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연극의 3요소는 무엇입니까?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극의 3요소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정해진 바는 없으나 주로 무대를 뺀 희곡, 관객, 배우를 꼽습니다.
학문 /
음악
23.02.06
0
0
일본 연극의 일종인 가부키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부키의 기원은 16세기 후반 여승이었던 오쿠니가 불교도들을 풍자해서 인기를 얻었던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가부키는 천박하고 묘사가 대담하며 관능적이라는 이유로 1629년 정부에 의해서 공연이 금지되었지만, 18세기에 새로운 왕조가 통치하게 되자 앞서의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남자배우가 여자배우를 대체했습니다.
학문 /
음악
23.02.06
0
0
프로타고니스트는 무엇을 말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프로타고니스트는 주동자, 리더, 주창자 를 뜻하며 시나리오 상에서는 주인공을 일컫는 용어로 쓰입니다.
학문 /
음악
23.02.06
0
0
정월대보름 땅콩과 호두를 먹는 관습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럼의 정확한 유래는 없습니다. 조선 후기에 나온 여러 세시기류나 죽지사류 기록에 그 사례가 확인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오랜 기간 동안 광범위하게 전승되어온 민속임을 짐작합니다.
학문 /
역사
23.02.06
0
0
모노드라마는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노드라마는 한사람의 배우로 상연되는 극 입니다.즉, 1인극이 아닌 이상 거의 모노드라마와 반대인 드라마들입니다.미니시리즈, 역사드라마 , 시트콤, 뮤지컬, 등 입니다.
학문 /
음악
23.02.06
0
0
오페라부파 라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페라부파는 희극 오페라 라는 오페라 장르 입니다.상업적인 오페라 극장들이 생겨나고 극장을 찾는 평민 관객수가 늘어나자 극장 측에서 평범한 시민계급의 일상을 소재로 한 인테르메초 라는 막간극을 만들어 본극 중간에 공연합니다.아내가 돈 많이 쓸까봐 무서워서 결혼을 못하는 구두쇠 총각 이야기 등 당대 사회상을 빗대 웃음을 선사했던 이 막간극은 본극보다 인기를 더 끌며 나중에 오페라부파라는 장르로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2.06
0
0
베르디의 오페라 작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베르디의 오페라 작품으로는 나부코 중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아이다 중 개선 행진곡, 일 트로바토레 중 대장간의 합창, 리골레토, 하룻동안의 임금님, 나부코, 에르나니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2.06
0
0
우리나라 역대 최고의 연봉을 받는 운동선수?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가 알기로는 류현진 으로 알고 있습니다.아직까지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수령하고 있는 토론토 블루제이스 소속 야구선수로 연봉은 240억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6
0
0
조선시대에 노비를 죽이고 처벌 받은 사례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실제로 조선 초기 노비를 국가에 고하지 않고 참혹하게 죽이거나 혹 독한 형벌을 가한 일이 발각되어 최죄된 일이 많이 있었으며 이런 경우 살해된 노비의 가족이나 혹독한 형벌을 받은 노비는 방량된 경우도 있었고, 대부분 속공이 되었습니다.이러한 조처는 주인과 노비의 관계를 단절시켜 주인의 가혹한 형벌로부터 노비를 보호하려함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6
0
0
와이프가 그림얘기를 할 때 공감할 수 있는 지식을 쌓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림에 대해서 쉽게 접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본인이 그림에 대해서 어떠한 부분이 가장 궁금한지 먼저 알아야 하고, 만약 금액이나 그림의 가치를 알고싶다면가장 비싸게 팔린 금액, 가장 적게 팔린 금액 등의 주제를 삼아서 찾아보거나, 조금 더 광범위하게 지식을 쌓고 싶으시다면 대표적인 화가 10명을 알아보고 그 작가들의 작품이나 의도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먼저 알아보다보면 대화가 가능할 만큼의 지식이 쌓일겁니다 :)
학문 /
미술
23.02.06
0
0
1828
1829
1830
1831
1832
1833
1834
1835
1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