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꿀먹은 벙어리의 어원은 어디에서 나왔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말을 못하는 벙어리가 꿀을맛있게 먹고 배탈이나자 자기의아픈 배를 설명할수 없었다는데서유래합니다. 그래서 속에 담고있는 생각을 남에게 말하지 못하는 경우에쓰이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2.11.09
0
0
유럽의 귀족들은 왜 흰머리 긴 가발을 썼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영국의 여왕 엘리자베스 1세가천연두 때문에 머릿카락이 심하게빠지면서 가발을 쓰기 시작한것이유행이 되어 사람들이 따라썼다고 하는군요. 음악가 가발을쓰게된것은 귀족을 위해 일을 했기에유행을 따른거랍니다.
학문 /
역사
22.11.08
0
0
피아노와 기타를 잘 다루고싶은데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피아노는 잘 모르겠는데기타는 곁눈으로 배운적이 있어서말씀 드립니다. 처음에 포기하는가장 큰 이유가 손끝 아픔 때문입니다.코드를 익히고, 손의 감각을 익히는것은시간이 해결합니다. 하나하나 새로운것을 익히는 재미로 손끝에 굳은살이 생기고 어느정도 무뎌질때까지참고 해야합니다. 그순간만지나면 진행속도가 빨라지고즐기게 될거에요. 그 고비를 넘길바랍니다.
학문 /
음악
22.11.08
0
0
우리나라의 시와 같은 짧은 문장글이 해외에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시는 세계인의 공통 언어표현중의하나입니다. 나태주 시인처럼 다른나라에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고바야시 앗시'의 시 - 돌아눕고 싶으니자리 좀 비켜 줘 귀뚜라미- 처럼 말이죠바쁜 현대인에게 맞추어 시가 짧아진것은 현명한 시의 생존입니다.좋은 시 많이 읽으시기 바랍니다.
학문 /
미술
22.11.08
0
0
예술이 상품이 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틀린 말은 아니라고 봅니다. 대신 상업적인 어투 '상품화'보다'가치화'란 말은 어떨까요?예술의 생명은 어떻게 보면 '진가'즉 '가치창출'이 아닐까합니다.어차피 예술인도 살아가야 하는사회의 일원이니까요.
학문 /
미술
22.11.08
0
1
옛 구전동화는 어떻게 전해오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구전동화란? 구전: 역사, 문학, 법률 지식등을 글이나 문자를 사용하지않고, 대대로 입에서 입으로 전하는 방식동화: 어린이를 독자층으로 하는 이야기를 묶어서 일컫는 말입니다.
학문 /
역사
22.11.08
0
0
속독법의 원리와 책의 모든 내용 습득이 가능한건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속독법이라는게 빠른 속도로소리내어 읽는것이 아니라, 눈을 빌려 오랜시간 뇌의 훈련을 통해 빨리 읽는것이 랍니다.물론 내용까지 숙지하는 것이죠.
학문 /
미술
22.11.08
0
0
글이 사람을 울릴 수 있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글은 또다른 마음의 표시입니다.마음을 전하는 글을 상대방이진정으로 느끼게 되면, 그 깊은 감동을 마음은 눈물로 표현되는 것이겠지요.
학문 /
역사
22.11.08
0
0
946
947
948
949
950
951
952
953
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