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학문
발해는 어떠한 종교를 믿었나요?
안녕하세요. 지혜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하여 불교가 중심이 되었습니다. 발해에서 불교가 성행하였다는 것은 예배의 중심지인 사찰이 많이 건축되었다는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5
0
0
우리나라 보물1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지혜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보물 1호는 동대문 (흥인지문)입니다.보물 1호라고 해서 2078호보다 더 뛰어난 것은 아니고 차례로 지정된 것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5
0
0
세익스피어를 인도와도 바꾸지 않겠다고 말한 영국의 역사학자는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지혜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셰익스피어를 인도와도 바꾸지 않겠다”영국의 역사학자 토마스 칼라일(Thomas Carlyle)은 영국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5
0
0
유씨와 류씨는 서로 다른 성씨인가요?
안녕하세요. 지혜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이야기 하면 같은 성씨일 수도 있고 다른 성씨일 수도 있습니다.우선 우리나라에서 유/류로 발음되는 성씨 한자는 4가지인데 柳(버들 류), 劉(죽일 류, 묘금도 유), 兪(점점 유), 庾(곳집 유) 한자와 한글을 병행해서 사용하면서 두음법칙 때문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두음 법칙(頭音法則)은 특정한 음운 또는 음운군이 단어의 음절 초(특히 첫 음절의 초)에 오는 것을 기피하거나 그 위치에서 특정한 조건하에 변형, 제한되거나 음가를 잃고 실현되는 음운 현상을 말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단어의 첫단어의 초성이 'ㄹ' 이면 'ㅇ' 이나 'ㄴ' 으로 바꿔 사용하는 문법입니다. 이 맞춤법 때문에 우리나라는 1996년 모든 성씨에 두음법칙을 적용하라는 예규를 만드는데 류씨가 모두 유씨로 표기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2007년 8월에 기존 예규가 대법원에서 위헌판결이 나면서 소리나는대로 성씨를 사용할 수 있게 예규가 다시 바뀌게 되었습니다. 예규가 바뀌자 류씨를 가진 사람이 가정법원에 변경신청을 하면 기존 유씨에서 류씨로 이름이 변경이 가능해졌고 2년동안 5만명이 신청을 했다고 합니다. 11년동안 유씨로 살아온 사람들이 어떤 사람은 기존 유씨가 더 편하게 느껴지거나 다른 이유로 신청을 안하고 어떤 사람은 류씨로 변경 신청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류씨지만 유씨로 사는 사람이 있고, 류씨로 사는 사람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리드악기에는 어떤것들이있나요?
안녕하세요. 지혜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리드란? 얇은 나무의 갈대로 마우스피스 또는 진동을 시킬 수 있는 원체에 부착하여 바람을 넣어 진동케 하는 일종의 발음체입니다.리드는 바순, 오보에, 클라리넷, 색소폰 등의 악기들에게 사용되고 있는데 바순과 오보에는 두 장의 리드를 겹쳐서 진동하게 하는 더블리드를 사용하며 클라리넷과 색소폰은 한 장의 리드를 마우스피스에 조리개로 고정시키는 싱글 리드를 사용합니다.
학문 /
음악
23.01.16
0
0
우리가 아는 대동여지도는 엄청나게 크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지혜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동여지도 목판의 크기는 대개 가로 43cm, 세로 32cm 내외이며, 목판 하나에는 남북 약 47km(120리), 동서 63km(160리)의 지리 정보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100년 정도 된 피나무를 사용했으며 목판의 앞뒷면을 모두 사용해 조각했습니다. 대동여지도 전체를 조각하려면 목판 60매 정도가 필요하며, 목판으로 인쇄한 지도를 모두 이어붙이면 세로 약 6.7m, 가로 약 3.8m 크기의 대형 전국지도가 만들어집니다
학문 /
역사
23.01.16
0
0
이스라엘에 통곡의 벽이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지혜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로마 군대는 예루살렘 성전의 모든 건물을 헐어버렸지만, 성전의 축대이기도 했던 '이방인의 뜰' 부분의 서쪽 담장만큼은 헐어버리지 못하였습니다. 축대까지 무너트리기는 너무 힘들기도 하고 위험하기도 했기 때문이죠. 이런 연유로 옛 헤로데 성전 건물의 서쪽 축대 일부만은 무너지지 않고 남았으니, 이것이 바로 통곡의 벽입니다.예루살렘이 함락될 당시 벽이 진짜로 눈물을 흘렸다는 전설에서 따온 이름이란 설도 있습니다. 이스라엘 건국으로 그네들의 오랜 숙원은 풀렸지만 아직 예루살렘 성전은 복구되지 못하였기에, 아직도 많은 유대인들이 이곳을 찾아 기도를 올립니다
학문 /
역사
23.01.16
0
0
해외도 분리수거를 우리나라처럼 열심히 하나요?
안녕하세요. 지혜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녕하세요 캐나다 거주중입니다. 분리수거 열심히 하고 매 주 다른(오가닉 / 재활용가능 / 일반쓰레기) 쓰레기통을 집앞에 두면 수거해 갑니다. 잘못 내놓으면 벌금도 이있구요. 그런데 우리나라처럼 상세하게 분리를 하지 않고 종이 캔 페트병 유리등 재활용가능한것은 모두 한통에 이런 느낌이네요
학문 /
역사
23.01.10
0
0
진시황이 불로장생하려고 수은을 먹었다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지혜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진시황은 수은중독으로 유명합니다. 수은을 불사의 양약이라 여겨 바르기도 하고 많이 먹었다고 합니다.영국의 엘리자베스 1세는 수은 화장품을 사랑했는데 수은을 바르는 즉시 얼굴이 하얗게 변하고 탱탱해지는 느낌이 든다고 하네요 (이것은 진짜 아름다워지는 것이 아닌 수은이 혈액의 공급을 막아 피부가 죽어가는 현상입니다)
학문 /
미술
23.01.10
0
0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