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실존주의 철학이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실존주의 철학은 이름 그대로 해석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본질 탐구의 철학으로 합리주의 철학을 반대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의 단독적인 현실적인간을 자각적 존재로, 실존의 구조를 인식하고 해명하려하는 철학적 사상입니다즉, 합리주의적 철학의 입장을 반대하고 있습니다
학문 /
철학
22.10.28
0
0
제사 지낼때 지방마다, 집집마다 조금 다르더라구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사가 진짜 여러집안마다 다르더라구요제사는 각 지방마다 놓이는 음식, 놓아두는 위치가 다 다르고이것이 전통적으로 이어오다가 자손들이 조금씩 변형해왔기때문에 다릅니다게다가 제사를 지내는 법이 기준에 맞게 딱 정해져있는게 아니라서 전해내려오면서도 조금씩 변형이 됩니다조상에게 예를 차리고 위로하는 행사이기때문에 그 의미에 중점을 두고 자손이들은 최대한의 예와 정성으로 제사를 지내면 됩니다:)
학문 /
역사
22.10.28
0
0
미술작품(그림,사진등)을 분할해서 구매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림을 구매하기에는 너무 고가이고 투자목적으로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고가의 그림을 분할해서 구매할 경우 보관이 용이하지 않기때문에 여러 플랫폼을 이용하기도 합니다고가의 그림을 1SQ단위(1cmX1cm)단위로 쪼개어 지분을 구매하고 되팔아 수익을 내는 구조를 뜻합니다
학문 /
미술
22.10.27
0
0
대만 육형석은 예술적 가치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파육을 닮은 육형석, 참 웃기죠그냥 보면 이게 뭔데 이래? 라고 생각하실수 있어요그런데 이 육형석은 실제로는 불투명한 갈색 옥을 사용한 예술작품입니다이 육형석은 자연적인 외형을 완벽하게 이용하였고 인간의 창조적인 감각을 이용한 최고의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고있습니다대만에는 돼지고기같은 육형석 외에 배추를 닮은 취옥백채 도있습니다
학문 /
미술
22.10.27
0
0
nft를 어떻게 받아드려야할지가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요즘 nft이 대해 미술계쪽에서는 여러 말들이 많죠반대와 찬성의 이유도 다들 타당하고 이해가 되기때문에 여러 고민이 생기고 판단을 하기도 어려울 것입니다본인의 주관적 관점과 미래를 생각해봄은 어떨까요?상업적이라 버블이라는 말도 많지만, 이제 예술도 배고픈 직업이 아님을 대중에게 인식시키는 기회가 되기도 하여 미술,예술계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써 오히려 더 뿌듯함을 느낄수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요?실제 보는것이 사진이나 동영상 등 파일형태로 소장된다 하더라도 현대상황에 맞게 작품을 알리고 남긴다면 그 또한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시대가 변하듯 많은 업계의 종사하는 사람들의 마인드도 바뀌어야 더 많은 발전을 이루지 않을까요?모쪼록 좋은 선택 하시길 바랍니다:)
학문 /
미술
22.10.27
0
0
독도의 날은 누가 어떻게 지정된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간단하게 설명하면 독도의 날은 대한제국 고종이 1900년 10월 25일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섬으로 제정한 날을 기념하는 날입니다독도의 날은 2000년 민간단체인 독도수호대가 제정하여 법령 제정일은 아니므로 달력에 표기되지 않습니다
학문 /
역사
22.10.27
0
0
모더니즘과 초현실주의의 차이점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더니즘: 1920년대 일어난 근대적 감각을 나타내는 예술상의 여러 형태입니다교회의 권위, 봉건성을 비판하고 과학, 합리성을 중시하며 근대화를 지향합니다또한 기계문명과 도회적 감각을 중요시하여 현대풍을 추구합니다초현실주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의 영향을 받아 무의식의 세계, 꿈의 세계를 표현하는 20세기 문학, 예술 입니다즉, 이성의 지배를 받지않는 공상, 환상의 세계를 중요시합니다
학문 /
미술
22.10.27
0
0
바로크시대 유명한 예술가가 누구누구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바로크시대에는 수많은 악기와 음악 형태가 출몰하던 시대였습니다음악가로는 독일의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영국의 프레데릭 헨델, 이탈리아의 안토니오 비발디가 가장 유명합니다바로크시대 미술은 역동적인 형태를 포착하는 것과 빛과 어둠의 대비를 극대화 시키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대표적인 화가로는 루벤스, 렘브란트가 있습니다바로크시대 건축은 전통에서 벗어나 비약을 시도한 고답적인 것이어서 말세적예술로 생각합니다대표적인 건축가는 베르니니, 보로미니 가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2.10.27
0
0
동방예의지국의 배경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방예의지국이라 함은 중국인들이 예로부터 우리나라를 예의가 밝은 민족인 나라로 평가하며 생겨난 말입니다"산해경"에 의하면 중국인들은 우리나라를 해 뜨는 동방의 예의지국 또는 군자국으로 칭하였습니다즉 동방예의지국은 동쪽에 있는 예의에 밝은 나라를 뜻합니다
학문 /
역사
22.10.27
0
0
미술계는 NFT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술계에서는 디지털파일로 존재하는 작품으로 인하여 기존의 실물 미술품을 대체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큽니다유화나 조각품의 경우 실물을 감상하거나 사진이나 동영상 등으로 감상하는 것과는 차이가 큰것 또한 이유입니다작가의 붓터치, 입체감, 작품의 규모 등은 화면상으로 느낄수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또한, 미술품을 소장하고 감상하는 문화보다 투자를 목적으로 하기때문에 거품을 조장한다고 보고있습니다
학문 /
미술
22.10.27
0
0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2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