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항공기가하늘을 날아오른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압력이 높은)에서 윗부분(압력이 낮은)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보통의 비행기의 원리입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보통의 헬리콥터, 드론의 원리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힌남노로 전국이 긴장 상태인데 태풍은 왜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태풍의 경로는 지역의 기압차, 온도차에 의한 바람의 방향 영향을 받습니다. 중위도에서는 편서풍이 불어 태풍이 동쪽으로 휘는데 항상 동쪽으로 휘는것은 아닙니다. 중위도에서는 대부분 편서풍이 불지만, 기압차에 의해 동에서 서로 바람이 불때도 있고, 북에서 남으로 바람이 불때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태풍은 바람이 부는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중국으로 상륙하는 경우도 있고 일본으로 휘어져 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3
0
0
북극에 자주 생기는 오로라는 어떻게 발생하는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전입자는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주선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인 우주선이 지구로 들어오는데 이때 전하를 띠고 있으면 지구 자기장에의해 나선운동을 합니다. 그리고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에서 나선운동이 강하게 일어나죠. 나선운동을 하며 대기에 있는 기체와 부딪히며 빛을 발하는데 이를 오로라라고합니다. 주로 극지방이나 고위도 지대에서 오로라가 관측되는 이유가 지구의 자기장이 강해 대기의 기체와 충돌이 강하게 일어나 오로라를 보일 조건이 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전기는 왜 교류를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직류를 사용하게 되면 전압을 바꾸는 변압 과정에서 비용과 에너지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교류를 사용하게되면 전압을 만들어 송전시키거나 변압시키는 과정에서 비용과 에너지가 적게 들며 교류 변압이 직류변압보다 용이하기 때문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09.03
0
0
곤충이 탈피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곤충은 사람의 성장과는 달리 진화를 하기 때문에 탈피를 하는것입니다. 유충에서 성충이 되기 위해 긴 시간 번데기에서 진화를 하며 진화가 완료되면 탈피를 하여 세상 밖으로 나오죠.
학문 /
생물·생명
22.09.03
0
0
태풍의 진로가 왜 우리나라,일본으로 많이 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경로는 지역의 기압차, 온도차에 의한 바람의 방향 영향을 받습니다. 중위도에서는 편서풍이 불어 태풍이 동쪽으로 휘는데 항상 동쪽으로 휘는것은 아닙니다. 중위도에서는 대부분 편서풍이 불지만, 기압차에 의해 동에서 서로 바람이 불때도 있고, 북에서 남으로 바람이 불때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태풍은 바람이 부는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중국으로 상륙하는 경우도 있고 일본으로 휘어져 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지구의 북반구에 위치한 나라는 태풍의 피해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남반구나 북반구에 태풍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북반구에 위치하며 태풍의 피해를 입기도하죠. 다만 북반구에는 남반구에 비해 대륙이 다량 분포하고 사람들이 더욱 많이 살고 있기 때문에 확률적으로 피해량이 많습니다. 또한 남반구에 대륙이 적어 확률적으로 피해가 적은 이유이기도 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결로현상이 집에 자주 발생하는데요. 집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크지 않는데 결로현상이 왜 자주생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차의 영향도 있지만, 공기중 수증기량(습도)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평소보다 비교적 습하게 될 경우 실내와 외부의 온도차가 크지 않더라도 결로현상이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09.03
0
0
태풍을 인공적으로 소멸시키는 기술이 나온다면 그 역효과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을 제거하는 기술은 나올 가능성이 적습니다. 태풍은 바다에 악영향을 끼치는 녹조, 적조 등을 없애고 바다물을 정화해주고 공기를 정화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좋은 영향도 많이 미칩니다.
학문 /
화학
22.09.03
0
0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물이 얼어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증가하게 됩니다. 페트병에 물을 넣고 얼려보신 경험이 있다면 이해하실 겁니다. 물이 얼면서 패트병이 빵빵해지죠. 물의 질량은 그대로지만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지면 밀도가 감소합니다. 그래서 밀도 차에 의해 얼음이 물 위에 뜨는것이지요.
학문 /
화학
22.09.02
0
0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