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임영웅 9999 열차가 뮌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영웅 가수의 공식팬카페 내에 임영웅 가수가 팬들에게 전하는 글을 올리는데, (영웅이가드리는말씀) 이라는 카테고리입니다.여기에 글이 올라오면 팬들이 답장을 하는데, 글이 9999명까지만 올라가는데, 그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2
0
0
크리스마스가 12월 25일이 전 세계적으로 지키는 것 같은데, 그런데 러시아는 1월 7일이라고 합니다 왜 이렇게 다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재 우리가 기념하는 크리스마스는 세계적으로 따르고 있는 그레고리력 날짜이며, 러시아는 오래전부터 동로마제국의 전통을 잇고자 율리우스력을 사용하였고, 혁명 후 소련시절 1918년부터 그레고리력을 따르기 시작했습니다.그래서 러시아의 옛날 사건을들 보면 날짜가 둘입니다.러시아가 믿었던 정교회는 교회력만큼은 율리우스력을 고수하고 있기때문에 정교회에서 기념하는 율리우스력을 따르며,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은 13일의 차이가 있으므로 1월 7일 크리스마스를 축하하는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2
0
0
예수의 국적은 어느 나라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수의 국적은 이스라엘이며 고향, 출생지는 베들레헴입니다.자란곳은 나사렛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2
0
0
설날에 떡국 을 많이 먹는데?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는 예전부터 가래떡은 양의 기운을 상징하고 길고 가늘게 만든 가래떡은 식구들의 무병장수와 풍요를 빌며 나누어 먹었습니다.긴 가래떡은 가래떡을 뽑을 때 떡을 길게 뽑듯 재산도 그만큼 늘어나고, 무병장수하라는 의미가 있으며, 흰색은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로 시작을 뜻하며, 떡을 썰면 마치 엽전모양과 비슷하여 이를 통해 재물이 불어나기를 기원하는 의미로 떡국을 먹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2
0
0
왜 새해에는 떡국을 먹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새해에 떡국을 먹는 풍습에 대한 유래는 정확하게 나와있는 자료는 없습니다.그러나 떡국을 먹기 시작한 시기는 고구려 유리왕 이전으로 보며, 최남선 조선상식문답에 따르면 상고시대부터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먹었던 음복음식에서 유래되었다고 기록되어있으며 조선시대 세시풍속을 담은 열량세시기, 동국세시기에는 떡국이 차례와 세찬에 꼭 필요한 음식으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 부족국가 시대부터 먹어온 절식이라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2
0
0
커피콩은 언제부터 가공하여 먹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커피는 이슬람 세력이 확장하면서 퍼졌으며 오스만 제국때부터 본격적으로 유럽에 전파되었습니다.어티오피아의 홍해 건너편 예멘에서 14~15세기 무렵부터 수피들에게 지크르시의 졸음 방지 목적으로 쓰이며 도입되었으며 아덴의 수피 출신 무프티 자말 앗 딘 무함마드 알 자부하니가 까흐와, 커피가 할랄이라는 차트와를 내립니다.이에 예멘 일대에서 커피가 공인되며 퍼지게 되었으며 15세기 말 예멘 북쪽의 이슬람 성지 메카로 전파된 커피는 예배를 드릴때 졸음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목적으로 음용되었습니다.또, 유목민들이 소,양이 뜯어 먹을 풀이 떨어져 이주하고자하면 해가 떠있을때는 그늘 주변에 있다가 해가 지고 나서야 이동하였는데 밤에 정확하게 목적지를 찾아 이동해 낮에 쉴 그늘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야간 이동을 위해 방향을 정확하게 알아야 하기 때문에 커피를 이용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2
0
0
해바라기 꽃의 특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바라기는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비목질 식물임에도 키가 크며, 원산지에서는 기본 4~8미터, 최고 기록은 12미터이며 꽃의 지음은 80센티미터까지 되며, 씨앗 또한 기름을 짜거나 식용으로 기르는 품종의 해바라기 씨는 500원짜리 동전에 가까운 거대한 씨앗으로 알려져있습니다.해바라기는 봉오리를 피우는 영양소 합성을 위해 봉오리가 피기 전까지만 해를 향하고 , 꽃이 핀 후 그대로 있으며 꽃에는 광합성 기능이 없으며 주광성도 없습니다.현재 해바라기는 부, 희망의 상징으로 많은 그림이나 사진을 집에 걸기고 하는 문화를 이끌고 있는 식물입니다.
학문 /
미술
23.01.02
0
0
커피는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커피 열매를 최초로 먹고 마신 지역은 기독교 분파인 에티오피아의 고원지대이며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양을 치던 젊은 목동 칼디가 하루는 양들을 데리고 좋은 목초지로 가던 중 양 몇마리가 이상한 열매를 먹고 잠도 안자고 밤새 뛰어노는 것을 보고 신기해서 먹어보고 각성효과가 있음을 발견해 재배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에티오피아에서는 서기 500~1000년경부터 커피를 마셨으며 초창기 커피는 콩을 빻고 볶아 빵에 발라 먹었으며 유목민들의 식습관에 어울리게 원두를 동물성 기름으로 뭉쳐 보존식품처럼 쓰는 방법도 있었습니다.서기 9~10세기 알라지가 커피 열매에 대한 기록을 남긴것을 보면 아랍인들과 페르시아인들 사이에 커피가 알려져있었지만 커피를 갈아서 마시지는 않고, 약재로 쓰였다고 합니다.목동이 커피콩을 먹은 뒤 각성효과가 있음을 알고 인근 에티오피아 정교외 수도원의 수도자들에게 양들이 이 콩을 먹더니 밤새 뛰어놀더라, 그래서 내가 먹어봤더니 각성효과가 있더라고 알였는데 수도자들은 이 열매가 악마의 열매일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불 속에 던졌고, 그 향에 빠져 커피를 볶아 먹게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02
0
0
서커스 예술단의 기원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커스는 고대 그리스-로마까지 거슬러 올라가 19세기가 되어서야 상업적으로 공연하는 단원이 생깁니다.현대적 의미의 서커스를 창시한 사람은 미국의 피니어스 테일러 바넘이며 그가 연출한 서커스의 후신인 링글링브러스 앤 바넘 앤 베일리는 지상최대쇼라는 슬로건을 걸로 첫 공연을 시작한 1884년부터 1960년대까지 전성기를 누렸습니다.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동춘서커스가 현재까지 간신히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1.02
0
0
블루스와 재즈에 차이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먼저 블루스는 흑인들이 미국에 강제로 끌려와 남부의 농장 노예로 살며 노동할 때, 신에게 기도드릴때 자신들의 한을 담은 노래를 하였는데 어둡고 우울한 분위기인 노동요, 영가 입니다.biues의 어원인 blue는 blue note의 어원이기도 하며 이 블루 노트가 흑인음악의 가장 기본적 음악특성입니다.흑인들은 자신들의 음악에 백인의 악기와 음악이론을 접목시키는데 백인들의 음계는 도레미파솔라시 7음계로 되어있는 반면 흑인들은 도 미♭ 파 솔 시♭ 5음계를 사용합니다.흑인이 화성학 등 백인들의 음악이론을 배우고 백인의 악기를 사용하면서 두 음악이 함쳐지게 되고 C7이라는 장조 분위기의 화성에 도 미♭ 파 솔 시♭라는 단조 분위기 음계의 멜로디를 사용합니다.이에 따라 미와 미♭이 만나며 불협화음이 생기는데 이것이 흑인 음악의 blue를 만드는 blue note 입니다.이 특성을 바탕으로 만들어진것이 초창기 블루스 입니다.재즈는 블루스에서 더 진화한 음악 형태로 흑인이 백인의 화성학 이론과 백인의 악기들을 받아들이면서 Blue notes, Improvisation, Poly-Rhythms, Syncopation, Swing 등 음악적 특색이 만들어진것이 재즈 입니다.
학문 /
음악
23.01.02
0
0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