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만약 변을 계속해서 참으면 인체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수술하고 나서 감각이 저하되어 변을 보지 못하고 계속 시간이 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장이 터져서 복막염이 됩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03
0
0
이번에 피검사를 받았는데 궁금한점이있어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혈액검사 결과는 정상 범위에 있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03
5.0
1명 평가
0
0
kf94 마스크 솜털같은게 너무많아서 호흡하면서 들어간것같은데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걱정하시는 일과 같은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03
0
0
직장암이나 대장암일 가능성이 궁굼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많이 무서우셨겠습니다. 갑자기 혈변이 나왔다가 호전이 됐다가 다시 나왔으니 말입니다그래서 대장암이나 직장암과 같은 악성병변이 걱정이 되시는 것이군요결론을 말씀드리면 대장암이나 직장암의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물론 말씀하시는 것처럼 혈변이 대장암/직장암의 주요 증상인 것은 맞습니다. 아래 자료를 보시겠습니다Predictive values of colorectal cancer alarm symptoms in the general population: a nationwide cohort study (British Journal of Cancer (2019) 120:595–600)표에 혈변 항목이 있는데 PPV, 그러니까 양성예측도가 0.6%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혈변 1000명중 악성병변이 6면이었다는 이야기입니다. 걱정하신 거와 비교를 하면 상당히 낮지요?악성병변으로 인하여 혈변이 발생하려면 질환이 어느 정도는 진행을 하여야 합니다. 환자분의 경우 1년 10개월전에 검사를 하여서 별 문제가 없었는데 그 사이에 병이 생기고 악화되어 피가 난다는 것은ZERO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가능성이 상당히 낮습니다. 또한 악성병변으로 인한 혈변이라면 지속적으로 나타나야 합니다. 하지만 환자분의 경우는 증상의 발현되는 간격이 너무 긴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일단 진료 및 검사는 받기로 하셨으니 잘 받으시구요오히려 항문질환(치질, 치열등)에 대해서 잘 진료를 받아주세요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03
5.0
1명 평가
0
0
고추 기둥 뿌리 쪽 닭살 이거 성병일까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피지샘이 비대한 것으로 피지샘융기라고 합니다병적인 소견은 아니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의료상담 /
비뇨의학과
25.11.03
0
0
간MRI 촬영시 촬영범위는 어디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간 MRI 촬영시 복부장기도 어느정도 확인이 가능합니다.조영제는 촬영목적에 따라 필요하면 사용하지만 많은 경우 사용합니다.촬영시간은 40-50분정도가 소요됩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03
0
0
빈속에 진통제(아나프록스정)을 먹었는데 속이쓰립니다. 어떻게해야될까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진통제 한 알을 먹고 위궤양이 생기는 경우는 아직까지 본적이 없습니다.흑색변이 나오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면 위장약을 복용하면서 경과를 확인해보세요
의료상담 /
내과
25.11.03
5.0
1명 평가
0
0
독감 예방주사같은거는 맞아줘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독감예방접종의 시기에 대해서 궁금하셨군요유행이 언제길래 지금 맞는가? 이 것이네요인플루엔자의 최대 유행시기는 보기와 같이 12월~1월입니다.독감항체의 형성은 백신 접종하고 나서 2주정도 뒤에 시작이 되고 4주정도에 peak에 이르며길게는 5-6개월정도 지속이 됩니다. 따라서 peak가 되는 4주 정도를 위의 가장 흔한 시기에 맞추면 적당할 것입니다.따라서 11월인 현재 독감 백신접종을 하는 것은 시간상으로 좋은 시기입니다. 망설이지 마시고 시간을 내셔서 접종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03
5.0
2명 평가
0
0
수면내시경 할 때 마시는 음료가 있던데 어떤던가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특별한 것은 아닙니다. 관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보조제입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03
0
0
술 마시고 블랙아웃과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술을 많이 드시는데 가끔 불랙아웃이 와서 걱정이 되신 것이군요블랙아웃 증상은 흔한 것은 아닙니다.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신경과 진료를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검사가 필요할지는 담당선생님과 정하셔야 하며 만약 검사를 하게 된다면 MRI가 될 것입니다.알콜성 치매의 증상 중 반복적인 블랙아웃이 있습니다. 또한 술을 많이 드실수록 블랙아웃은 악화되며 반복되면 알콜성 치매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아마도 이 연구를 보시게 되면 조금 더 이해가 잘 되실 것 같습니다.Association of Alcohol-Induced Loss of Consciousness and Overall Alcohol Consumption With Risk for Dementia (JAMANetworkOpen.2020;3(9):e2016084)이 연구는 술을 드시는 분과 치매의 위험률에 대한 연구이구요 영국 프랑스등에서 13만명이상을 대상으로 했습니다.술을 많이 마시면 치매의 위험성이 상승한다는 당연한 결론이 나오기는 했지만 이 표는 주목할만합니다. 보시면 moderate drinker(블랙아웃 있음)의 경우 치매 위험률이heavy drinker(블랙아웃 없음)보다 월등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만틈 블랙아웃 증상이 있는 경우 조심하셔야 한다는 뜻입니다.환자분의 경우 이제 술을 드시지 않을테니 그 부분은 다행입니다.하지만 이전에 블랙아웃을 여러번 경험한 적이 있으니 신경과에서 현재 상태를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5.11.03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