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파랑새를 멀리서 차지 말라 라는 뜻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파랑새 동화를 보면 이해할수있습니다파랑새는 곧 행복을 의미하며 우리가 알고 있는 말처럼 행복을 멀리서 찾지 말라는 뜻으로 해석됩니다동화에서 계절의 배경이 겨울인데, 파랑새는 여름새이기때문에 겨울엔 열대지방으로 이동합니다그래서 동화에서도 집 안에서 키우고있으며 거울에 여름새를 찾는다는 내용 자체로도 충분히 이해하기 쉽습니다
학문 /
미술
22.12.14
0
0
포스트모더니즘이란 것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포스트모더니즘은 탈근대주의라 불리기도하며 근대주의로부터 벗어나 서양의 사회, 문학, 예술 등의 총체적인 운동입니다모더니즘은 17세기 계몽주의시대부터 2차세계대저뉴시기를 지칭하고 예술사에서는 19~20세기초중반 사이를 지칭합니다
학문 /
문학
22.12.14
0
0
가장 단기간에 배울 수 있는 악기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기간에 배울수있는 악기로는 칼림바 추천합니다칼림바는 울림통위에 나열된 금속막대를 손가락으로 쳐서 연주하는 것이라 체력소모도 적고 쉽게 배울수 있습니다그리고 오카리나, 우쿨렐레, 리코더, 하모니카 도 작은 악기로 쉽게 연주가 가능하니 고려해보세요:)
학문 /
음악
22.12.14
0
0
원초아와 초자아는 무엇을 말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프로이드가 얘기한 내용으로는 원초아, 즉 이드(id) 성욕과 공격욕의 본능적 욕구룰 관장하며 리비도라눈 에너지를 방출 합니다초자아, 수퍼에고(superego)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것으로 잘못된 행동에 대해 처벌로부터 형성되는 양심, 장한행동에 대한 긍정적 보상을 통해 형성되는 자아로 부모의 규범 내면화를 통해 발달한다고 하였습니다
학문 /
철학
22.12.14
0
0
여자들의 예뻐지고자 하는 욕구는 어디까지 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뻐지고싶다는 욕구는 요즘 사회에서는 남녀 구분없이 가지고 있는것 같습니다직업상 외모가 중요한 연예인 뿐만아니라 일반 직장인, 학생들도 남녀 구분없이 성형이나 피부관리 등을 원하는 사람도 있고 실제로 시술정도는 받는 사람도 많죠예뻐지고 싶은 욕구는 우리가 예쁜것을 갖고 싶고 좋아하는 욕구 같은 것으로 보면 될거 같네요또한 외모가 중요시되는 현대 사회에서는 더더욱 예뻐지고 싶은 욕구를 갖게 되는것 같습니다
학문 /
미술
22.12.14
0
0
손끝과 발끝이 시러워요. 왜 끝부분이 시러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제 진짜 겨울이 왔는지, 오늘 너무 추웠죠손발이 저릴 정도로 추웠으니 이 부분이 궁금한것도 이해가 가네요추울때 손발이 시린이유는 혈액순환 때문입니다날씨가 추워지면서 말초혈관이 축소되며 혈액순환에 방해가 되며 혈액의 최종인 손 발 끝부터 차가워지며 저려오는 느낌이 생기는 겁니다
학문 /
음악
22.12.14
0
0
세익스피어의 작품 중 로미오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로미오와 줄리엣이 4대 비극에 속하지 않는 이유는 두 주인공이 죽음을 빚어내는 비극적인 결말의 이유가 주인공들 사이에 갈등이나 성격적 결함이 아니라 주인공들을 둘러싼 두 가문에서 비롯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음악
22.12.14
0
0
사람은 고쳐쓸수없다 라는말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람은 고쳐쓸수 없다는 것은 인간은 본래 다원적이며 살아온 환경, 유전적 요인, 사회에서 받는 영향 등에서 경험과 학습이 쌓이고 변화합니다즉, 같은 사건이나 문제를 두고도 사람들 마다 각기 다른 생각과 판단, 행동등을 하므로 사람을 고쳐쓴다는것은 그의 습관, 성향 등을 전부 뒤집는것이나 마찬가지이므로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따라서 사람이 변화가 될 가능성은 있지만 굉장히 힘든 일이기때문에 극단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0
꿈을 갖어라 하는데 어떤꿈을 갖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꿈이라는 것이 단순히 커서, 어른이 되면 뭐할래? 등의단순한 직업을 뜻하는것은 아닙니다아이나 어른이나 자신이 생각하는 자아나 원하는 모습이 있을것이고, 그 모습대로 살아가기 위해 늘 상상하며 노력합니다이것이 꿈 입니다단지 직업이 아닌 어떠한 사람이 될것인지, 삶을 어떻게 살 것인지, 나라는 존재가 사회에서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사람인지, 타인에게, 가족에게는 어떠한 사람인지스스로 자신을 평가할 때 어떠한 평가를 내리게 될지꿈은 무궁무진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0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는 어떤 작품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영화는 상업용으로 제작된 연쇄극 1919년 의리적 구투 데 삽입되어있는 촬영분이며이것은 연극으로 판단하되 필름을 사용하여 촬영하고 스크린으로 상영을 했기때문에 부분적으로는 영화라 할수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2.12.14
0
0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