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비행기에서 귀가 아플때 어떻게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럴 경우에는 미리 출발할 때 부터 코를 막고 코에 바람을 주어 몸 내부 압력을 상승시키는 연습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세게 콧바람을 주면 아플수 있으니 살살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높은 지대에 올라가거나 빨리 달리는 차에서 귀가 먹먹해지는 느낌을 받는 이유는 외부의 압력의 변화로인해 신체 내부의 압력을 맞춰주기 때문입니다. 이는 귀에 있는 유스타키오관에서 외부 압력과 내부압력이 평형을 이루게끔 조절을 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3.07.11
0
0
캡슐 커피머신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캡슐머신은 물리적인 작용을 하는 기계입니다. 캡슐 뚜껑을 뚫어 액상이나 가루를 나오게하여 뜨겁운 커피물을 내려 커피를 만드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3.07.11
0
0
과학이 발달한 지금 귀신도 존재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귀신을 봤다고 증언하는 사람들이 존재하지만, 아직 정확한 증거나 어떠한 흔적도 발견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실제로 존재하는지는 알 수 없을 듯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1
0
0
바다에도 길이 있다는데 진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에는 해류가 존재하며 어떤 지역에서는 강한 해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해류는 배를 운항하는데 힘이들수도 있고 오히려 도움이될 수 도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해류를 이용하거나 하는 길을 따로 알아둔 것이죠. 또한, 바다 밑에는 암초가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암초를 피해야 제대로 운항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길을 정해둔 것이죠.
학문 /
토목공학
23.07.11
0
0
울퉁불퉁한 물체의 부피는 어떻게 측정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부피를 재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눈금이 있는 비커에 물을 담고 부피를 재고자하는 물체를 완전히 담궈 증가하는 부피를 측정함으로써 물체의 부피를 잴 수 있습니다. 또한, 만약 물체의 밀도를 안다면, 물체의 무게를 잼으로써 무게에 밀도를 나눔으로써 부피를 알아낼 수도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11
0
0
차량의 네비게이션은 GPS 기반으로 찾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배나 항공기도 GPS 기반으로 운항 됩니다. 바다 밑의 지형정보나 암초정보는 초음파나 레이더를 통해 초음파나 레이더가 반사되어 오는 성질을 이용하여 알아냅니다. 반사되는 시간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물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죠.
학문 /
토목공학
23.07.11
0
0
개미나 거미같은 작은 벌레들도 높은곳에서 떨어지면 죽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살 수 있습니다. 개미와 같은 작은 벌레들은 몸이 가볍고 공기저항을 잘 받기 때문에 낙하하여 떨어지는 속력이 빨라봐야 1m/s 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작은 충격량을 받기 때문에 살 수 있죠. 이는 종단속력에 의한 것인데, 공기마찰은 속력에 비례하고 어느정도 빨라지면 공기저항과 중력이 평형을 이뤄 등속 운동을 하기 때문이죠.
학문 /
생물·생명
23.07.11
0
0
고기압과 저기압의 특징에 대한 궁금증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기압은 주변보다 기압이 높아 빽빽한 밀도의 공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저기압은 주변보다 기압이 낮아 널널한 밀도의 공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공기의 흐름이 일어납니다.고기압은 빽빽한 밀도의 공기로 무거워서 지면으로 내려가는 하강기류를 형성합니다. 그리고 하강하여 지면에 도달한 기류는 밀도가 높기 때문에 사방으로 퍼져 나가죠. 그리고 고기압의 윗부분에서는 하강기류로 빠진 공기를 메꾸기 위해 주변에서 공기가 모여들어 옵니다. 하강기류로 인해 구름이 형성되지 않아 맑은 날씨가 됩니다.저기압은 널널한 밀도의 공기로 가벼워 하늘로 올라가는 상승기류를 형성합니다. 그리고 상승하여 하늘에 도달한 기류는 사방으로 퍼져나가죠. 그리고 저기압의 지면 부분에서는 상승기류로 인해 빠진 공기를 메꾸기 위해 주변에서 공기가 모여들어 옵니다. 상승기류로 인해 구름이 형성되어 흐린 날씨가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1
0
0
그래핀 추출 실험할 수 있는 곳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래핀의 경우 몇몇 대학에서 실험을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대학 사이트에 들어가서 물리학과나 신소재, 나노와 관련된 학과에 접속하여 그래핀 연구를 하는지 확인한 뒤 절차를 밟아 실험이 가능한지 여쭤보는것이 좋을 듯 합니다. 또한 그래핀은 3M 테이프로 연필로 칠한 곳을 뗏다 붙였다하면 쉽게 추출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공학
23.07.11
0
0
로켓의 표면에는 왜 얼음이 붙어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로켓의 연료는 액화 수소, 액화 산소와 같은 연료를 사용합니다. 수소와 산소와 같은 기체를 액화하기 위해서는 저온(영하0도 이하)의 상태가 필요하며, 이로인해 공기중 수증기가 얼어 하얗게 성에가 핀 것이죠. 그리고 로켓이 발사되어 우주로 날아가면서 대기를 뚫고 날아가기 때문에 대기 와의 마찰로 성에가 금방 떨어지게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1
0
0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