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날아다니는 자동차가. 실현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프로펠러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뜰 수 있는 추진력을 얻어 날아다니는 차를 만들려고합니다. 드론이나 헬리콥터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원리는 물체가 공중에 뜰 수 있게 힘을 만드는 것입니다. 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 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학문 /
기계공학
22.08.27
0
0
위산으로 인해 장기가 손상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위에 있는 세포에서 보호점액이 흘러나옵니다. 이 보호점액에 의해 우리 위가 산성에 직접 노출되지 않게 막아주며 소화가 원활히 일어날 수 있게 해주는것이죠. 하지만 이 보호점액이 우리 위를 전부 보호 못할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위 산에 노출되어 위염, 위 궤양 등 위에 안좋은 병에 노출될 우려가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27
0
0
왜 모기들은 밤에 더 잘 보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는 야행성입니다. 또한 사람이나 동물이 잠에 드는 시간이 대부분 저녁이기 때문에 이 때 편하게 흡혈을 하기위해 밤에 활동을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7
0
0
단풍잎의 색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록색을 띄는 이유는 엽록소 때문인데 가을이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되어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27
0
0
밤에는 왜 소리가 더 잘 들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저녁에는 지면이 차가운 상태이고 지면과 맞닿는 공기가 차갑게 됩니다. 또한 공기층 상층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따뜻합니다. 이러한 상황에 소리를 내게되면 찬공기를 타고가던 소리가 따뜻한 공기와 만나 굴절을 하게 됩니다. 이때 굴절은 소리의 속력이 빠른곳에서 느린곳으로 굴절이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소리는 온도가 높은 공기 중에서 속력이 빨라집니다. 왜냐하면 온도가 높을수록 공기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소리의 전달도 잘하기 때문이죠. 따라서, 밤에 소리를 내면 지면과 가까운 쪽의 공기가 차갑고 상층부가 따뜻하므로 소리가 하늘로 퍼지지 않고 땅쪽으로 굴절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밤에 소리가 잘 들리는 이유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7
0
0
테넷에서 나오는 엔트로피 개념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치적으로 가능합니다. 물리학에서 다루기 때문에 수학적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엔트로피를 실생활 예시에서 찾으면 흔히 많이들 드는 예시는 방이있습니다. 방을 아무리 정리 정돈하여도 어느 순간 보면 어질러진 방을 볼 수 있습니다. 엔트로피가 증가했죠. 엔트로피란 무질서도이며 가능한 상태의 수가 큰 방향으로 정돈되는 정도입니다. 자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흘러갑니다. 그런데 만약 시간 역주행이 가능할 경우에는 엔트로피 또한 반대로 감소하는 방향으로 흘러가죠.
학문 /
물리
22.08.27
0
0
반딧불이는 어떠한 방법으로 빛을 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반딧불이는 몸에서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내뿜는데 이 루시페린이 공기중 산소와 만나 화학반응을 하며 빛을 냅니다. 그리고 반딧불이는 공기가 맑은 지역에 서식하고 있어서 도심에서 보기가 힘든게 아쉬운 점입니다. 논이 많은 곳이나 숲이 우거진곳, 산이 많은곳에 가야 볼 수 있게되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27
0
0
밤에 음식을 먹고 잠을 자면 붓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잠을 자는 동안은 누워있기 때문입니다. 평소 음식을 짜게먹거나 하면 체네 염분량이 높아져 수분량도 증가합니다. 평소 활동하는 시간에는 주로 서있거나 앉아있게 되는데, 이 때 중력에 의해 대부분의 수분은 신체 아래에 위치합니다. 하지만 누워서 잠을 자게 되면 수분이 몸에 골고루 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신체 아래에 있던 수분이 얼굴까지 올라오게 되면서 얼굴이 붓게 되죠. 활동을 하면서 수분이 빠지는 이유는 서거나 앉으면서 상체에 있는 수분을 아래로 보내기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2.08.27
0
0
하늘은 왜 우리 눈에 파랗게 보이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이 보이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7
0
0
녹음된 내 목소리를 들으면 어색한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의 전달 경로 때문입니다. 본인이 말하는 목소리는 목과 입의 진동으로 본인의 몸과 얼굴을 거쳐 귀로 전달되는 소리입니다. 녹음을 한 목소리는 목과 입의 진동소리가 공기를 타고 녹음기로 들어간 소리입니다. 이처럼 소리의 전달 경로가 달라지면서 목소리가 달라져 들립니다.
학문 /
화학
22.08.27
0
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