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번개가 바다에 치면 그 근처 물고기들이 죽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바다에도 번개가 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고기들은 안전할 것입니다.만약 바다에 번개(전자의 흐름)가 치게 되면 번개는 바다의 표면으로 퍼지게 됩니다. 왜냐하면 바닷물로 들어온 전자(번개에 의해)는 물 속을 뚫고 내려가는 것보다 바다 표면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번개가 치면서 전기장이 발생되는데, 이 전기장이 물 분자를 분극(+,-극을 나눔)시키기 때문입니다. 분극된 바다물은 바닷물 표면에 전하 분포를 띠게 되고 이 전하분포에 이끌려 번개(전자(-))가 퍼지게 되는것이죠. 그리고 분극된 바다 내부는 중성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그래서 번개 친 경우 바닷속은 안전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7
0
0
우주가 블랙홀 안에 존재할 가능성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우주가 어떤 것에 둘러쌓여있는지, 아니면 그냥 우리 우주 자체만 존재하는지에 대한 것은 관측된바가 없기에 아직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블랙홀 안에 존재하는지, 다중 우주가 존재하는지, 단순히 우리우주만 있는지와 같은 여러 가설을 세울 수 있는 것이죠. 물론 이러한 가설이 검증되기 위해서는 우리 우주 밖에 대한 정보나 관측이 필요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7
0
0
비둘기나 새들은 날개가 빗물에 젖으면 날지 못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나 비둘기의 날개는 지방이나 유분과 같은 케라틴 성분으로 둘러쌓여있기 때문에 거의 젖지 않습니다. 기름과 물이 섞이지 않는다는 것은 익히 들어보셨을 겁니다. 새의 날개는 마치 기름과 같고 비는 물이기 때문에 섞이지 않아 젖지 않습니다. 즉, 방수처리가 된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3.07.17
0
0
지구의 역사 중 지금처럼 뜨거웠던 시기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위성을 띄워 지구의 온도를 관측하게 된 것은 1970년대 말부터인데, 이 관측이 시행된 이후로 지구의 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던 날은 2023년 7월 4일이라고 합니다. 물론 그전에 뜨거웠던 때는 있었겠지만, 관측이 된것은 아니기 때문에 확실친 않습니다. 그리고 인류가 한참 전, 지구의 생성 당시는 모든 곳이 용암과 같이 용융된 상태로 존재했던 적이 있었다고하는데, 이 때가 가장 뜨거웠을 겁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7
0
0
디퓨저의 원리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디퓨저에는 휘발이 잘되는 성분이 존재하거나 증발이 잘 되는 성분이 존재하죠. 막대를 꽂아주면 막대에 액상이 젖어들게됩니다. 이 때 막대가 공기와 맞닿아있는 표면에서 액상의 증발이 일어나 공기중으로 확산되어 향을 퍼뜨리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3.07.17
0
0
방구를 끼는 과학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평균적으로 하루에 사람이 배출하는 방귀의 량은 500~600ml정도 됩니다. 음식물을 섭취하고 소화되는 과정에서 가스가 발생하기 마련이죠. 이러한 가스는 우리몸에서 흡수되진 않습니다. 그러면, 내부 장에 기체량이 증가하여 압력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를 배출하지 않으면 점점 내부 압력이 높아져 장기가 팽창하여 터질 수 있죠. 그래서 자연스럽게 방귀나 트름으로 가스를 배출하는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3.07.17
0
0
종이빨대와 플라스틱빨대에 대해 궁금한점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플라스틱의 경우 자연에 버려졌을 때 분해가 종이에 비해 오래걸리며, 미세 프라스틱이 방출되 자연에 존재하는 생명체에 피해가 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플라스틱 빨대가 동물들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죠.
학문 /
화학
23.07.17
0
0
암흑물질은 어떻게 생성됬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어떻게 생긴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답을 드릴 수 없습니다. 암흑물질의 존재의 필요성은 있지만 암흑물질이 어떤것인지 밝힌것이 전혀없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서 현재도 핫한 연구주제이며 앞으로 어떻게 밝혀질지는 기다려봐야겠네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6
0
0
항공우주공학에 대해 배우고 싶은데 어떻게 배우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http://www.kocw.net/home/dcoll/dcollIntro.do이 사이트는 국내 대학에서 촬영하여 올린 영상 강의입니다.과학의 기초적인 과목인 미적분학, 일반물리학, 일반화학, 일반지구과학 등을 먼저 수강하고 항공우주공학과의 커리큘럼을 확인하여 커리큘럼에서 듣고싶은것을 선택하여 들으시면됩니다.물론, 대학강의보다는 유튜브나 블로그에 원하시는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하면 웬만한 정보는 다 나올 것입니다.
학문 /
화학공학
23.07.16
0
0
200g 무게추를 달아놓으려 하는데 얼마정도의 무게까지 버틸 수 있는 줄을 사용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구심력과 중력이 동시에 작용하므로 줄의 장력은 200g을 버티는 힘보다 더 많은 힘이 필요합니다.단순히 줄에 200g 추를 메달게 되면 장력의 크기는 추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와 같아집니다. 즉, 0.2kg * 9.8m/s^2=1.96 N 의 장력이 작용하죠.만약 초고속으로 회전한다면, 이 힘에 구심력 mrw^2=mv^2/r 을 더한 장력이 필요합니다. m은 추의 질량, v는 회전 속력, r은 줄의 길이, w는 각속도입니다. 속도와 줄이 길이에 의존하므로 직접 계산하셔서 고려해주어야합니다. 또한, 빛의 속력에 가까운 회전일 경우 γ mv^2/r 감마를 곱해준 값으로 계산해야합니다. γ는 1/√[1-(v/c)^2] 입니다.
학문 /
물리
23.07.16
0
0
73
74
75
76
77
78
79
80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