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중성지방이 죽상경화증 동맥경화에 결정적 요소는 아니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일단 지질 검사에서 포화지방은 측정을 안합니다.콜레스테롤만 다들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심혈관계 질환 예측 지표로 중성지방과 고밀도콜레스테롤 비율을 사용합니다. 아주 강력한 예측 인자입니다. 따라서 중성지방 또한 심혈관계질환에서 중요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4일 전
5.0
1명 평가
1
0
마음에 쏙!
100
쓸개에 0.3cm의 용종이 발견되었는데 경과를 지켜보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크기가 작아서 경과관찰하는게 맞습니다.저절로 소멸하는 경우도 있긴 하나 그때는 용종이 아니라 콜레스테롤용종이라고 일종의 지방이 떡진 것이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소멸되려고 특별한 노력을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정기검사를 통해 변화를 보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의료상담 /
내과
4일 전
0
0
수술후 꼬맨부위 조금 위에 얇은 비닐 재질이 살에 붙어있는데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사진으로는 명확하지는 않은데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비닐을 살에다가 묻어서 봉합했을 가능성은 많이 낮아보입니다. 까져있던 상피가 마르면서 하얗게 비닐처럼 변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피부 상피가 맞다면, 자세히 보시면 지문과 같은 주름 패턴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주치의와 상의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성형외과
4일 전
0
0
술마시고 얼굴이 빨개지기는 하지만 숙취는 없고 별로 취하지도 않는데 술 마셔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알콜을 마시고 홍조가 심하게 생기는 사람들은, 남들보다 알콜 대사능력이 떨어지고, 알콜에 과민하게 반응한다는 뜻이기 때문에 취하지 않더라도 가급적이면 술을 드시면 안되겠습니다. 술이 체질적으로 잘 맞지 않으신 분입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4일 전
5.0
1명 평가
0
0
침을 삼킬때 아픈느낌이 살짝이라도 들면 무조건 목감기에 걸리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이미 칼칼하고 따끔한 느낌이 있으면 인두나 편도쪽에 염증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목감기에 걸릴 수밖에 없는게 아니라, 사실은 지금도 목감기가 조금은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이후에 이것이 진행되어서 열이 나거나 가래가 나거나 통증이 더 악화가 되냐 악화가 안 되냐의 문제는 본인의 면역력과, 주변 환경, 바이러스의 독성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4일 전
5.0
1명 평가
0
0
술마시고 얼굴이 안빨개지게 하는 방법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술 안의 알콜 대사체가 유발하는 증상이기 때문에 어쩔 수 가 없습니다. 술을 안 드시는게 방법입니다. 얼굴이 빨개지는 것을, 백해무익한 술을 많이 먹지 않게 해주는 일종의 장치라고 생각하시기 바랍니다.술담배 하나도 못하는 사람이 술담배 왕창 실컷 즐기는 사람보다 건강하게 오래 삽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4일 전
5.0
1명 평가
0
0
위고비 0.25mg 투여중인데 메트포르민 복용가능여부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2형 당뇨환자에서 둘을 같이 처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즉 둘을 같이 사용한다고 해서 특별히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다낭성난소증후군과 다이어트 목적으로 처방 받을 때 국내에서 허가사항이 있는지는 불확실합니다. 처방을 해주시는 의사선생님과 상의를 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4일 전
5.0
1명 평가
1
0
고민해결 완료
100
왼쪽으로 누워있다가 갑자기 철렁임이 생겼어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이미 홀터 검사를 받아 보셨다면 부정맥 가능성이 낮으나 마침 48시간 검사를 받을 때 증상이 없었다면 검출이 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심장내과에 재방문하셔서 상담을 받아보시고, 추가적으로 심장이 두근거리는 것에는 불안장애와 같은 심리적 요인도 있을 수 있으니 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진료를 보시면 좀 더 도움이 될 수 도 있겠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내과
4일 전
4.0
1명 평가
0
0
밥 먹고 쉬고 있는데 심박수가 엄청 높게 증가했어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부정맥일 수도 심리적 요인에 의해 심박수가 올라갔을 수도 있겠습니다. 홀터 검사를 한 번도 안 해보셨다면 한 번 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내과
4일 전
2.0
1명 평가
0
0
항문외과 에서 쓰눈 국소마취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치과에서 쓰는 국소마취면 리도카인일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전신에 영향이 갈 정도로 투여하면 심장에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는 약이지만 국소 마취로 쓰면서 그렇게 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어쩔 수 없지만 의료 행위라는 것은 그 자체가 리스크를 안고 하는 것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내과
4일 전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