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데자뷰는 왜 일어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데자뷰는 양쪽 눈의 시각정보가 특정 시간차를 두고 뇌에 전달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우리 뇌는 0.025초 정도의 시간차보다 큰 사건에 대해 별개로 일어나는 사건이라고 간주합니다. 그런데, 아주 가끔 우리 눈 양쪽에 들어온 상황이 0.025초 정도 이상의 차이로 신호전달이 될 경우 양쪽 눈에서 얻어진 정보를 별개로 처리하여 데자뷰를 느끼죠. 예를 들어 왼쪽눈으로 먼저 상황을 받아들이고 0.025초 이상 뒤에 오른쪽 눈으로 상황을 받아들이면 왼쪽 눈에서 얻어진 상황을 과거에 체험했던 상황이라고 간주하고 오른쪽 눈으로 받아들인 상황과 함께 데자뷰를 느끼는 것입니다. 우리 눈은 항상 거의 동시에 상황을 인지하여 뇌로 전달하지만 아주 가끔씩 0.025초 정도 이상의 차이로 신호를 전달합니다. 이 때문에 데자뷰를 가끔 느낄 수 있는것이죠.
학문 /
화학
22.09.03
0
0
지리 좌표계상에서 Rotation 계산식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3차원 구형을 2차원 평면도로 변환을 하여 계산하면 좋겠지만, 3차원 구형의 좌표계를 2차원 평면도로 변환하는것은 복잡한 일입니다. 그래서 보통 지리적인 계산을 할때는 3차원 구형의 좌표계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계산하죠. 또한 식으로도 표현이 간단하기 때문에 훨씬 유용합니다.3차원 구형 좌표계를 사용하면 되는데 x=r sinΘcosΦy=r sinΘsinΦz=r cosΘ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r은 지구의 반지름, Θ는 북극 축으로부터 각도, Φ는 가로 방향의 각도입니다.이를 사용하면 더욱 정확하고 쉽게 구하실 수 있을겁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핵융합 발전이란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핵융합 발전은 신에너지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사실 아직 핵융합이 일어날만한 환경을 구현하기가 현실적으로 힘이듭니다. 핵융합은 고압, 고온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주로 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입니다. 핵융합 발전을 만든다는것은 곧 작은 별을 만든다는것이나 다름 없는 일이죠. 핵융합보다 위험도가 크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한 에너지는 핵분열 발전입니다. 주로 원자력에너지라고 하는것은 핵분열에서 나온 에너지를 사용하는것이죠. 핵융합 발전이 실현 가능하려면 핵융합이 가능할만한 환경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며 언제가 될지는 아직 정확하게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학문 /
화학
22.09.03
0
0
전기분해에서 +극이랑 -극이 있어야 전기분해가 가능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전기분해의 정의 자체가 +, - 극인 전극을 가해 이온을 분해한다는것입니다. 그래서 +와 -극이 필요하죠.
학문 /
전기·전자
22.09.03
0
0
컵라면 뚜껑에 양념이 묻게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분말스프에는 가벼운 입자들도 존재하여 공기중으로 확산이 잘 됩니다. 끓는물을 붓고 라면이 익기를 기다리는 동안 스프가 수증기를 타고 상승하여 라면 뚜껑에 달라 붙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09.03
0
0
초파리는 어디서 오나요?정말로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파리는 미세한 틈을 타서 들어와 당이나 산이 가득한 음식에 알을 낳기도 하지만, 애초에 우리가 샀던 과일 껍질에 알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과일을 먹고 방문을 닫아놓거나 화장실 문을 닫아놔도 초파리가 생길 수 있죠. 그래서 과일을 다 먹고 남은 음식물을 밀폐하여 보관하거나 빠르게 버리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3
0
0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가장 강한 태풍은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959년 사라, 1987년에 셀마, 2003년 매미 등이 있습니다. 피해규모는 사망자가 수 백명에 달하며, 재산 피해는 몇 천억 단위이고 부상자도 많았던 아주 위험했던 태풍들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태풍도 종류가 여러가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부르는 명칭 차이입니다. 태풍과 허리케인은 같은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싸이클론도 같은 의미입니다. 북서태평양 근해에서 발생하는 태풍을 태풍이라 부르고, 대서양, 북태평양 동부 부근에서 발생한 태풍을 허리케인, 인도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이라고 부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태풍 이름은 어떻게 짓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 이름은 그 국가에 영향을 미칠만한 태풍에 그 국가에서 정하여 이름을 붙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지나거나 지날 태풍들의 이름은 우리에게 친숙한 이름들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태풍 경로가 일정하지 않고 쉽게 바뀌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경로는 지역의 기압차, 온도차에 의한 바람의 방향 영향을 받습니다. 중위도에서는 편서풍이 불어 태풍이 동쪽으로 휘는데 항상 동쪽으로 휘는것은 아닙니다. 중위도에서는 대부분 편서풍이 불지만, 기압차에 의해 동에서 서로 바람이 불때도 있고, 북에서 남으로 바람이 불때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태풍은 바람이 부는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중국으로 상륙하는 경우도 있고 일본으로 휘어져 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