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비오는날 창문을 열어두면 음이온이 들어올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습기가 차면서 음이온이 유입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그 양은 매우 적고, 수증기(H2O-극성 분자)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전기가 통하거나 하진 않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23
0
0
원자폭탄의 폭발은 어떤 과학적인 원리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원자폭탄은 핵분열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한 폭탄입니다.핵분열은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과 같은)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불안정한 원자가 다른 원자로 변하며 결손되는 질량이 발생하는데, 이 결손된 질량이 에너지로 전환됨에 따라 에너지를 얻어지는 것입니다. 불안정한 원자에 중성자를 충돌 시킴으로써 붕괴를 시키는데, 이 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 많은 양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때 질량 손실에 의해 얻어지는 에너지는 E=mc^2에 의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1g의 질량 결손만으로 9000만 줄(J)의 에너지가 발산됩니다.원자 폭탄의 경우 폭발 에너지가 막대합니다. 그래서 폭발 순간의 충격파로 인해 주변의 공기를 밀어내 순간적으로 진공상태가 될 수 있죠. 그리고 폭발이 끝나면 진공상태(저기압 상태)에 있는 공간으로 다시 외부에 있는 공기(상대적으로 고기압 상태)들이 빠른 속도로 연기와 함께 흘러 들어와 위로 솟구치게 됩니다. 그러면서 버섯구름 모양이 생성되는 원리이죠.
학문 /
전기·전자
23.07.23
0
0
메타버스라는 기술은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상현실은 1인칭 시점으로 가상현실 상황을 체험할 수 있는것입니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 내에서 다른 사람들과 소통이 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메타버스를 통해 체험하기 어려운것을 쉽게 체험할 수 있고, 현실에서 구현하기 힘든것을 구현해낼 수 있으며, 교육이나 게임에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3
0
0
오랜 장마끝에 햇빛이 나서 옷장을 말리려 하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종류에 따라 다르겠지만, 건조를 통해 물먹는 하마의 습기를 제거하게되면 다시 사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전자렌지에 돌릴 때 세기를 약하게 길게 돌리는게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중간중간 상태를 확인해주시는게 중요할듯하네요.
학문 /
화학
23.07.23
0
0
우주에 존재한다는 블랙홀은 항상 그자리에 존재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블랙홀도 움직일 수 있습니다. 블랙홀도 하나의 질량을 가진 천체입니다. 물론 거대한 질량을 가졌죠. 이렇게 거대한 질량을 가진 천체도 다른 천체의 질량에 의해 궤도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보다 큰 질량을 가진 천체나 혹은 블랙홀을 기준으로 궤도운동이 가능하죠. 그래서 움직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3
0
0
순항미사일의 동작 방식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순항미사일(크루즈 미사일) : 제트 엔진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고, 미사일에 날개가 있어 양력을 얻어 날아갈 수 있는 미사일입니다. 이는, 컴퓨터를 활용한 유도 방식으로 명중률이 높습니다. 초저공 비행으로 굉장히 빠른 속도로 날아가기 때문에 레이더 포착이 잘 안된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23
0
0
차가운 공기가 아래로 가고 뜨거운 공기가 위로 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유는 온도의 정의에 있습니다. 온도란 입자, 분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활발한 정도)입니다. 입자를 빠르게 움직이게 할 수록 온도가 높아집니다. 즉, 온도가 증가하면 입자들이 활발해져 부피가 증가하죠. 반대로 온도가 낮다는 것은 입자들의 움직임이 둔해 뭉쳐있음을 의미합니다.즉, 온도가 낮아 뭉쳐있게 되면 같은 부피속에 더 많은 공기들이 존재해 무거워지며, 온도가 높으면 더 적은 공기들이 존재해 가벼워집니다. 그래서 찬공기는 가라앉고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는 것입니다.네, 물과 같은 액체 상태에서도 이러한 원리가 적용됩니다.하지만 물의 경우 조금 특수합니다. 다른 물질은 액체에서 고체가 되면 부피가 줄어들어 밀도가 증가하지만, 물은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증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밀도가 낮아져 얼음이 물위를 둥둥뜨는것이죠. 또한, 물은 온도4도에서 밀도가 가장 커 높은 온도에서 4도까지는 밀도가 점점 높아지지만 4도 보다 낮은 온도가되면 부피가 증가해 밀도가 커지게됩니다.
학문 /
화학
23.07.23
0
0
식품 속 습기제거제는 어떤 원리로 습기를 제거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닐이나 용기에 담긴 음식은 일단 외부 공기중의 수증기의 접촉을 막아줍니다. 하지만, 비닐포장을 뜯었다 다시 비닐 포장을 밀봉한 경우나, 용기를 열었다가 다시 밀봉한 경우 공기중 수증기에 노출이 된 상태이죠. 이 때 용기 내부에 있는 실리카겔 제습제는 용기 내 수분을 흡수하여 용기속 수증기량을 낮춰주죠. 실리카겔은 수분을 흡착, 흡수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음식물이 눅눅해지는것을 방지합니다.
학문 /
화학공학
23.07.23
0
0
선풍기의 바람은 어디까지 날라 갈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선풍기의 세기에 따라 다릅니다.선풍기는 바람개비가 사선 뱡항으로 놓인채로 회전하며 공기를 튕겨냅니다. 선풍기의 약풍의 속력은 5m/s정도 입니다. 즉, 바람의 속력인 공기의 속력이 5m/s입니다. 이것이 공기를 타고 날아갈 경우 공기저항에 의해 멀리 날아가진 못합니다. 잔잔한 환경속에서 7m~10m이상만가도 바람을 느끼기 어렵죠. 물론 강풍으로 틀경우 평균적인 속력이 7m/s 이므로 10m~13m정도까지 가면 아주 미미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3
0
0
머리에 총을 맞는다면 고통을 느끼는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머리에 총을 맞게되면 즉사한다고 합니다. 두피를 뚫고 머리골을 통과할때까지는 감각이 있어 아프겠지만, 뇌에 가해지는 충격은 고통을 느낄 수 없습니다. 아주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일이므로 뇌가 손상되 즉사하게되죠.
학문 /
생물·생명
23.07.23
0
0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