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콜키지프리는 어디서 유래된 용어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콜키지는 코르크 차지의 줄임말로, 코르코는 와인의 마개입니다.즉 코르코 지는 와인의 마개에 붙는 요금을 의미합니다.와인의 본 고향인 프랑스에서 시작되었는데 음식점이 모든 손님의 와인 취향을 충족할 만큼 다양한 와인 라인업을 보유하기 힘들어, 손님이 원하는 와인을 들고 올수있게 하는 대신 병당 요금을 받았습니다.대신 가게는 손님이 와인을 들고 오면 마개를 직접 제거, 전용 와인잔과 칠링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학문 /
음악
23.07.01
0
0
옹주는 공주와 무엇이 다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주의 옹주의 차이는 간단합니다.공주는 왕의 정실부인의 딸만이 가질수 있는 칭호이고옹주는 왕의 첩의 딸들이 옹주라는 칭호를 받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1
0
0
조선시대 화폐는 어떤 것으로 사용했는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본격적으로 화폐로서의 기능을 갖춘 것은 조선 후기 숙종 때 만들어진 상평ㅌ오보 입니다.
학문 /
역사
23.07.01
0
0
춘추전국시대의 춘추의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BC 770년 주왕조가 뤄양으로 천도하기 이전의 시대를 서주시대, 이후를 동주시대라고 하는데 동주시대는 춘추시대와 전국시대로 나누어집니다.춘추시대는 주왕조가 도읍을 옮긴 때로부터 진나라의 대부인 한, 위, 조 삼씨가 진나라를 분할하여 제후로 독립할 때 까지의 시대를 의미합니다.춘추는 공자가 엮은 노나라의 역사서인 춘추에서 유래, 전국은 한나라 유향이 쓴 전국책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1
0
0
고려시대에도 과거제도가 존재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에도 과거시험은 있었습니다.광종이 영입한 후주 출신 쌍기의 건의에 따라 958년 처음 시행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1
0
0
카노사의 굴욕에서 카노사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카노사는 교황이 머물고 있던 카노사 라는 이탈리아 북부의 성 입니다.하인리히 4세가 교황이 머물고 있던 카노사 라는 이탈리아 북부의 성에 개인자격으로 부인을 대동하고 가서 눈발이 흩날리는 성문 앞에서 맨발로 무릎을 꿇은 채 파문 철회를 호소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1
0
0
고려시대 은병은 무엇이며 기능과 역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은병은 고려시대의 은화 입니다.고려시대에는 삼한중보, 동국통보, 해동통보와 같은 여러가지 종류의 동전이 만들어져 유통되었는데 그 가운데 특히 왕권강화와 상업진흥을 도모하던 숙종대에 화폐에 대해 적극적인 정책을 채택하여 숙종 7년에 해동통보 1만 5천개를 발행하기도 했습니다.은 1근으로 만든 은병은 동전 혹은 철전의 일반화폐에 비해 고액화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숙종 6년 법정화폐로서 처음 제작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1
0
0
고려시대 서적포는 어떤 기능을 하던 기관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숙종 때 국자감에 두었던 출판부 입니다.축문과 경적을 맡아보던 비서성에 보관되어있던 책판이 쌓이고 훼손된 것이 많아지자, 1101년 3월 서적포를 설치, 모든 책판을 이곳에 옮겨 인쇄, 보급하게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1
0
0
옛날 어른들이 써오던 병풍의 유래나 쓰임새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병풍은 바람을 막거나 무엇을 가리거나 혹은 장식용으로 방 안을 장식하기 위해 치는 물건입니다.한국은 대대로 온돌난방의 건축구조로 집의 바닥을 중심으로 난방을 했기 때문에 벽쪽에 웃바람이 들수밖에없는데, 병풍은 이를 막는 실용적인 목적으로 쓰였습니다.또 보통 제사, 잔치를 지낼때 뒷쪽에 펴놓는 경우가 많았고 전통적인 장례 당시에는 집에서 치르는 경우가 있었는데 시신을 보통 병풍 으로 가리고 병풍 앞에 위패를 포함한 상을 차리고 향을 피우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1
0
0
뭉크의 ‘멜랑콜리’라는 작품은 그의 여동생과 어떤 관련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뭉크의 여동생 라우라는 어린 시절 우울증세 진단을 받았고 그녀의 생을 통해 심한 우울증으로 고통당했습니다. 이 경험들은 뭉크로 하여금 멜랑콜리를 그리게 한 계기가 되었고, 이 그림은 극도의 상태에서 벗어난 정신상태에 뭉크의 심란한 매력을 나타냅니다.
학문 /
미술
23.07.01
0
0
1018
1019
1020
1021
1022
1023
1024
1025
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