잡아먹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날파리나 모기 등이 거미줄에 붙게되면 거미가 이들을 잡아먹게 됩니다. 거미는 사람에게는 해를 끼치진 않지만 도움을 주는 생물체죠.
학문 /
생물·생명
23.07.24
0
0
태풍이름은 누가 어떤 형식으로 짓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 이름은 그 국가에 영향을 미칠만한 태풍에 이름을 붙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지난 태풍들의 이름은 우리에게 친숙한 이름들이죠. 태풍 이름은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가 각 조 28개씩 5개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 5조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합니다. 140개를 모두 사용하고 나면 1번부터 다시 사용하죠. 태풍이 보통 연간 약 25개 정도 발생하므로 전체의 이름이 다 사용되려면 약 4∼5년 정도 소요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4
0
0
갑자기 지구의 자전이 멈추면 어떤 현상이 일어 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럴일은 없겠지만 지구가 자전하지 않는다면, 태양의 반대면은 굉장히 추워지고 다른 한쪽면은 굉장히 뜨거워질 것입니다. 또한, 자전을 멈추게 되면 지구의 자기장이 약해지거나 거의 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면 외부에서 날아오는 우주선(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 및 방사선 등을 막아주지 못해 노출되 암이나 기타 다른 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또한 이상 기후가 지속되며 점점 생태계가 파괴되 나갈 것입니다. 결국 서서히 죽어가게 되죠. 그리고 멈추는 순간에는 가속력이 느껴지기 때문에 몸이 조금 기울거나 심할 경우 넘어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3
0
0
초음속 비행기에서 발생된다는 소닉붐이란 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닉붐은 음속을 초과하는 속력으로 비행을 하거나 움직이면 발생합니다. 물체가 음속보다 빠르게 되면 물체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물체보다 뒤쳐지게 됩니다. 이 때 음파가 물체 뒤쪽으로 전파되어 나가지 못하고 압축되어 공기에 압축을 가합니다. 공기가 압축되면 수증기가 물로 변하게되고 구름처럼 형성이 됩니다. 이를 소닉붐이라고 합니다. 공기가 급격하게 압축되면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데, 다시 안정된 상태로 급격히 팽창하며 공기를 강하고 밀도 있게 진동 시키죠. 이 진동으로 인해 폭발하는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참고로 소닉붐은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데 원뿔 형태의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물체의 속력을 알아낼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3
0
0
우주 정거장이 회전을 하는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 정거장은 마치 인공위성이나 달처럼 공전하는것이 맞습니다. 그래야 지구의 중력으로 부터 저항해 떨어지지 않고 궤도를 유지할 수 있죠.달도 우리 지구 중력에 이끌리지 않도록 공전하여 원심력과 구심력이 되는 중력이 평형을 이루고 있는 것처럼 우주 정거장도 지구 중심으로 궤도 운동을 하며 궤도를 유지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3
0
0
우주는 지구로부터 몇km나 올라가야지 우주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국제 항공 연맹(FAI) 및 국제 사회에서는 우주의 경계를 고도 100km로 약속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경계를 카르만선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미국 공군과 NASA에서는 80km이상을 우주라고 인정하고있습니다.저궤도 인공위성의 경우 초속 7.5km 정도의 속력으로 돌고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3
0
0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