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주여행은 언제 가능해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여행은 가능한 이야깁니다. 현재도 우주여행을 다녀온 사례가 존재하죠. 다만 대기표를 뽑고 훈련을 받고하는 과정이 있기 때문에 여행 전 준비기간이 조금 소요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8
0
0
거울은 어떻게 사물의 모습이 보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 유리 뒷면에 아말감, 수은 등으로 코팅처리를 하면 빛을 반사하는 거울을 만들 수 있습니다. 거울은 빛을 정반사하기 때문에 사물들의 모습이 그대로 보입니다. 우리 눈은 빛이 들어오는데로 사물을 식별합니다. 빛이 사물에 반사되어 거울로 들어가고 다시 거울에서 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우리가 거울로 사물을 볼 수 있는 이유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8.28
0
0
하늘을보면 신기한게 낮과 밤이 변한다는 의미가 우주의 색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부터 이해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밤에는 산란 되는 빛이 없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죠. 노을은 해질 무렵, 태양이 지평선에 놓일 때 태양 빛이 지구의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온 빛을 보게됩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은 우리눈에 도달하기전에 산란되어 흩어져 버리고, 파장이 긴 빛들 빨강, 주황, 노랑 등의 빛은 산란되지않고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노을이 노랗고 붉게 보이는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8
0
0
태풍 이름은 어떻게 짓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 이름은 그 국가에 영향을 미칠만한 태풍에 이름을 붙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지난 태풍들의 이름은 우리에게 친숙한 이름들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8
0
0
등온과정과 단열과정 둘을 어떻게 비교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등온 과정이라고하면 계의 내부에너지가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조건을 사용하시면 됩니다.단열 과정의 경우라면 내부에너지는 변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계의 내, 외부의 열교환이 없으므로 외부로 한 일만큼 내부에너지가 감소한다, 외부에서 받은 일만큼 내부에너지는 증가한다 라는 조건을 사용하시면됩니다. 그리고 p-v곡선에서 등온과정 단열과정 그래프를 구분해서 알려주거나 식으로 주어질 것입니다. 이를 유의해서 분석을 수행하시면 됩니다.
학문 /
화학
22.08.28
0
0
코로 냄세를 맡을 수 있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코에는 냄새를 맡을 수 있는 신경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냄새, 향은 분자로서 기체를 타고 코에 있는 신경으로 날아와 우리 뇌로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맡을 수 있는것이죠. 그런데 감기나 코가 막힌 경우 코에 있는 신경이 둔감해지기 때문에 이런 경우 향을 맡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전혀 못 맡는것은 아니니 느낄 수 있는 향도 있는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08.28
0
0
피부의 빛이 검게 타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 때문입니다. 자외선은 진동수가 높고 빛 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피부에 있는 세포들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그래서 장시간 노출될 경우 최악의 경우 피부암에 걸리기도 하죠. 그래서 햇빛에 많이 노출될 위험에 있을때는 자외선 차단제를 꼭 발라줘야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8
0
0
맨홀 뚜껑이 둥근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맨홀 뚜껑이 둥근 이유는 맨홀 구멍속에 뚜껑이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함 때문입니다. 뚜껑이 둥글면 어느 방향으로든 멘홀 구멍보다 반경이 큽니다. 만약 삼각형이나 사각형으로 만들었다면, 대각선 방향으로 빠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죠.
학문 /
토목공학
22.08.28
0
0
별들은 왜 무작정 커지지 않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별의 크기에는 크게 제한이 있는것은 아닙니다. 다만 우리의 관측 기술의 문제고 어디까지 알고있냐가 문제입니다. 우리가 천체를 관측하며 태양보다 큰 별들을 찾고있지만, 우리가 찾아낸것보다 훨씬 큰 별들도 있을 가능성이있습니다. 다만 우리가 찾아내질 못한 것일 수 있는것이죠. 반대로 우리가 찾은 별이 가장 큰 별일 수도 있습니다. 우주는 인간이 보고 담기에는 너무 크고 넓기 때문에 아직 미지의 영역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8
0
0
가을엔 왜 하늘이 더높게 느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이 보이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8
0
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