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퀘이사로 부터의 거리와 우주의 나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나이는 138억년이지만, 우주 초기에 인플레이션이라는 급팽창 과정이 있었습니다. 또한 우주 초기에는 고밀도 고에너지 상태였기 때문에 시공간의 개념이 현재와는 다릅니다.(상대성 이론에 의해)그래서 짧은 시간에 엄청난 팽창을 하였고, 이로 인해 150억 광년도 넘는 거리가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1
0
0
인공위성이 갈수록 늘어나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엄청난 수량의 인공위성이 있긴하지만, 앞으로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을 수거할 기술도 개발중입니다. 그리고 인공위성은 밤하늘에보이는 별정도의 크기로 보이는데, 천문학적인 숫자로 많아야 햇빛이 차단되거나 할것입니다. 아직은 모래알로 하늘을 가리는 정도라 큰 영향이 없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1
0
0
가벼운 물체와 무거운 물체는 중력이 다르게 적용될것 같은데 떨어지는 속도는 왜 같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같은 높이에서 물체에 무게에 따라 중력은 다르지만, 중력가속도는 같습니다.일단 중력의 원천은 만유인력입니다. 만유인력은 질량을 가진 두물체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입니다.지구와 사람사이에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는데 이게 중력이고 우리가 지구에 붙어있는 이유입니다. 하지만 중력가속도는 지구질량에만 의존합니다. 사람의 질량과는 무관하죠. 그래서 중력가속도는 모든 물체가 동일합니다. 하지만 중력이 다른이유는 중력은 지구질량x물체의질량에 의존하는 값이므로 물체의 질량에 의존합니다.
학문 /
물리
22.08.21
0
0
전기도 와이파이처럼 무선전송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학교 과학시간에 페러데이법칙, 전자기 유도법칙에 대해 배워보셨을 겁니다.도선으로 칭칭 감은 코일에 자석을 움직이면 이 자석의 움직임에 반하는 방향으로 전류가 생기는것을 배웠을 겁니다. 또는 흐르는 전류 주변으로 자기장이 만들어진다는것을 들어보셨을겁니다.아직 배우지 않으셨다면 곧 배울 예정일 수도 있구요.이렇게 자기장의 변화가 전류를 만들고, 전류의 변화는 자기장을 만듭니다. 그리고 흔히 말하는 빛, 전파는 전자기파입니다.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동으로 이뤄진것을 빛이라고합니다.)이 빛이나 전파를 수신부로 송신함으로써 전류를 흐르게 할수있습니다.또, 광전효과라고 있는데, 높은 에너지의 빛을 도체에 쪼으면 전류가 흐르는 현상입니다.이러한 현상들로 전류를 흘려보낼수있습니다. 물론 전봇대나 전깃줄이 해주는 역할을 하지는 못해서 아직 전봇대가 사라질 일은 없을듯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21
0
0
물리에서의 운동에 관한 질문..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마찰이 없다는 가정하에 등속 운동의 경우 관성에 의해 일정하게 움직입니다. 관성이란 물체가 멈춰 있을땐 계속 멈춰있거나, 일정한 속력으로 움직일때에는 지속적으로 그 운동을 유지하려는 성질입니다. 물론 외부 마찰이 있을경우에는 힘을 가해주지않으면 언젠가는 멈추게됩니다. 중력과 중력가속도의 차이는 중력은 힘이고 중력가속도는 가속도입니다. 힘은 물체의 외형이나 운동을 변화시키는 물리량이고, 중력가속도는 단위 시간동안 속도의 변화량을 의미합니다.중력가속도가 생기는 원인이 중력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중력은 힘이고 이 힘은 물체의 운동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가속도를 만들어냅니다. 이 때 생기는 가속도를 중력가속도라고합니다. 약 1초에 9.8m/s 씩 속력을 변화시킵니다. 그래서 중력가속도는 9.8m/s^2 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멈춰있는 물체에 힘을 가하면 멈춰있던 물체는 운동을 하게됩니다. 이 때 정지(속력=0)상태에서 운동상태(ex.속력=3m/s)로 움직였기때문에 가속운동을 한것이죠. 가속운동을 할 수있었던 원인은 힘을 가했기 때문이고요.이처럼 지구와 물체사이에 작용하는 만유인력이 중력이 되는것이고, 이 중력이 물체를 가속시키기 때문에 중력가속도를 만드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학문 /
물리
22.08.21
0
0
날씨가 덥고, 가뭄이 심할때 헬리콥터나 하늘에서 인공 비라고 이야기는 들어 보았으나 어떻게 운용되고, 사용되는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뭄이 극심한 지역에서는 인공 강우를 사용하고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가뭄이 있긴하지만 심한편이 아니라 아직 사용하지않고있습니다. 절차나 비용의 경우 국가적으로 허가할시 가능하겠지만 그 비용은 작지 않습니다. 비행기와 기술을 도입하여 사용할시 200억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며 유지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을것입니다. 물론 온난화가 심해질수록 우리나라의 가뭄도 심해질것입니다. 현재도 인공 강우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가뭄 수준에 들어가기전에 조치를 취할것으로 예상됩니다.
학문 /
화학
22.08.21
0
0
노화가 산화라고 하는데, 산소가 적은곳에서 산다면 노화가 늦어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노화라는것이 산소의 영향만 받는것이 아닌 유전적 인자에 의한것이 더 큰 의존도를 갖습니다. 그래서 고산지대라고해서 노화가 늦는게 아니라, 유전적 인자에 의해 결정되므로 큰 영향을 주진 않습니다. 또, 자외선을 많이 받게되면 피부의 노화가 촉진되는데, 고산지대에서는 자외선이 강하므로 피부노화에는 노출되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화학
22.08.21
0
0
일본 여행가려는데 방사선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어느정도 여파가 사라졌지만, 원폭에 피폭된 음식을 피하신다면 영향을 받지 않을 것입니다. 방사선에 의한 영향은 원전 사태 직후에 가장 강하고 서서히 사라집니다. 이를 외부 피폭이라합니다.하지만 음식이나 생물체의 체내에 방사성 물질이 축적되 쌓인것을 내부 피폭이라하는데 이를 피하셔야 할듯합니다.
학문 /
화학
22.08.21
0
0
왜 우주로는 갈 수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를 탈출하여 우주로 가기위해서는 최소 초속 11.2km의 속력이 필요합니다.1마하는 0.34km/s 입니다. 즉, 32.9마하 이상의 속력을 내야 탈출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1
0
0
지구온난화가 계속 된다면 인류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온난화는 큰 문제입니다. 기후가 변화하면서 온도가 높아져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 수위가 높아집니다. 그러면 해안가 주변이 침식되기도하고, 대륙의 일부가 물에 잠기기도합니다. 또한,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에 생태계의 변화도 생겨나 해로운 곤충에 의한 피해를 입기도 합니다. 또 폭염과 가뭄에 시달릴수도있고 장마로인해 수해를 입을수도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1
0
0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