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밀물과썰물은 왜일어나는것일까?
안녕하세요. 문훈 과학전문가입니다.밀물은 해수면이 높아져 해안의 바닷물이 육지 쪽으로 들어오는 것 가리키고, 반대로 썰물은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바닷물이 빠지는 현상을 말합니다.[출처:에듀넷]밀물과 썰물의 모습(대서양, 펀디 만)[출처:에듀넷]지구는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도는 자전을 하면서 동시에 태양 주위를 도는 공전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달은 이러한 지구 주위의 궤도를 따라 공전하면서 만유인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원심력은 원운동 하는 물체가 바깥쪽으로 튕겨 나가려는 힘인데 지구는 자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지구에서 바깥쪽으로 쏠리는 원심력은 모든 방향에서 같지만, 달 쪽을 향한 인력은 달의 중심을 향하므로 방향이 있게 됩니다. 그래서 지구에서는 달을 마주 보는 편에서의 인력과 반대편에서의 인력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그 인력에 이끌려 지구와 달이 마주 보는 부분으로 지구의 바닷물이 모이게 됩니다. 그리고 지구와 달이 마주 보는 부분의 반대쪽 부분도 원심력에 의하여 바닷물이 부풀어 오릅니다. 그 결과, 달이 당기는 부분과 그 반대편이 밀물이 되고 그 외의 부분은 물이 빠져나가 수심이 얕아지는 썰물이 됩니다.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 자전하므로 달의 인력과 지구의 원심력에 의해 하루에 두 번의 밀물이 나타나게 됩니다.[출처:에듀넷]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이유[출처:에듀넷]반면에 태양과 지구 사이에도 인력이 작용하지만, 달보다 거리가 멀기때문에 달의 인력의 45% 정도의 힘으로 지구를 잡아당기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태양의 인력에 의해 밀물과 썰물의 정도는 일정하지 않고, 매일 조금씩 달라집니다.밀물로 해수면이 가장 높을 때를 ‘만조’, 썰물로 해수면이 가장 낮은 때를 ‘간조’라고 하고 이때의 높이 차이를 ‘조차’라고 합니다. 조차는 달이 보름달이거나 그믐달인 경우 가장 커지게 되는데, 태양 - 달 - 지구의 위치가 일직선 위에 놓이므로 태양과 달이 같은 방향에서 잡아당기거나 태양이 지구 원심력과 같은 방향에서 잡아당기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인력과 원심력이 강하게 작용해 조차가 매우 커질 때를 ‘사리’라고 부릅니다.반대로 달이 반쪽만 보이는 상현달이거나 하현달일 경우에는 태양 - 지구 - 달이 직각을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태양과 달의 인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여 조차가 작아집니다. 이때를 ‘조금’이라고 합니다.[출처:에듀넷]만조와 간조를 만드는 태양의 영향[출처:에듀넷] 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1.03
0
0
얼음은 왜 물에 뜨나요?????
안녕하세요. 문훈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밀도 차이에 의한 것 입니다. 물의 밀도는 섭씨 4도에서 가장 무거운 1이 됩니다. 그보다 낮은 온도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1보다 낮게 되므로 물위에 뜨는것이죠. 온도에 따른 무게의 영향이 있기때문에 무거울때 가벼울때가 있습니다. 표를 참고해주세요~^^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1.02
0
0
얼음을 넣으면 커피와 물 중 어디에서 더 빨리 녹나요?
안녕하세요. 문훈 과학전문가입니다.농도가 높아질수록 물분자의 움직임이 느려져 물의 열에너지를 얼음이 가지고 가는데 오래 걸립니다. 물의 열에너지를 얼음이 받아야 얼음이 고체에서 액체로 상변화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농도가 높아질수록 얼음의 녹는 속도가 느려지므로 농도가 낮은 물이 커피보다 얼음 녹는 속도가 빠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1.12.31
0
0
고래는 물속에서 숨을 얼마나 참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문훈 과학전문가입니다.향유고래들은 약 두 시간 동안을 물 속에 머물 수 있다.흰 수염고래와 FIN고래 같은 대부분의 대형 고래들은 40분 이상 머물 수 있는 반면 큰 돌고래들은 보통 15분 이하이다.그리고 더 작은 일반 돌고래들은 3분 이하이다.기네스 북에 기록된 고래의 최장 잠수 기록은 1969년 8월 25일 1 시간 52분 동안 지속된 향유고래의 잠수 기록이다.
학문 /
생물·생명
21.12.29
0
0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문훈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밀도 차이에 의한 것 입니다. 물의 밀도는 섭씨 4도에서 가장 무거운 1이 됩니다. 그보다 낮은 온도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1보다 낮게 되므로 물위에 뜨는것이죠. 온도에 따른 무게의 영향이 있기때문에 무거울때 가벼울때가 있습니다. 표를 참고해주세요~^^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1.12.29
0
0
콜라에 멘토스를 넣으면 폭발하던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문훈 과학전문가입니다.멘토스는 콜라의 표면 장력을 약화시키는데요.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급격하게 분출된다고 합니다. 이것이 바로 표면 촉매 현상이죠. 콜라의 뚜껑을 열면 쉬이익 하는 소리가 나죠? 그 이유는 안에 있던 이산화탄소가 나오기 때문인데요. 이 때 물 분자들이 서로를 잡아당기는 표면 장력으로 인해 콜라 속에서 천천히 빠져나오게 됩니다.이런 콜라에 멘토스를 넣으면 멘토스 표면에 있는 아라비아 고무가 물의 표면 장력을 약하게 만듭니다. 또한 멘토스의 표면에는 수많은 홈들이 나있는데요. 이 홈에 이산화탄소 분자들이 달라붙어 거품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그래서 폭발하는 것이죠.참고로 멘토스가 아닌 각설탕을 넣어도 동일한 효과가 난다고 합니다.
학문 /
화학
21.12.29
0
0
바닷물이 얼지않는이유가 뭘까여
안녕하세요. 문훈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이 잘 얼지않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대부분 염분이 있어서 잘 얼지않는다고 알고 있을겁니다. 이부분도 틀린말은 아닙니다. 염분에따라 어는점이 낮아지기때문 입니다. 또한가지는 파도가 계속 일어나기 때문이죠. 중요한 부분은 바닷물은 "대류현상"이 일어나기 때문 입니다. 바닷물도 공기처럼 차가운건 밑으로 따뜻한건 위로 계속 움직이기때문에 얼지않는 것 입니다. 계속 순환이 되면서 어는것을 방지하기 때문 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1.12.29
0
0
드라이아이스는 녹을때 왜 액체가 흐르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문훈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인 기체를 압력으로 가하여 -78.5도 이하로 냉각시켜 고체화 한 것 입니다. -78.5도가 끓는점이기때문에 5.1기압 이하에서는 액체상태를 거치지않고 바로 기체가 됩니다. 이처럼 고체가 바로 기체가 되는것을 승화라고 하는데 지구의 대기압은 1이기때문에 드라이아이스는 항상 승화가 일어납니다. 만약 드라이아이스가 액체가 되는게 보고 싶다면 5.1기압 이상의 환경을 만드시면 가능합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승화하면서 외부 열을 빼앗아 가면서 차가워지므로 동상에 걸리지 않도록 손을 항상 주의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1.12.29
0
0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