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구는 어떠한 과정으로 지금의 지구가 만들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 존재하는 가스나 기체들에 의해 뭉치며 점점 강한 중력을 형성해 주변의 가스를 더 끌어모아 지구와 같은 행성이나 별과 같은 천체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로 태양이 만들어지고 태양계 주변에 분포한 물질과 가스등이 중력에 의해 모여 각각의 행성을 형성하였을 것입니다. 이는 번쩍하는 동시가 아닌 굉장히 오랜 시간에 거쳐 만들어졌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질량을 가진 두 물체에 대해 운동을 하고 있을 경우 원, 타원 궤도 운동 등이 가능합니다. 물론 쌍곡선 포물선과 같은 운동도 가능합니다. 태양계 내의 행성은 탄생과정에서 태양 중력에 의해 타원 궤도 운동을 시작하였습니다. 이 때 궤도 운동을 시작할 당시 가스, 먼지의 각운동량(회전)이 정해지면서 행성의 공전 방향과 속력이 정해졌을 것입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이어온 것이죠. 그래서 행성은 자전하고 공전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3
0
0
기원전 기원후는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예수님이 탄생한 해, 오신 해를 기준으로 기원전(Before Christ), 기원후(Ante Chiristum-라틴어 AC, Anno Domini AD)로 나뉩니다. 지금의 년도는 AD로 예수님이 오신지 2023년이 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2
0
0
오존은 해로운건지 이로운건지 모르겠습니다. 과학적 기준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존은 우리에게 이로운 역할을 해줍니다.태양 빛에는 다양한 파장의 빛이 지구로 날아옵니다.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부터 적외선, 자외선 등이 날아오죠. 그런데 여기서 자외선 영역대에 있는 빛은 우리 피부를 손상시켜 피부병, 피부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오존층은 이 자외선을 어느정도 차단해주죠. 그래서 우리가 자외선의 많은 노출없이 지낼 수 있는것입니다. 그리고 오존층의 존재는 지구의 온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오존층의 존재는 마치 단열재와 같은데요. 오존층이 존재함으로써 지열을 우주밖으로 전부 내보내지 않고 일부는 오존층에서 흡수되어 지구를 따뜻하게 만들어줍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2
0
0
에어컨의 작동 원리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902년 코넬대학교 전기공학 석사 출신의 엔지니어 윌리스 캐리어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에어컨의 작동원리는 공기가 통과할 때 이 공기의 열을 냉각수를 이용해 빼냅니다. 공기를 냉각 시키는 것이죠. 공기에서 빼낸 열을 실외기를 통해 분출하고 차가운공기는 실내로 보내는 원리입니다. 그리고 냉매는 다시 냉각되어 공기를 차갑게 만들어주죠.에어컨 뒤에 연결된 물관을 통해 물이 뚝뚝뚝 흘러나오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 공기가 식으면서 공기 중에 있던 수증기가 물이된것입니다. 이 물을 배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제습작용도 동시에 이뤄지고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2
0
0
쓰나미가 생기는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쓰나미는 지진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우리나라와 가깝게 위치한 일본에서 쓰나미가 일어나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우리나라는 판의 경계부에 놓여있지 않지만 일본 바로 남쪽 밑 부분에 판의 경계부가 있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쌓여있기 때문에 강한 지진이 발생할 시 쓰나미가 일어날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2
0
0
명왕성이 우리 태양계에서 빠지게 된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계기는 에리스라는 소행성을 발견하고나서부터입니다. 발견 당시 에리스는 태양 주위를 멀리서 돌고있었고 명왕성과 크기가 유사하였습니다. 그래서 국제천문연맹은 에리스를 10번째 행성으로 넣어야 하는지 의논을 시작하였죠.그러면서 명왕성을 다시 잘 관측해보니 태양주위를 돌지만 공전궤도가 찌그러져 해왕성의 공전궤도를 침범할 때도 있었으며, 명왕성이 행성으로써의 크기와 질량을 갖지 못하여 행성보다 위성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행성이 되기위해선 위성을 둘만한 중력이 필요하다고 정의한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명왕성이 행성 자격을 박탈당하게된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2
0
0
태양이 사라진다면 지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이 갑자기 사라진다면 지구를 포함한 수,금,지,화,목,토,천,해,명 등 태양 중력에 사로잡혀있던 모든 천체가 흩어질 것입니다. 또한, 지구에서는 더 이상 외부로부터 열에너지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기온이 떨어질 것입니다. 또한, 광합성을 하는 생물들은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죽어버리기 때문에 지구 내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이산화탄소가 늘어나 서서히 생명체의 죽음에 다다를 것입니다. 인류의 기술력이 많이 발전했으나 태양의 빈자리를 메울만한 에너지를 생산해내긴 힘듭니다. 그래서 서서히 식물의 종말 될 수 있고, 동물이 죽게되면서 인류또한 멸망 할 것으로 예상되네요. 그리고 지구는 얼음 별이 될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2
0
0
비가 땅에 떨어지는 속도는 어느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빗방울의 종단속력은(낙하할 때 공기저항을 받아 일정해지는 속력) 9m/s 정도가 됩니다. 그리고 빗방울의 무게는 0.1g 정도입니다. 빗방울의 속력이 더 증가하지 않는 이유는 낙하하면서 속력이 빨라짐에 따라 공기저항력이 커집니다. 이 때 공기저항력이 중력과 같아지면서 힘의 평형을 이뤄 등속운동을 하는 것이죠.만약 공기저항이 없다면 빗방울의 속력은 150m/s 이상이 됩니다. 이는 시속 500km이상으로 굉장히 빠른 속력이고 충격량이 커 따갑게 느낄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2
0
0
전자렌지에 물을 데울때 컵보다 물이 뜨거워지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물 분자를 진동시키는 원리로 음식을 데우게 됩니다. 즉, 음식에 존재하는 수분과 물기가 뜨거워지며 음식을 뜨겁게 하는 원리입니다. 물을 담는 컵이나 음식을 담는 접시 내부에는 물이 없기 때문에 마이크로파에 의해 진동하지 않아 뜨거워지진 않습니다. 하지만, 음식물을 오래 돌릴 시 뜨거운 열기가 그릇이나 컵에 전달되어 뜨거워질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2
0
0
매미는 땅위로 올라오기전 7년 동안 땅속에서 애벌레 상태로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매미는 성충(매미)가 되기까지 7년이란 세월을 견뎌냅니다. 이후 성충이되어 지상생활을하는데 7~20일정도의 생활을 한다고 합니다. 이 짧은 기간동안 노래도하고 짝짓기도하고 날아다니기도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22
0
0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