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영화속에서 보면 투명망토가 가끔 등장하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제는 실제로 가능한 기술입니다.투명망토는 메타물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습니다. 메타물질은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혼합하여 굴절률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끔 만든 물질입니다. 보통 물체의 굴절률은 양의 굴절률을 가지며 휘어져 투과하지만, 메타물질의 경우 음의 굴절률을 가지며 빛이 물체 주변을 둘러가기 때문에 마치 없는 거처럼 느껴져 투명성을 띠는 원리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8
0
0
새는 항상 전깃줄에 앉아있는데 감전이 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는 전깃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습니다. 또한 전선이 튼튼하고 높게 위치하고 있다면 사람이 매달려도 감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이는 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와 같은 이유입니다.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새가 전선에 착지하게 되면 전선과 병렬로 연결된 셈이기 때문입니다. 병렬로 연결 된 회로에서는 한쪽 저항이 크게되면 저항이 작은 쪽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새의 몸은 하나의 저항체로 저항이 매우 큰 전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와 병렬로 연결된 전선은 저항이 매우 작은 전선이기 때문에 병렬연결된 상태에서 저항이 작은 전선 쪽으로 전류가 흐르고 새쪽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감전이 되지 않는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3.07.18
0
0
버스 내릴 때 누르는 빨간 버튼 어떻게 해서 꺼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차버튼에 빨간불은 하차문을 열게되면 하차버튼(빨간색 불)이 자동으로 꺼지게끔 설계되어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7.18
0
0
5g는 대 국민 사기극이라고 하던데요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논란이 있습니다. 5g는 인터넷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20Gbps의 속도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데, 실제로 20Gbps의 속도가 나오지 않았으며, 이용할 수 있는 영역도 제한적이었죠. 즉, 인프라가 완전히 갖춰지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력을 누릴 수 있다고 하여 통신요금을 올려 5G를 출시하여 벌금을 부과받았죠.LTE, 5G, 6G 는 인터넷 속도의 차이라고 이해하시면됩니다.5G는 20Gbps(giga bits per second) 로 초당 20Gb 전송이 가능합니다.6G는 1Tbps 로 초당 1Tb(=1000Gb) 전송이 가능합니다.6G는 5G에 비해 50배나 빠른 전송속도를 가지고 있죠.
학문 /
화학
23.07.18
0
0
순간이동 기술은 정말 불가능한 기술인가용?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순간이동이란 먼거리를 짧은 시간에 이동하는 기술입니다.이를 가능하게 하려면 기존의 속도보다 굉장히 빠른 이동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빛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이동을 하여 순식간에 이동을 하는 것이죠. 하지만 아직 사람이나 큰 물체를 빛의 속도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기술은 없습니다. 나사에서는 빛의 속도에 근접하게 낼 수 있는 엔진을 개발중이라고 합니다.다른 방법으로는 사람이나 물체의 입자구조, 배열, 구성 요소 등의 정보를 파악해 정보를 전달하여 똑같은 모습을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모든 물질은 전자, 쿼크(쿼크로 이루어진 양성자, 중성자), 빛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입자들에 대해 구성하는 종류와 존재 위치, 배열, 간격 등 정보를 치밀하게 파악하여 전달한 뒤 똑같은 물체를 복제하듯이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그러면 순간이동을 한 셈이죠. 하지만 문제가 생깁니다. 이것이 정말 순간이동하기 전의 물체와 똑같은 것인지 아니면 다른 존재인지에 대한 문제가 생기죠.또 다른 방법으로는 웜홀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웜홀은 상대성이 이론에서 나온 이론적인 것으로 관측하지 못한 존재입니다. 우리가 살고있는 공간에서 먼거리를 짧게 이어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그래서 먼거리를 아주 단시간에 이동이 가능하죠. 하지만 웜홀이 존재한다면 불안정하고 금방 소멸된다고 하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이동이 쉽지 않을 것이라 합니다.시간 여행의 경우 미래로는 이동이 가능합니다. 과거는 불가능하죠.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력과 비슷한 속력으로 여행을 다녀오거나, 중력이 강한 행성을 다녀오게 되면 지구에 있는 사람들보다 시간이 느리게 흘러 마치 미래로 이동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일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광속까지 얻는 추진력(에너지)이 필요하고, 광속에 비슷한 속력으로 이동하는 동안 외부와 충돌없이 안전하게 운행해야합니다. 그리고 중력이 강한 행성에 가기 위해서는 가는데 까지 필요한 연료와, 강한 중력을 견딜 수 있는 육체가 필요하죠. 그래서 영화에서는 쉽게 가능하지만 현실에선 거의 불가능하시다고 보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8
0
0
태양계 주변으로 떠돌이 블랙홀이 지나가게 된다면 어떤일이 발생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거대한 블랙홀이 태양계 주변에 온다면, 블랙홀의 강한 중력장에 의해 태양계의 안정적인 상태가 깨질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행성들의 궤도가 깨져 태양계를 이탈할 수도 있으며, 운이 나빠 블랙홀과 가까워질 경우 블랙홀에 흡수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8
0
0
타임머신 같은 공간이동이 가능한 이야기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타임머신이라는 것은 시간을 이동할수있는 운송수단으로 꼭 공간을 이동할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시간을 이동할수 있는 수단은 현재까지 없으며 구현하기 어려운 기술입니다. 하지만 공간을 이동하는 운송수단은 지금도 존재하죠. 만약 시간을 이동할 수 있는 운송수단을 개발하면 공간이동은 쉽게 넣을 수 있습니다. 타임머신을 연구하는 연구자도 존재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타임머신이 구현되는데 까지 시간이 꽤 오래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시간 여행의 경우 미래로는 이동이 가능합니다. 과거는 불가능하죠.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력과 비슷한 속력으로 여행을 다녀오거나, 중력이 강한 행성을 다녀오게 되면 지구에 있는 사람들보다 시간이 느리게 흘러 마치 미래로 이동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일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광속까지 얻는 추진력(에너지)이 필요하고, 광속에 비슷한 속력으로 이동하는 동안 외부와 충돌없이 안전하게 운행해야합니다. 그리고 중력이 강한 행성에 가기 위해서는 가는데 까지 필요한 연료와, 강한 중력을 견딜 수 있는 육체가 필요하죠. 그래서 영화에서는 쉽게 가능하지만 현실에선 거의 불가능하시다고 보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8
0
0
외계 생명체를 찾을때 왜 물이 존재하는지부터 우선적으로 살펴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지구의 생명체의 경우 모든 생명활동에 있어 물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외계 생명체를 탐사할 때에도 물이 있는 행성인지를 먼저 따져보는 것입니다.하지만 외계 생명체의 경우 아직 미지인 영역이기 때문에 우리 지구에 있는 생명체와는 전혀 다른 메커니즘으로 생명 활동을 할 수도 있다고 가설을 세울 수도 있습니다. 이런 가정하에 탐사를 수행하려면 모든 행성에 대해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두고 탐사를 수행해야하죠. 노동의 량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그래서 지구와 같은 조건에서 생명체를 탐사하는 것이 확률상 더 높기 때문에 물이 있는지에 대한 탐사를 수행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8
0
0
왜 천둥이 치고 난 후에 소리가 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번개는 빛과 소리를 동반하기 때문입니다. 전자가 구름에서 대기로 방전되며 번개가 만들어지는데 이때 방전이 될 때 공기를 팽창 수축시켜 진동을 일으켜 소리가 나며, 전자의 이동으로 인해 공기 중 원자 및 분자의 에너지 상태가 변화되며 빛이 발산되는것이죠. 빛의 속력은 대략 30만km/s 이며, 소리의 속력은 대략 330m/s 입니다. 번개가 발생하여 우리가 관측하게 될 때 빛의 속력이 소리의 속력보다 빨라 번쩍임을 먼저 관측하고 우르르 쾅쾅 천둥 소리를 늦게 듣는 이유가 되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8
0
0
왜 사람은 일어서서 잘 수 없나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잠을 자게 되면 근육이나 뇌의 휴식이기 때문에 서서자게 되면 몸에 힘이 풀려 중심을 잡지 못하고 쓰러지게 됩니다. 또한, 무릎 관절부터 접히기 때문에 거의 서기란 불가능하죠. 하지만 기댈 곳이나 교정장치가 있으면 서서도 잘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3.07.18
0
0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