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묵적지근이 어디서 나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령쪽의 사투리로 알고있습니다무근하다 - 몸이 개운하지않고 찌뿌듯하다묵근하다 - 묵직하다묵적지근하다 - 머리가 띵하고 무겁거나 가슴, 팔 다리 따위가 무엇에 눌리듯 무겁다이 정도 표현이 있습니다 :)
학문 /
역사
22.11.20
0
0
월드컵 경기는 누가 최초로 만든 것입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의 월드컵, 그리고 주관한 곳은 1930년 FIFA에서 주관하고닜으며 4년마다 한번씩 개최되는 축구경기입니다월드컵이라는 용어 자체가 이때부터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학문 /
역사
22.11.20
0
0
옛 로마인들은 왜 불편하게 누워서 먹었던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로마인이 누워서 식사하는 것은 자격이 있는 성인이 격식을 갖춘 식사에 참석해 요리를 먹을 때 취하는 자세였습니다로마시대의 만찬은 코스요리가 중심이였고 고대아시리아 왕국에서 고대 그리스을 거쳐 이탈리아 의 그리스 식민지와 북부 에루투이아 왕국을 통해 전해진 식사 풍속입니다이는 고대 지중해 세계를 제패한 승자의 식사문화였습니다
학문 /
역사
22.11.19
0
0
단일민족의 정의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일민족이란 단순히 피가 섞인것에 국한되는 뜻이 아닙니다공동체의식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국가에서 주민집단을 뜻하며 단일민족은 단 한번도 이민족의 유입이 없던걸 뜻하는것보다 이민족이 결국 원주민에 동화되어 하나의 정체성을 이루게된 집단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2.11.19
0
0
‘주마등’처럼 스쳐지나간다 의 주마등은 뭘 뜻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주마등은 안팎 두겹으로 된 틀을 안쪽에 갖가지 그림을 붙여 그 틀이 돌아감에 따라 안에 켜 놓은 등불로 그림이 종이나 천을 바른 바깥쪽에 비치게 만드는 등을 말합니다이에 비추어 머릿속에서 어떠한 생각 단면이 엮이어 빠르게 스쳐지나가는것을 뜻합니다
학문 /
역사
22.11.18
0
0
베를린 장벽은 왜 생겼고 어떻게 무너지게 됐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베를린장벽은 1961년 동북정부가 인민군을 동원하여 동배를린과 서방3개국의 분할점령 지역인 서베를린 경계에 쌓은 콘크리트로 된 담장입니다당시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을 자유로이 오가는것은 가능했고동독이 다른 사회주의 국가에 비해 잘 살기는 했으나 자본주의 나라가 된 서독만큼은 못했기 때문에 동독에 있는 사람들이 서독으로 대거 이동하게 됩니다이에 동독은 이것을 막기 위하여 모스크바의 허락을 받아 장벽을 설치하게 됩니다베를린장벽이 무너지게 된 계기는 서독에 있는 자신의 누나가 너무 보고싶어 베를린장벽을 넘으려 하던 페터페히터가 안타깝게도 총에 맞아 죽음으로써 발발합니다가장 결정적인 계기는 1989년 체제 변화를 요구하면서 동독의 한 교회에서 시위가 시작되었고 이것이 점점 번지기 시작하여 이를 달래기 위해 독일정부는 여행자유화 정책을 발표하게 됩니다여기서 공산당 대변인이 말실수를 하게 되는데-이제 동독 모든 시민들은 모든 국경을 자유롭게 통과할수 있습니다라고 발언하니 한 기자가 질문합니다-언제부터 국경을 개방합니까?-지금 바로 시행합니다라고 발언합니다이것이 전세계 뉴스에 퍼지고 국경개방소식에 시민들이 쏟아져 나오게 됩니다이때 양쪽의 시민들이 장벽을 부수기 시작하고 이후 동독체제는 자유화와 더불어 급하게 붕괴되며 1990년 10월 3일 통일을 선포하게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1.18
0
0
한국에서 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설에 떡국을 먹는것은 굉장히 오래전부터 유래해왔습니다상고시대 이래 신년 제사때 먹는 음복음식에서 유래되었습니다설에 먹는 떡국은 흰떡가락이 하얗고 길어 순수와 장수를 의미한다고 합니다떡국의 흰색은 새해 첫날의 밝음을 의미하고 하얀 국물은 묵은때를 벗어버리자는 의미를 가지고있습니다또한 흰색은 맑고 순수한 느낌과 새로운 탄생의 의미가 있으며둥근모양의 떡은 우리나라의 옛 돈인 엽전과 같습니다엽전과 같이 둥근 떡을 먹고 한해의 재산이 늘어나길 바라는 의미입니다떡국의 떡을 썰기전이는 긴 모양인데 이는 재산을 늘리고 장수의 의미미와 양의 기운을 뜻합니다따라서 떡국을 먹음으로써 새해의 봄을 맞아 풍년을 기원한다고 보면 됩니다
학문 /
역사
22.11.17
0
0
가을이 왜 '독서' 의 계절이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을이 독서의 계절이라는 것은 당나라때 문인 한유가 아들에게 독서를 권장하기 위해 부독서성남시 라는 시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 시를 보면때는 가을이 되어 긴 비도 마침내 개이고서늘한 바람이 마늘에 가득하구나이제 등불을 점점 가까이 할 수 있으니책을 한번 펴보는 것도 좋지 않겠는가로 가을은 책보기 좋은 계절로 등화가친 이라는 사자성어도 생겨납니다여름 내내 더위로 힘들때 가을이 오면서 서늘한 바람과 풍족한 열매들로 가득하니 마음의 여유가 생기고 계절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이유일수도 있겠습니다
학문 /
역사
22.11.15
0
0
후루꾸라는 표현의 어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후루꾸는 본래 Fluke 입니다요행을 뜻하는 영어단어로 일본식 발음인 후로꾸로 사용되며 말씀하신듯 당구장에서 흔히 사용되며 당구애호가들 사이에서 변형된 속어 입니다
학문 /
역사
22.11.15
0
0
터키의 나라 이름이 변경 되었는데 그 이유가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터키라는 나라 이름이 튀르기예로 바뀌었는데, 그 이유는영어에서 터키 (turkey)가 터키인들과는 상관없이 칠면조를 가리키고 속어로 겁쟁이, 패배자 라는 뜻으로 사용되기 때문에터키인의 땅 이러는 의미로 튀르기예 라 바뀌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1.13
0
0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