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태양의 플레어가 안으로 말려들어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플레어는 활발한 태양활동(흑점이 많을 때)과 불안정한 자기장이 형성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태양의 활발한 활동으로 태양 표면에서 폭발이나 에너지의 분출이 일어날 경우 태양기준으로 하늘로 치솟아 그대로 떨어지는 것이 아닌 자기장에 의해 말려들어 곡선의 형태를 띱니다. 태양의 일부가 폭발한다는 것은 플라즈마 상태의 물질들의 폭발입니다. 이 때 물질은 전하를 가지고 있으며, 전하를 가진 물질이 자기장내에서 운동을 하게 되면 나선 운동, 원운동과 같은 곡선운동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플레어의 모양은 자기장에 의해 곡선의 형태를 띠고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2
0
0
토성의 고리처럼 고리를 가진 또다른 행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토성과 같이 고리를 가진 행성이 있습니다.목성, 천왕성, 해왕성도 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토성의 고리가 가장 뚜렷하죠.목성 - 제임스웹천왕성-제임스웹해왕성-제임스웹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2
0
0
혈액형과 성격이 서로 과학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혈액형과 성격의 과학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연구를 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혈액형과 성격은 통계적으로 판단한 것으로 특정 혈액형에 대해 성격을 단정짓는 것은 잘못된 판달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22
0
0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자석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연물보다는 전자석이 강합니다. 전자석은 자력의 세기를 원하는데로 조절이 가능합니다. 전자석은 코일을 감아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발생되는 자기력입니다. 이 자기력의 세기는 전류를 많이 흘려줄수록, 코일을 많이 감을수록 세집니다. 그래서 특정한 세기를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참고로 전자석의 세기가 45T 정도가 되는 것도 있습니다. 물론 이보다 더 강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2
0
0
지구의 자전속도가 느려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자전이 느려지는 이유는 달과 지구사이에 서로를 이끄는 만유인력(중력)에 의한 에너지를 조금씩 손실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지구에 다량의 물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물이 저항역할을 하여 자전이 조금씩 느려지고 달이 조금씩 멀어지고 있죠. 물론 아주 미미합니다.여기서 만유인력에 대한 이해가 조금 필요합니다. 만유인력이란것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지구도 질량체이고 달도 질량체 입니다. 두 질량체 사이에 만유인력이 작용해 서로를 끌어당기고 있죠. 그런데, 달이 지구로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회전운동, 각운동량을 가짐)을 하기 때문에 중력과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 속에서는 전체적인 총 에너지와 각운동량(회전량)이 보존되고 있습니다.그런데, 지구는 자전하고 있으며, 지구에는 바다와 호수와 같은 물이 70%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때 달과 지구 사이의 관계에서 달이 공전하며 지구에 만유인력을 행사하는데, 바다와 호수와 같은 액체의 물질의 모양이 변화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지구 내에서 조수 간만의 차로 나타나며 수위의 변화, 파도 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지구 자전에 있어 마치 마찰력과 같은 영향을 미칩니다. 즉, 지구의 자전을 더디게 하죠. 그러면 지구와 달의 총 각운동량(회전량)은 일정한데, 지구의 자전이 더뎌지면서 달의 회전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지구와 달 사이 만유인력과 달의 회전 운동으로 인한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던게 깨지게 되는 것이죠. 달의 회전 운동량의 증가로 원심력이 커지면서 달이 조금씩 멀어지고 있죠.태양과 지구사이의 관계도 마찬가지 입니다. 태양 중력으로 인해 조수간만의 차가 발생하는데, 이로인해 자전 각운동량을 잃으며 회전 각운동량이 증가해 사이가 조금씩 멀어집니다. 이러한 원인은 지구에 있는 물의 양이 많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2
0
0
아래층보다 위층이 더 더운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층의 경우도 더울 수 있습니다. 위층의 경우 보통 열기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위층으로 열기가 모이게 됩니다. 또한, 옥상 바로 아래층의 경우 햇빛을 받아 열기가 전달돼 천장이 뜨거워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1층 또한 지열의 뜨거움으로 더울수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1
0
0
전기 관련 KW와 KWh의 차이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터의 KW는 순간적으로 일을 어느정도하는지 능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KWh는 1시간에 할 수 있는 일의 양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배터리의 용량이 클수록 KWh가 커집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1
0
0
원자,분자의 차이를 설명해주실분??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분자란 원자들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물질로 흔히 잘아는 물-H2O가 있습니다.이 물은 H(수소 원자) 2개와 O(산소 원자) 한개로 이루어져 있죠. 이러한 것들을 원자라고하며 자연계에 존재하는 원자는 굉장히 많습니다. H 수소, He 헬륨, Li 리튬, Be 베릴륨 등등 많으며 분류되는 기준은 구성 요소입니다.이 원자를 살펴보면 다시 전자(-)와 원자핵(+ 양성자와 중성자)으로 분리가 될 수 있습니다. 수소는 전자한개 양성자 한개 중성자 한개, 헬륨은 전자 2개 양성자 2개 중성자 2개 이런식으로 하나씩 늘어나는 순서대로 나열됩니다. 이러한 원자들이 결합된것이 분자입니다.그리고 여기서 전자(- electron)는 더 이상 분해되지 않는 기본입자가 됩니다. 하지만 원자핵은 다시 분해할 수 있습니다. 분해해보면 양성자(+ proton)와 중성자( neutron)으로 분해가 됩니다. 그런데, 양성자와 중성자는 기본입자가 아닙니다. 이들을 분해하려해보니 또다른 입자들이 생성되거나 다른 입자로 전이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들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을 쿼크라고 정의하였습니다. 양성자와 중성자는 쿼크 3개로 구성된 입자입니다. 문제는 이 쿼크는 떼어낼 수가 없습니다. 쿼크와 쿼크사이에는 강력(strong)한 힘이 작용하여 떼어내려고하면 할수록 다른 입자가 만들어지고, 더 강하게 붙으려고 하기 때문이죠. 이처럼 현재까지 정의되는 기본입자들은 전자, 쿼크, 뮤온, 글루온, 빛,힉스 등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분해하거나 더 작은 단위의 존재로 만드는 것은 현재까지 불가능합니다.
학문 /
화학
23.07.21
0
0
원소원자전자들의 분리성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분자란 원자들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물질로 흔히 잘아는 물-H2O가 있습니다.이 물은 H(수소 원자) 2개와 O(산소 원자) 한개로 이루어져 있죠.이 원자는 다시 전자(-)와 원자핵(+)으로 분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전자(- electron)는 더 이상 분해되지 않는 기본입자가 됩니다. 하지만 원자핵은 다시 분해할 수 있습니다. 분해해보면 양성자(+ proton)와 중성자( neutron)으로 분해가 됩니다. 그런데, 양성자와 중성자는 기본입자가 아닙니다. 이들을 분해하려해보니 또다른 입자들이 생성되거나 다른 입자로 전이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들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을 쿼크라고 정의하였습니다. 양성자와 중성자는 쿼크 3개로 구성된 입자입니다. 문제는 이 쿼크는 떼어낼 수가 없습니다. 쿼크와 쿼크사이에는 강력(strong)한 힘이 작용하여 떼어내려고하면 할수록 다른 입자가 만들어지고, 더 강하게 붙으려고 하기 때문이죠. 현재까지 정의되는 기본입자들은 전자, 쿼크, 뮤온, 글루온, 빛,힉스 등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분해하거나 더 작은 단위의 존재로 만드는 것은 현재까지 불가능합니다.
학문 /
화학
23.07.21
0
0
에어컨은 무슨 원리인가요? 어떻해 시원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컨의 작동원리는 공기가 통과할 때 이 공기의 열을 냉각수를 이용해 빼냅니다. 공기를 냉각 시키는 것이죠. 공기에서 빼낸 열을 실외기를 통해 분출하고 차가운공기는 실내로 보내는 원리입니다. 그리고 냉매는 다시 냉각되어 공기를 차갑게 만들어주죠.에어컨 뒤에 연결된 물관을 통해 물이 뚝뚝뚝 흘러나오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 공기가 식으면서 공기 중에 있던 수증기가 물이된것입니다. 이 물을 배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제습작용도 동시에 이뤄주는 역할도합니다.
학문 /
화학
23.07.21
0
0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