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한국에서 팥빙수는 언제부터 나오기 시작한 군것질 거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서빙고의 얼음을 관원들에게 나누어 주며 이를 잘게 부수거나 얼음 쟁반 위에 과일을 얹어 화채 등으로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고, 현대 한국에서 보편화되어있는 빙수는 20세기 초 일본에서 퍼져 있던 빙수가 당시 일제강점기였던 한국에 퍼지면서 시작된 것이라 할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9
0
0
서빙고로 정말 얼음을 만든다거나 보존을 시킬 수 있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석빙고는 장빙용 환경조절기술이 적용되어있습니다.온도 변화가 적은 반지하 구조로 한쪽이 긴 봉토 고분 모양을 갖추며 지붕은 2중 구조, 바깥은 석빙고 위에 흙을 아주 두껍게 올려 바깥의 열이 들어오지 못하게 만든 반면 안쪽은 열전달이 잘 되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져있습니다.천장은 아치형으로 5개 기둥에 장대석이 걸쳐져있고 장대석이 걸친 곳에는 밖으로 통하는 환기 구멍 3개, 이 구멍은 아래쪽이 넓고 위는 좁은 직사각형 기둥 모양이라 바깥에서 바람이 불때 빙실 안의 공기가 잘 빠져나오므로 복사열로 데워진 공기가 출입구에서 들어오는 바깥의 더운 공기가 지붕의 구멍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빙실 아래의 찬 공기가 바닥으로 내려앉아 오래 머물수 있어 얼음이 적게 녹았습니다.또 지붕에 잔디를 심어 태양의 복사열을 차단, 내부 바닥 한가운데는 5도 경사지게 배수로를 파 얼음에서 녹은 물이 밖으로 흘러나갈수 있는 구조였습니다.또 얼음을 왕겨나 짚으로 쌓아 보관했는데 이는 단열효과, 얼음이 약간 녹으면서 융해열로 주변 열을 흡수하게 되므로 왕겨나 짚의 안쪽 온도가 낮아져 그만큼 얼음이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9
0
0
풍수지리는 어디서 유래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풍수지리의 기원으로는 한반도 자생설, 중국으로부터 도입설이 있습니다.구석기시대부터로 한반도는 지형적인 구조에 있어 산이 많아 산악과 산신에 대한 숭배사상이 구석기 시대부터 전해져왔고 산신과 산악의 숭배사상은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여 독특한 지석묘문화를 형성했다는 것 입니다.또 신라 말기 활발해진 중국과의 문화 교류로 풍수가 더 발달하게 되었는다는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9
0
0
다른 나라임에도 국기가 비슷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 덴마크가 칼마르 동맹의 종주국으로서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노르웨이, 스웨덴, 폴란드 등 국가를 지배, 국가도 북유럽 국가 공통의 치우친 십자기를 쓰는데 이 치우친 십자 국기의 원조가 덴마크로 한때 덴마크의 지배를 받던 북유럽 국가들이 덴마크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음악
23.07.19
0
0
조선시대 세조의 정책과 그 효과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조는 육조직계제를 실시하고 세종대의 의정부서사제를 폐지했습니다. 육조직계제는 실무기관인 6조의 판서들이 국왕에게 직접 보고를 올리고 정책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왕권이 강해졌음을 의미, 이 시기 신하의 권력을 효과적으로 견제하는 국가 시스템 또한 처음 구축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9
0
0
고조선이나 삼국시대에 어린이들을 위한 간식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린이를 위한 간식이라는 것은 없었고, 남녀노소 즐겨먹는 간식으로 있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미역을 튀긴 부각, 콩 볶은 것, 조청 , 곶감 등 계절에 따라 즐겨 먹는 간식은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9
0
0
30년 전쟁에서 민간인이 학살된 사례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3차 스웨젠 전쟁 에서 개신교파 도시였던 마그데부르크에서 황제군 용병들의 대학살극이 벌어져 마그데부르크 시민 20,000명 이상이 학살당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9
0
0
프랑스 루브르박물관 구경하는 꿀팁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기시간이 짧은 카루젤 뒤 루브르를 통해 입장하며, 수요일에 방문하면 다른 요일보다 방문객이 적어 천천히 여유롭게 볼수있습니다.많은 작품 들 중 꼭 봐야하는 작품들로는 함무라비 법전, 밀로의 비너스, 모나리자 이며 순서대로 리슐리외관, 슐리관, 드농관에 전시되어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7.19
0
0
종이화폐는 언제 처음 고안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최초의 지폐는 중국 송나라의 교자 이며 10세기 말경 동의 부족을 막기 위해 쓰촨 등지에서 철화를 대신하는 임시 용도로 발행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9
0
0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 금메달 리스트는 레슬링 선수 양정모 입니다.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레슬링 자유형 62kg급에서 1위를 차지하며 대한민국 8.15광목 이후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을 따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9
0
0
910
911
912
913
914
915
916
917
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