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히틀러가 나쁜 사람이긴 한데 인류에게 남긴 긍정적인 부분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히틀러의 긍정적인 성과로는 경제기적으로 히틀러가 제국의 총리가 된 1933년 독일에는 600만명의 실업자가 있었으나 3년이 지난 1936년 완전 고용이 이루어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3.8선에서 현재의 휴전선이 된이유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시 정전협정을 앞두고 조지 마셜 장군은 참모들에게 남북 분단선 설정안을 건의토록하였고 이에따라 한반도 분할점령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전략회의에서 딘 러스크대령을 비롯하여 대다수 영관급 장교들은 한반도에서 가장 폭이 좁은 곳이라 군사분계선 방어에 많은 병력이 필요치 않다는 이유로 평양 바로 아래쪽 39도선에 긋자 주장했습니다.실제 39도건은 한반도의 가장 잘록한 허리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한반도에서 가장 폭이 좁았기때문에 혹 북한의 도발시 방어에 가장 유리한 유치였지만 장교들의 조사 결과에 대해 전략 기획단의 링컨 장군은 NO라 답했고, 그의 신념에 따라 남북 경계선은 전략적으로 유리했던 북위 39도가 아닌 가장 긴 전선을 가진 38도선으로 결정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이름을 말하지않을때 왜 아무개를 사용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무개는 불특정인이나 자신이 모르는 사람이나 이름을 언급하기 싫은 사람을 부를때 쓰는 인칭대명사 입니다.대명사 아므 와 어원이 불분명한 가히 가 합성이 되고 발음이 바뀌어 아무개가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터키는 어떻게 우리와 형제의 나라가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시대에 고구려와 우호관계였던 돌궐국 시절 고구려는 중국의 수나라, 당나라를 견제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멀리 있던 돌궐과 친선관계를 맺어 수나라, 당나를 견제하였습니다.그 후 6.25전쟁때 터키는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병력을 파병하여 한국을 도왔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유전무죄 무전유죄 외친사람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전무죄 무전유죄란 돈이 있는 사람은 죄가 없고, 돈이 없는 사람은 죄가 있다는 말로 지강헌 탈주 사건으로 유명해진 말입니다.198년 10월 8일 영등포교도소에서 공주교도소로 이동되던 25명 중 12명이 교도관을 흉기로 찌르고 탈주하여 서울 시내로 잠입하였고, 그중 지강헌이 있었습니다.이들은 흉악범이 아닌 잡범으로 사회보호법에 의한 보호감호 때문에 징역형을 마지고 보호감호를 받아여 한다는 것과 560만원 절도를 저지른 자신은 17년형을 받지만 72억워을 횡령한 전두환의 동생 전경환이 7년 선고에 그마저도 3년만에 풀려난 사실을 알고 불만을 갖고 탈주하였으며 인질극을 벌이면서 유전무죄 무전유죄 발언을 하였습니다.
학문 /
음악
23.01.04
0
0
스님은 왜 머리가 빡빡머리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교에서는 머리카락을 무명초라 하여 세속적 욕망의 상징으로 보기때문입니다.삭발은 세속에서 벗어나 구도의 대열에 들어선 출가자의 정신의 상징이며, 청정수행의 의미를 표현한것으로 수행자의 길을 걷겠다는 결의의 의미로 머리카락을 모두 밀는 의식을 갖습니다.
학문 /
철학
23.01.04
0
0
우리나라 최초의 터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터널은 아현,의영터널입니다.아현터널은 1904년도에 건설되었으며 경의선 아현터널 및 의영터널은 철도 부설에 따라 만들어진 국내 최초 터널로 약 100년 간 사용중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우리나라 최초의 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고조선 시대에 자모전이라는 철전이 존재했습니다.실제 자모전은 출토되지 않았지만 고조선의 8조법 중 기록상 남아있는 3개의 조항 중 50만전이라는 내용이 존재하니, 화폐가 있었다는걸 증명하는 내용으로 볼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왜 조선은 불교를 억압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진사대부는 고려 후기 충렬왕 때 안향에 의해 도입된 성리학을 수용한 사람들로 이들 중 일부는 급진사대부로 조선개창의 주역이 되고 고려 왕조를 지속하기 바랐던 온건사대부들도 낙향했으며 후학을 양성해 훗날 사림파과 되어 정권을 장학합니다.이들이 성리학적인 나라를 만들려는 이유는 그들의 사상 뿐만 아니라 고려 불교의 타락과 부패상을 고려 명말의 원인으로 해석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정조시대 탕평책의 한계는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탕평책은 사도세자의 죽음을 둘러싸고 벌어진 시파와 벽파의 갈등으로 더욱 강력한 탕평책이 추진되었으며 척신과 환관을 제거하고 의미와 명분에 합치되는 능력이 있는 사람을 중요하였으며 초계 문신제 시행하여 신진 인물 및 하급관리에 대한 재교육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려 하였습니다.정조는 규장각을 국왕의 권력과 정책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정치기구로 육성하려하였으며 장용영을 설치하며 국왕의 친위부대로 군사적 기반을 강화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었습니다.창평책은 정국의 파탄을 수습하기 위해 제시되었으며 정치세력을 재조정할수 있는 선에서 효력을 발휘하기는 하였으나 사회 변동의 충격을 바로 흡수하지는 못하였습니다.탕평책이 추구된 18C는 17C에 이어 사회 경제적 변동이 더욱 심화되어 사회 계급간의 대립과 마찰 등 혼란이 크게 일어난 시기며 부세의 가중에 따라 나타난 불만은 정치권에 대한 도전으로 나타나기도 하였으니 영조는 지배층 내부의 안정과 결속을 다지며 민심을 수습할 수 있는 방책을 강구해야 했는데 그 구체화가 탕평책입니다.탕평책은 정국 안정에는 기여하였지만 붕만이 고조외어 있던 기층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습니다.이 시기 근본적 해결책이 강구되지 않으면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풀어질수 없을 정도로 사회 구조적 모순이 극도로 심화되었으며 군주는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어느정도 양보하는 차원에서 일시적으로나마 기층민을 무마하고자하였습니다.영,정조의 탕평책은 붕당 정치의 말폐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것이 아니라 강력한 왕권으로 정파간의 극렬한 다툼을 억누르는 정도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