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선풍기 틀어놓고 자면 몸에 안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밀폐된 방에서 선풍기를 틀고 잘 경우 죽을 확률도 존재합니다. 선풍기를 장시간 틀경우 모터의 과열로 모터가 탈 수 있으며, 이 때 유해한 가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스가 호흡을 방해하여 생명에 지장을 줄 경우도 있죠.
학문 /
생물·생명
23.07.13
0
0
고래 vs 아메바, 현대 과학으로 어느 것이 더욱 정교하다고 분석할 수가 있습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교함을 따지기 위해서는 정교함에 대한 정의를 해야합니다. 만물에 있어 과학적으로 살펴보아도 정교하지 않은 물질이나 존재는 없습니다. 하지만 두 물질간의 비교 과정에서 기준을 설정하고 정교함을 논할 순 있죠. 질문자님께서 고려한 조건은 모호한 면이 존재합니다. 여러 각도에서 비교 분석한다는 의미에 있어 어떤 식으로 분석할 것인지가 빠져있네요.비교 대상자체를 단세포 생명체인 아메바와 다세포 생명체 중 거대한 고래를 제시했기 때문에 세포의 양이나 세포의 균일도(?)에 대한 암묵적인 기준이 있는 듯 합니다. 이러한 기준으로 봤을 때에는 세포가 많은 고래가 정교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세포가 많음에도 규칙성있는 짜임새로 놓여져 있기 때문이죠. 마치, 다수의 블럭으로 예쁜 집을 지어놓은 것과, 블럭 하나의 비교처럼말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0
전자레인지에 데울 때 밥 양이 적은것과 많은 것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물 분자를 진동시키는 원리로 음식을 데우게 됩니다. 즉, 밥에 존재하는 수분과 물기가 뜨거워지며 밥을 뜨겁게 하는 원리입니다. 2분간 데운다고 할 때, 밥 양이 많을 경우 전체적으로 데워지는데 오래걸리고 밥 양이 적을 경우 빨리데워집니다. 그리고 밥양이 적을 때가 더 뜨겁게 데워질 수 있는데, 이 열기가 그릇에 전달되기 때문에 그릇이 뜨거워질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3.07.13
0
0
비행기가 하늘을 나는 과학적인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이러한 원리로 비행하는 물체는 우주선, 드론, 헬리콥터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0
오로라를 볼 때 자외선이나 태양의 플라즈마로 건강에 이상이 생기지는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가 발생하는 지역 하늘에서 발생하는 방사선량은 X-ray 방사선도 존재하지만 크게 해로울 정도는 아닙니다. 물론 오래 노출될 경우에는 해로울 수 있습니다. 오로라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하전입자)이 대기의 기체와 부딪혀 생겨나는 현상입니다.하전입자는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주선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인 우주선이 행성으로 들어오는데 이때 전하를 띠고 있으면 행성 자기장에 의해 나선 운동을 합니다. 우주선은 나선 운동을 하며 극지방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에서 나선 운동이 강하게 일어나죠. 나선운동을 하며 대기에 있는 기체와 부딪히며 빛을 발하는데 이를 오로라라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0
거미는 어떤 조건에 거미줄을 쳐서 집을 짓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몇 가지 선정조건이 있습니다. 거미가 살아가는 집이기 때문에 비교적 천적에게 표적이 되지 않는 부분에 지으며, 날벌레들이 자주 드나드는 곳에 짓습니다. 물론 거미종에 따라 집짓는 성향이 다르며, 거미가 정확하게 모든 부분을 고려하진 못하기 때문에 보통 무퉁이나 기둥과 기둥사이에 짓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13
0
0
빙하를 보게 되면 하얀 부분과 검은 부분이 있는데 검은 부분은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어떤부분을 보신지는 정확히 모르겠으나, 빛이 들지 않아 어두워지는 부분이 보일 수 있으며 암석에 눈이 쌓여 얼어 빙하가 됐을 경우에는 암석이 드러난 부분이 어두워보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2
선풍기가 돌때 왜 소리가 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선풍기의 원리를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선풍기의 원리는 선풍기 날개를 통해 공기를 앞으로 튕겨냄으로써 바람을 만들어 줍니다. 즉, 공기와 충돌과 마찰이 존재하며, 공기를 가르는 날개가 소리를 내는 것이죠.소리는 공기의 진동으로 전달 되기 때문에, 선풍기의 날개가 공기를 가르거나 할 때 공기를 진동시켜 우리에게 소리로 들리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13
0
0
물 자체의 색깔은 투명한데 얼음이 얼면 왜 그렇지 못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뜨겁거나 따뜻한 물을 얼리면 기포가 없이 얼음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찬물로 얼릴 경우 불투명해질 수 있습니다.기체는 액체에 녹을 때 찬물에서 잘 녹으며, 뜨거운 물에서는 잘 녹지 않는 특징이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물을 끓이게 되면 물에 함유된 기체를 없앨 수 있습니다. 탄산 음료를 시원하게 먹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 그래서 집에서 얼음의 기포를 없애고 싶다면 물을 끓인 뒤 뜨거운 물이나 미지근한 물을 얼리시면 기포를 없앨 수 있습니다.하지만 찬물은 기체가 용해되어있어 얼음이 얼 때 아주 작은 기포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불투명해지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0
날벌레들이 주광성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주광성 벌레들이라고 하죠. 흔히 나방 같은 종류의 벌레들은 빛을 보면 마구 달려듭니다. 이들은 어두움 밤에 먹이를 찾거나 길을 찾을 때 빛을 이용하는데, 이 빛이 하나의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이러한 벌레들은 밝은 곳이면 달려드는데, 불에도 벌레들이 달려들어 불의 열기에 죽기도합니다. 그래서 열을 감지하진 못하죠. 또한 벌레들은 눈이 있기 때문에 빛을 보기도하며 인지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빛으로 달려들려고 애를 쓰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0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