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인간외의 동물중 정서적인 눈물을 흘리는 동물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은 눈병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눈물을 흘리는 것입니다. 반려견이 우는것은 눈병의 확률이 높습니다. 동물의 감정표현은 울부짖음, 신음, 꼬리 흔들기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23
0
0
kf 21전투기 엔진은 왜 미국꺼?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술력의 문제입니다. 아직 국내 전투기 엔진을 독자적으로 생산해내기엔 기술력이 떨어지기에 해외에서 협력을 받아 생산하고있죠. 우리가 만들수있다고 한들 해외 전투기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직접 만드는 것보다 도움을 받아 만드는것이 낫다 판단한것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8.23
0
0
'언 발에 오줌 누기'는 몇도부터 말이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줌의 어는점은 영하1~2도 정도 됩니다. 야외에 있는 상황이고 언 발을 무언가로 감쌀 수 없다는 조건 하에 영하 1도 이상의 조건에서 언 발에 오줌을 누어도 얼지 않습니다. 하지만 오줌이 식게되고 증발을 할 텐데 증발하는 열을 체온에서 뺏어가므로 결국 시간이 지나면 더 추워질 것입니다. 때문에 오줌을 빈통에 담아둔 상태로 발에 접촉시키는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입니다. 언 발에 오줌을 보는것은 잠시 따스함을 누릴 뿐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8.23
0
0
왜 구름들의 모양은 제각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 시냇물 등에서 물의 증발이 일어납니다. 한 지역 내에서 증발이 일어나고, 하늘로 상승합니다. 상승하면서 기온이 뚝뚝 떨어지죠. 기온이 떨어지게되면 수증기가 식게되면서 액체가 됩니다. 결국 하늘에서 수증기 입자들이 액체가 되어 구름을 형성하게 되죠. 이렇게 형성할때에는 간단한 규칙이 있지만 모양에 있어서는 불규칙적이고 랜덤합니다. 그래서 구름의 모습이 제각각 다르죠. 또한 지구상에는 기류가 있는데, 따뜻한 기류와 찬기류가 만나는 부분에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때에도 어떤식으로 만나냐에 따라 구름의 모양이 달라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3
0
0
휴대폰에서 홀로그램 사용하는 시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홀로그램 기술은 끊임없이 연구하고 개발중에 있습니다. 현재는 전시, 박물관, 공연 등에 사용됩니다. 질문자님께서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나 영상통화같은것을 생각하시는듯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사실상 실현이 힘들고 조금 더 시간이 지나야 기술이 개발될듯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23
0
0
세균과 바이러스는 서로 다를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다릅니다. 세균 : 세포막, 세포질, 세포벽등으로 구성되며, 자체적으로 증식이 가능합니다.바이러스 : DNA, RNA가 단백질에 의해 둘러쌓여있으며, 자체적으로 증식이 불가하고 숙주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23
0
0
달 모양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삭 등 태양-달-지구의 위치관계에 따라 결정됩니다.만약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놓여있다면 지구안에서는 보름달을 볼 수 있습니다. 달이 빛이 나는이유는 태양빛을 반사하기 때문인데, 달이 지구를 공전할때 위치에 따라 태양 빛을 반사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달의 모양이 변하는것이구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3
0
0
바다속 소용돌이가 생기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용돌이가 생기는 이유는 물의 흐름이나 공기의 흐름, 즉 유체의 불규칙한 흐름에 의해 발생됩니다. 이런 불규칙한 흐름으로 인해 소용돌이가 생겨나는 것이고, 상승기류나 기압차의 영향으로 소용돌이가 성장하여 커질 수 있습니다. 소용돌이에 휩쓸리면 강한 회전 바람에 휩쓸리는것으로 아주 위험합니다. 소용돌이는 보통 강한 상승기류 작용이 발생하는데, 빨려들어가면서 공중으로 떠오르죠. 그리고 특정 높이까지 올라가면 상승기류의 영향이 작아져 낙하하게됩니다. 바다속 소용돌이는 반대로 바다속으로 빨려들어가는 성질을 지녔습니다. 만약 바다에서 소용돌이를 만나 휩쓸리게되면 소용돌이 중심부(수면 깊은 곳)로 들어가게됩니다. 그리고 어느 정도 들어가게되면 하강시키려는 힘이 약해져 바다속으로 던져지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3
0
0
콜라나 사이다에 멘토스를 넣으면 폭발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이의 호기심을 충족시키려 하시다니 멋지십니다. 멘토스는 껌처럼 질긴 성질과 끈적한 성질이 있는데 이는 아라비아 고무성분 때문입니다. 그리고 콜라에는 탄산염이 있어서 청량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멘토스의 아라비아 고무성분과 탄산염이 반응하여 급속도로 탄산(이산화탄소)을 만들어내는 원리입니다.
학문 /
화학
22.08.23
0
0
피로회복제를 보면 타우린이 들어가있는데 어느방식으로 피로회복을 해주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피로라는 것은 사람이 필요한 에너지만큼 몸에서 에너지를 생성해내지 못하면 생기는 것입니다. 타우린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체내 혈당이 부족할 때 당 분해를 촉진하는 유전자를 활성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피로 회복 뿐만 아니라 심장 근육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가 있죠.
학문 /
화학
22.08.23
0
0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