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구려성을 쌓을때 사용한 그랭이공법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양이 불규칙한 면에 자재를 그 모양대로 재단해서 붙여야할 때, 그 모양을 따는 것을 '그랭이질'이라고 합니다.흔한 예로, 옛날 한옥을 보면 주초로 막돌을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주초 위에 올려진 기둥의 밑면을 맞닿는 면의 모양대로 그랭이질 하여 다듬어 올립니다 이공법을 말한다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13
0
0
달력에는 왜 일월화수목금토요일의 순서로 표기가 되어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외국사람들은 한 주에 대해 말할 때 일요일이 제일 처음에 나온다고 합니다.우리나라 사람들은 "월화수목금토일"이라고 부르지만,외국사람들은 "일월화수목금토"라고 부른다는 얘기죠..이것은 기독교에서 유래된 것으로,기독교에서의 안식일은 지금의 일요일을 말합니다.달력양력은 외국에서 전해온것이라 그렇습니다
학문 /
역사
23.04.13
0
0
역사 공부중 마패 문양이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암행어사정도의 급이라면은 보통은 3마리가 그려진 마패(馬牌)를 쓰고 그 이상 되는것도 있긴 있어요. 왕실에선 10마패(馬牌)도 있었다는 기록은 있지만 현재 남아 있는건 없구요. 그리고 보통은 3마리 이상을 빌리는 경우도 많이 없어서 보통 3마패(馬牌)가 실제 사용되었던 마패(馬牌)들 가운데 가장 급이 높다라고 보시면 된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미술
23.04.13
0
0
우리나라 미국교민들은 왜 로스엔젤레스에 많이 살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로스엔젤레스가 기후와 문화 교통여건이 좋아 정착하게 되었다고 합니다.한국인이 LA의 집중 원인은 LA가 미국에서 초기 이민이 가장 성공적으로 이루어진곳이고 기후가 좋은곳이라서 한국분들이 살기에 가장 좋고 또한 한국에서 오면서 가장 가까운 거리라서 초기 이민을 많이하고 초기에는 대부분 유학생들이 와서 미국에 이민으로 거주하게 된곳 입니다.
학문 /
역사
23.04.13
0
0
교황청과 교황은 언제부터 있었는지?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레고리 1세(Gregory the Great 1) - 최초의 교황540년경 : 출생570년경 : 초라 시의 장관이 됨579년 : 집사로 임명받으며 교황의 사절로 콘스탄티노플에 파견됨590년 : 교황으로 선출됨604년 : 죽음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예수의 첫째 제자인 베드로를 초대 교황이라고 합니다만 교황이라는 개념은 좀 더 후세에 생겨난 개념입니다.교황청이란 교황이 있는 곳과 교황을 보좌하는 조직을 말하는 것입니디ㅡ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13
0
0
우리나라 성씨중에 축씨와 골씨도 있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있습니다.천방지축마골피는 원래 天方地丑馬骨皮로서 특정 姓과는 무관하게 7대白丁을 한문으로 부르던 것이었습니다.이들 7대백정은天은 무당 ,方은 목수나 미장이 ,地는지관 등 요즘의 장의사 ,丑은 소백정 ,馬는 말백정 ,骨은 뼈(고리)백정,皮는 가죽백정(갓받치) 을 가르킵니다.상놈의 성이 아니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4.13
0
0
중국 고전 서유기의 시대적, 역사적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유기 의시대적배경은당나라이다. 물론소설이써진시기는명나라이다.이에 한족이 세운 제국중 가장 번성했던 한, 당제국을따르는 것 이기에 위소설의 시대적 배경이 당나라인것이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13
0
0
금을 표시하는 단위는 왜 다양한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귀금속 판매업자로 답변을 드리면 Kg입니다.ㅣ돈은 3.75 그램입니다.1키로는 266.6666 돈입니다.국제적으로 온스를 쓰기는 하지만 kg을 많이 씁니다.
학문 /
미술
23.04.13
0
0
태풍의 이름은 어디서, 어떤기준으로 정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풍의 영향을 받는 14개국(중국, 한국, 북한, 홍콩, 일본, 라오스, 마카오, 말레이시아, 미크로네시아, 필리핀, 캄보디아, 태국, 미국, 베트남)에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의 이름이 태풍 발생 순서에 따라 번갈아 가면서 붙여 집니다. 각 나라에서는 순하게 지나가라는 의미에서 이쁜 이름으로 짓는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4.13
0
0
문학에서 말하는 서사시는 정확하게 어떤장르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인으로 간단히 답을 구하였습니다.서사문학 역시 작가의 눈으로 해석한 역사를 문학의 도구로써 풀어낸 것이기 때문에 "주관적"입니다단지 소재만 "역사"에서 빌려왔다는 점에서, 서정시와 차이가 있다는 것입니다.김동환의 "국경의 밤"이 서사시입니다.
학문 /
음악
23.04.13
0
0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