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 전통민요 아리랑에서 아리랑이란 무슨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리랑의 의미는 확정된 바는 없습니다.가사 구절에서 연관된 의미를 찾아보면 아리다, 쓰리다와 연관지어 아리다의 원래 어형인 알히다는 앓다 에 -이 - 접사가 붙은 형용사형으로 뒤어 붙는 -앙,엉, -랑, 렁은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의태어를 만드는 접사일 가능성이있습니다.또 다른 주장은 ~랑~랑은 두 말이 서로 대조적일 때 사용하는 접사로 아리다는 외부적 고통, 쓰리다느 내부적 고통을 뜻하는 말로 아리고 쓰리고 하는 아픔이 낫다 라는 뜻이라고 전합니다.
학문 /
음악
23.10.21
0
0
중국이 한때 고구려를 하구려로라고 얘기한 인물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하구려는 중국의 전한 말기에 신나라를 세운 왕망이 고구려를 낮추어 이른 말 입니다.한 나라때에 고구려를 高句驪라고 불러 여서 사서에도 麗에 馬가 붙어 기록되었는데 왕망은 그에 반발하던 고구려 후를 죽이게 하고 고구려를 하구려로 개칭해 이를 천하에 공포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1
0
0
조선 태조가 전주이씨라고 하던데 전주이씨면 전라도 전주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주이씨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로 조선과 대한제국의 국성으로 조선의 왕족들과 대한제국의 황족이 가졌던 성씨 입니다.조선의 건국자이자 태조였던 이성계는 전주 이씨의 시조인 이한의 21세손입니다.
학문 /
역사
23.10.21
0
0
학교에서 견학가는걸 뭐라고 하죠?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학여행 개념이 아닐까요?초, 중 , 고의 각급 학교에서 학습 활동의 일환으로 관광지를 여행하는 것을 수학여행이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10.21
0
0
사자춤의 역사나 최초 시점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자의 탈을 쓰고 추는 춤으로 삼국시대에 서역으로 들어와 연행되었고 처음 사자가 우리 역사에 등장한 것은 지증왕 13년 512의 기록입니다.진흥왕 때 우륵 12곡 중 사자기의 이름이 나오고 최치원의 향악잡영 5수 중 산예는 바로 사자무에 대해 읊은 시 입니다.조선의 향토오락에 따르면 함경도의 경원, 종성, 회령, 무산, 경성, 어대진, 명천, 북청, 신창, 퇴조, 함흥, 장진, 함주, 정평, 영흥, 고원, 평안도의 벽동, 용천,순천, 강원도의 고성, 양양, 횡성, 원주, 경기도의 광주, 용인, 충청도의 아산, 경북의 울진, 경남의 통영 등에 사자놀이가 있던 것으로 나타납니다.
학문 /
역사
23.10.21
0
0
연필이 최초에 사용된 시점과 연필전에는 어떤것을 사용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세시절부터 납으로 된 필기구를 사용했고 실질적인 연필은 16세기 영국 보로데일 흑연 광산에서 채굴되는 질 좋은 흑연이 필기구로 쓸만하다는 것을 발견하며 시작되었습니다. 초기 흑연 조각을 나무에 묶는 형태였으나 이것이 발전, 가운데 구멍을 뚫은 대에 다듬은 흑연 심을 끼우는 펜촉과 같은 형태를 거쳐 이후 나무막대에 긴 심을 넣는 형태가 되어 보급되었고 18세기 들어 막대에 넣을 수 있는 크기의 흑연 덩어리를 캐기 어려워지자 프랑스의 화학자이며 화가이기도 했던 니콜라 자크 콩테의 주도로 흑연 분말과 점토를 혼합해 구워 내는 공법이 개발되었습니다.
학문 /
미술
23.10.21
0
0
백제 의자왕의 3천궁녀라는 잘못된 사실이 현재까지 와전되서 퍼진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천궁녀가 처음으로 언급되는 것은 조선 초기이며, 이는 문학적 수사로 그저 많은 궁녀를 거느렸다는 것입니다.그럼에도 일반 대중의 머리에 삼천궁녀는 사실 이라는 개념이 널리 퍼진 것은 국정교과서와 대중매체에서 이를 제대로 명시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대중의 역사상식과 실제 역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입니다.역사를 진지하게 다루는 창작물에서 삼천궁녀 자체를 묘사하지 않거나 아예 다른 방식으로 각색하곤 하는데, 김정산의 역사소설 삼한지에서는 의자왕의 삼천궁녀설이 김유신의 책략이라는 내용으로 등장합니다.또한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에서도 삼천궁녀 의자왕이라는 가사가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1
0
0
인류는 화장이라는 것은 언제부터 하기 시작했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장의 역사는 네안데르탈인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영국 브리스톨 대학교의 연구팀은 유적지에서 조개껍데기에 담긴 노란 색소와 붉은 빛의 파우더를 발굴, 네안데르탈인이 상당한 지능이 있던 인류였다는 주장으로 인간은 아주 오래전부터 스스로를 치장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던 것으로 봅니다.고대 이집트 시대의 기록이나 벽화에도 화장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온갖 재료들을 화장품으로 썼다고 합니다.화장이 처음으로 역사에 기록된 것은 기원전 수천년 전 이집트의 무덤 벽화인데 눈화장을 짙게 한 남녀의 모습이 등장합니다.
학문 /
역사
23.10.21
0
0
단군신화에서 쑥과 마늘중 마늘은 잘못된것이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어떤게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제 4대 세종 1443년에 간행된 향약집성방에 의하면 호 (葫)는 대산(大蒜=마늘)이며 산(蒜)은 소산(小蒜=달래)라는 문장이 있습니다.산(蒜)이 마늘이라는 말이 나온 것은 매운맛 식물을 산(蒜)으로 표현했는데 나중에 들어온 마늘이 대세를 장악하면서 산(蒜)하면 마늘로 굳어져 오류가 생긴것이라는 주장입니다.
학문 /
역사
23.10.21
0
0
사도세자와 영조는 왜이렇게 틀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시 영조는 장남 효장세자를 7년 전 안타깝게 잃고 다른 아들을 두지 못한 상태였고 42세의 고령으로 사도세자를 낳게 됩니다. 이 때문에 영조는 어렵게 얻은 늦둥이 왕자의 탄생을 매우 기쁘게 여기며 그를 아꼈습니다.그러나 사도세자가 4세때부터 학대가 시작되는데, 기대가 컸던 나머지 엄격하게 키우다보니 세자는 이미 9살때부터 영조를 만나기 두려워했고, 날씨가 흐린것을 두고 영조는 세자가 덕이 없어 그렇다며 꾸짖기까지 합니다.무엇보다 영조와 사도세자는 성격이 매우 달랐는데 한중록에서 두 사람의 성격을 설명하는데 영조는 꼼꼼히 살피고 재빠른 성품인데 세자는 덕성은 거룩해도 과묵하고 행동이 빠르지 못하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세자의 모든 일이 부왕의 마음에 들지 않았는데 평소 묻는 말에도 즉시 대답하지 못하고 머뭇거리면서 답하고 영조는 매번 갑갑하게 여겼다고 합니다.또 영조가 정통성 문제로 신하들에게 오래 시달렸다는 설로, 영조는 왕세제를 거쳐 즉위한데다 어머니 숙빈 최씨마저 무수리 혹은 그에 준할 정도로 신분이 미천했고 오죽하면 게장으로 이복형 경종을 암살했다는 항간의 소문에 까지 시달려야 했습니다.오히려 사도세자의 정통성에 문제가 있다면 어머니가 비록 후궁일지언정 양인 출신으로 추정되는 궁녀 출신이었고 별다른 사건을 일으키지도 않았으므로 오로지 아버지 영조뿐이고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영조가 사도세자를 질투했다. 열등감을 느꼈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3.10.21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