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주는 계속 팽창중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가 계속 팽창할 지, 정적으로 변할지, 다시 한점으로 수축할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현재까지도 이부분에 대해서는 많은 과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있습니다. 만약 이 팽창이 멈춘다고한다면, 특정한 크기로 유지되거나 수축할 수 있습니다. 만약 수축한다면 모든 별과 행성, 우주의 먼지 등이 한곳으로 모이게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0
태양의 그 큰에너지는 어디서 나오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은 별 중에 하나입니다. 별은 핵융합 반응이 에너지원입니다. 원자 두개가 합쳐서 새로운 원자가 만들어지는 과정인데, 주로 수소와 수소가 합쳐져 헬륨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일어납니다. 이때 두 원자의 질량보다 새롭게 생성된 원자의 질량이 작은데, 손실된 질량은 에너지로 전환됩니다. E=mc^2 만큼 에너지가 생성된다고 이해하면됩니다.우주에서는 태양보다 훨씬 큰 별들이 무수히 많습니다. 그양은 정확하게 얼마다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미지합니다. 앞으로 인류가 풀어야할 숙제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0
지구의 판과 판사이에서 일어나는 일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판은 조금이라도 항상 움직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판과 판이 서로 만나는 부분은 밀도가 큰 판이 밀도가 작은 판 밑으로 들어갑니다. 이로인해 지진이 발생하고 산이나 섬이 만들어지기도합니다. 또한 해구가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판과판이 멀어지는 경계부분에서는 해령이 형성됩니다. 이 또한 지진이 발생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1
만약 지구에 중력이 두배가 된다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중력이 두배가 된다면, 지면으로 떨어지는 볼펜이나 사과 등 물체는 기존보다 빨리 떨어집니다. 또한 우리가 느끼는 몸무게는 2배가 되기 때문에, 그에 맞는 근육량이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상대성이론에 의해 시간이 더디게 가지만 이는 체감을 못한다고 보면 됩니다. 넘어졌을때 기존보다 더 크게 다칠 것입니다. 일상생활에 적응하는데 꽤 오랜시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1
세계모든사람들이 동시에 멈춘다면 시간이 멈출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시간에 대해 철학적으로 생각하시는거 같습니다. 시간이라는것은 우리의 움직임이라는 행위에서 만들어 내었습니다. 만약 이론적으로 모두가 동시에 멈추고 아주 작은 전자, 원자핵, 빛조차 멈추게 된다면, 시간이 멈췄다고 생각할 수있습니다. 하지만 눈으로 보이는 우리의 행동, 자동차, 시계 이러한 것만 멈추고 전자의 움직임은 멈추지 않았다면 시간이 멈췄다고 말하기엔 어렵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0
왜 기상예보는 정확 하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어떤 결과를 예측하기위해서는 모델링이라는것을 해야하고 과거에 발생한 정확한 자료가 필요합니다.예보가 정확하지 않는 이유는, 현실에서 사용하기에 완벽하고 정확한 모델이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모델링을 정확하게 하기위해서 과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것이 아직까지 쉽지는 않습니다.특히 날씨라는것은 지구 전체적으로 환경요소를 고려해야하므로 다른 예측에 비해 쉽지가 않습니다. 또한, 모델의 결과를 얻기위해 자료를 입력해주어야하는데 이자료가 오류가 있을 경우에는 잘못된 예측을 할 수도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0
바람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 걸까요?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생각하시는게 맞습니다. 바람은 기압차이, 온도차이에 의해 생깁니다. 지구의 자전에 의해 바람의 방향이 영향을 받습니다.기압골이 차이나는것이 기압차이를 의미하는것이므로 바람이 부는 원인이 맞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0
지구위도상 사계절이 가장 뚜렸한 위도는 어디 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4계절이 뚜렷한 위도는 북반구 남반구 각각 중위도(30~60)정도입니다. 대륙은 대부분 북반구에 위치하므로 북반구 중위도에서 가장 뚜렷한 계절을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0
새끼 발톱은 왜 가끔씩 두개로 갈라지는 현상이 발견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발톱이 부실한것보다 유전적 성질에 의한 것입니다. 쌍커풀이 있고 없고의 문제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08
0
0
가을이 되면 하늘이 높아보이는 까닭이 궁금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의 산란과 관련이 있습니다. 가을은 봄 여름에 비해 대기가 맑은 상태입니다. 여름에 비가내리고 깨끗하게 씻긴 이유때문이기도 하고, 가을 기단의 영향으로 지면의 먼지가 하늘로 상승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태양 빛이 높은 하늘에서 산란되어 우리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높아 보입니다. 봄, 여름에는 수증기와 먼지의 상승으로 인해 덜 높아 보이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0
568
569
570
571
572
573
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