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분야 전문가입니다.
실명 인증
전화번호 인증
자격증 인증
답변 평가
답변 보기
작성한 답변 갯수
1,182개
답변 평점
4.9
(144)
받은 응원박스
11개
답변 평가 키워드
받은 답변 평가 125개
친절한 답변
45
자세한 설명
33
명확한 답변
27
돋보이는 전문성
20
최근 답변
입주 사전점검시 놓친 부분들은 하자 보수때 해결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각 공종별로 상이하지만 하자보수 기간이 있습니다. 그 기간 안에 하자가 발견되면 하자보수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시행사 또는 시공사 측에서 순순히 해줄지가 문제입니다. 많은 아파트들이 하자보수 신청을 했다가 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소송을 진행하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하자를 최대한 빨리 발견하고, 하자가 있는 다른 세대원들이 단체로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송 역시 단체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송으로 가게 될 경우 최종 승소는 하겠지만 그때까지 기간이 오래 걸릴 수 있고, 비용으로 지불 받게 되어 보수작업을 해줄 업자를 찾아서 진행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1일 전
0
0
튼튼한 교량이나 다리를 만드는 방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튼튼한 교량을 만들기 위해서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교각으로 잘 전달할 수 있게 해야 됩니다. 교각은 그 하중에도 잘 버텨주고, 지반으로 잘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교량을 만들기에 앞서 적합한 형태의 구조로 계획해야 합니다. 설치되는 환경이나 요구 사항에 따라 구조형식을 달리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구조체가 너무 비대해지기만 하면 안되기 때문에 적절한 부재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힘들 분산시키는 것입니다. 힘이 여러 부재로 분산되면 한 부재의 크기나 강도를 필요 이상으로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물론 강하고 크면 좋겠지만 그렇게 할 경우 공사비용이 합리적이지 않게 될 수 있습니다.) 다리는 구조물 자체로도 하중이 많이 작용하지만 그 위에 많은 차량이나 사람들이 지나면서 추가되는 하중도 있습니다. 이때 최대로 올라갈 수 있는 하중(여유치도 있습니다.)을 가정하여 구조계산을 합니다. 최악 보다 더 최악을 상정해야 평상시 문제가 없이 유지될 수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그 하중은 교각부로 전달되어 다시 지반으로 전달됩니다. 그러면 하중은 각 교각으로 적절하게 나눠서 전달되어야지 교각 한 개소가 부담하는 하중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교각은 그 하중을 견뎌낼 수 있는 강도의 부재와 크기로 만들어집니다. 교각은 힘의 분산이 필요하기 보다 지반으로 잘 전달하는 역할이기 때문에 하중을 버텨낼 수 있는 구조체이면 됩니다. 단순하지만 명확한 방법입니다. 교각에는 상부에서 전달되는 힘과 풍하중, 하중에 의해서 구조체가 회전하려는 모멘트 힘 등이 작용하는데 그로 인한 전단력도 발생합니다. 그리고 지반에서 분리되는 것도 안됩니다. 지반에도 잘 정착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하중이 작용하는데 그러한 요소를 다 견뎌낼 수 있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간단하게 하중을 버텨낼 수 있게 만들면 된다고 하지만 그 힘의 종류, 크기나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교각 하나도 복잡한 계산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유지관리가 용이해야 됩니다. 교량이 건설되면 아주 오랜 기간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위에서 다 설명하지 못했지만 교량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하중을 고려하여 적합한 형태의 구조와 강도를 갖춰야 튼튼한 교량이 건설된다고 생각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1일 전
0
0
아파트 우수관 위치를 정확히 알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우수관은 대부분 발코니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발코니에 위치합니다. 그리고 형태적인 특징이 윗층에서부터 내려오는게 노출된 형태라 구석에 수직배관이 드러나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외관상 큰 특징은 사진을 첨부하겠습니다.위 사진처럼 수직관이 아래로 연결되고 옆에 별도의 배수드레인이 있는 형태가 있습니다. 주로 세탁기나 실외기를 설치할 수 있는 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세탁기 배수관이나 응축수 배관을 인입하기 좋기 때문입니다.위 사진에 형태가 많이 보였던 형태입니다. 다른 배관을 인입하지는 않지만 물청소를 하면 배수가 되어야 할 때 이러한 형태로 설치합니다. 요즘은 배관 인입과 별개로 첫번째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사진의 형태가 보편적이니 구분이 쉬울 것이고 형태가 조금 다르더라도 천장에서 바닥까지 노출되어 있는 관경이 100mm 이상으로 큰 배관은 대부분 우수관입니다. 이는 우수관 유지보수를 위해서 노출시키는 것이라 아파트에서 숨겨져 있는 우수관은 없을 것입니다. 외벽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런 경우는 오래되고 낮은 아파트에서 가끔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1일 전
5.0
1명 평가
0
1
잉크
작성한 글
0개
받은 잉크 수
0
글 조회수
0회
잉크
최근 작성한 잉크 글이 없어요.
염정흠 전문가
EU건축사사무소
전문가 랭킹
24위
학문 분야
카카오톡
전화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