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피터팬은 어떤 교훈을 주기 위한 이야기였나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피터팬을 저는 1992년 개봉했던 '후크'라는 영화를 통해 보게 되었는데요. 무척 재미있게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그 후로도 많은 영화와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 진 이 피터팬이 주는 교훈은...영원히 어린아이로 살고 싶어하는 피터팬의 모험을 통해 성장과 책임감의 중요성을 알 수 있습니다. 네버랜드에서 자유롭고 재미있게 사는 피터팬은 진정한 행복을 느끼지 못합니다. 그는 자신의 가족과 친구들을 사랑하고 보호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웬디와 그녀의 형제들은 피터팬과 함께 모험을 즐기면서도, 언젠가는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들은 어른이 되는 것이 두려워도, 자신의 삶에 대해 결정할 수 있는 능력과 권리가 있음을 깨닫습니다.마지막에 피터팬이 웬디와 그녀의 형제들을 보내주면서, 자신의 선택에 대해 존중받고 싶다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이렇게 피터팬은 우리에게 어린 시절의 순수함과 상상력을 소중히 하라는 교훈과 동시에 어른이 되는 과정에서 겪게되는 도전과 기회를 놓치지 말라는 교훈도 주는 것 같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빕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0
0
2
소크라테스의 생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크라테스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정확한 출생년도는 알 수 없습니다.그는 따로 저서를 남기지 않았지만 그의 제자들과 여러 사람들의 기록을 통해 그의 삶과 사상을 알 수 있습니다.소크라테스는 석공이자 조각가였던 아버지와 산파였던 어머니의 영향으로 자연 철학과 기하학, 천문학 등을 공부했습니다.그는 공회의 원로로 정치에 참여하였고 철학적 대화, 문답법을 통해 인간의 덕과 지혜를 탐구하고, 자신과 타인의 무지를 인식하게 하였습니다.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아무것도 모른다고 고백하면서도, 실제로는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드러내기도 했는데 이를 소크라테스의 아이러니라고 하며, 이 때문에 그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적대시 됩니다.그는 '청년을 부패시키고 국가의 여러 신을 믿지 않는 자'라는 죄명으로 고소되어 기원전 399년 사형 선고를 받았습니다.그를 아끼는 친구였던 크리톤이 도주할 수 있도록 했지만 '악법도 법이다'라고 주장했던 그는 법과 도덕에 충실하기 위해 독약을 마시고 죽게 되었습니다.소크라테스의 사상은 그의 제자들에게 전해져 메가라 학파, 키니코스 학파, 키레네 학파 등을 이루고, 특히 수제자인 플라톤의 관념주의로 그 후의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빕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철학
23.07.10
0
0
우리나라 삼국시대에 신라가 아닌 고구려가 통일을 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도 '영토가 작았던 신라가 아니라 고구려가 통일을 했다면 참 좋았을텐데..' 라는 생각을 했었답니다.역사에는 '만약'이라는 말이 통하지는 않지만그래도 만약 고구려가 삼국을 통일 했다면 지금의 우리 영토가 한반도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고구려가 차지 했던 중국의 만주까지 우리 영토가 되지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아무래도 삼국 중 가장 강국이었던 고구려가 삼국을 통일했더라면 현재의 한국은 더욱 부강한 나라가 되지 않았을까요.지금처럼 남북이 분단되는 일도 없었을거구요.어찌되었든 삼국은 신라가 통일 했지만 영토가 작은 우리나라가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이 그래도 적지만은 않음을 감사해야 할 듯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
학문 /
역사
23.07.08
0
0
고집이 생겨나기 시작하는 시기는 언제쯤 일까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희 아이도 어릴적에 마트 바닥에 드러누워 울며 떼쓰던 생각이 나네요^^아무리 달래도 안되서 결국 원하는 걸 해줬는데ᆢ이렇게 아이에게 고집과 떼가 생기는 시기는 아이의 자의식이 강해지는 생후 18개월 무렵에서 시작된다고 해요. 물론 아이에 따라 개인차가 있기에 시기가 조금씩 달라질 수는 있습니다.그러다가 2살 무렵인 생후 24개월을 전후로 정점에 이르고 5세 이후가 되면 점점 줄어듭니다.이는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으로 아이들이 성장한 지금은 그 시절이 그립기도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
학문 /
철학
23.07.08
0
0
아크릴화를 배우고 싶은데 혼자 하려면 어느정도 배워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크릴은 유화보다 다루기 용이하며 다른 물감에 비해 가격도 저렴한 도구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기 때문에 쉽게 접할 수 있는 그림입니다.색의 배합에서부터 그림을 그리기 위한 비율 등 기초부터 쉽게 유튜브나 원데이 클래스 등을 통해 배우실 수 있고 혼자서도 그릴 수 있어 그림을 전문적으로 배워본적 없는 사람들도 부담 없이 배울 수 있습니다.색을 잘못 칠해도 덧 발라 수정하기 쉽다고 하네요^^한 두달 정도 꾸준히 연습하시면 근사한 작품을 남기실 수 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7.06
0
0
삼국지에서 방통은 어떤 인물이었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방통은 중국 삼국시대 촉한에서 178년 출생하여 213년 3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유비의 책사였습니다.방통의 자는 사원(士元)이고 호는 봉추(鳳雛)로서서는 유비에게 와룡과 봉추 중 한 사람이라도 얻으면 천하를 안정시킬 수 있다고 했습니다.방통은 외모가 별로로 우둔해 보이기까지 하여 그의 자질을 제대로 알아보는 이가 없었다고 합니다.그러다 사마휘가 그의 인물됨에 오나라 주유 휘하에서 공조로 일할 수 있게 추천했습니다.주유가 죽은 후 방통은 촉한 유비의 신하가 되었지만 방통의 재능보다 외모를 보고 판단한 유비는 그를 시골의 현령으로 보내게 되었습니다.그러다 장비가 그곳에 갔다가 방통의 재능을 알아보고 유비에게 천거했습니다.이어 그의 재주를 인정한 제갈량과 함께 군사중랑장(軍師中郞將)이 되어 유비가 촉(蜀)으로 진진했을 때 계책을 올려 익주를 얻는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
학문 /
역사
23.07.06
0
0
백제 수도 웅진는 지금 현재 지명으로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웅진은 백제의 두 번째 수도입니다.지금 현재는 충청남도 공주가 웅진입니다.백제의 첫번째 수도는 하남 위례성으로 지금의 서울입니다. 한성이라도 불렸는데 고구려 장수왕에게 함락되고 개로왕이 전사하면서 그의 아들인 문주왕 때 웅진으로 천도하였습니다.지금 남아 있는 유적으로는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벽돌 무덤 양식의 무령왕릉이 있는 송산리 고분과 벚꽃이 아름다운 공산성 등이 있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
학문 /
역사
23.07.06
0
0
신라의 이사금이란 말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사금(尼師今)은 신라 초기의 왕호(王號) 즉 왕을 부르는 호칭이었습니다.이 왕호는 유리왕(3대)부터 흘해왕(16대) 때까지사용되었습니다.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따르면 ‘이사금’이란 ‘치리(齒理)’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치(齒) 즉 이빨이 많은 사람으로 나이가 많은 연장자를 뜻하고 성스럽고 지혜로운 사람(聖智人)이라고 한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유리왕과 탈해왕이 서로 왕위를 사양하다가, 이빨의 갯수를 세어 이가 더 많은 유리왕이 먼저 즉위하였으므로 왕호를 이사금으로 하였다는 설화가 전해지고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
학문 /
역사
23.07.06
0
0
폭풍우를 그린 작가중 유명한 작가나 작품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러시아 화가 중 이반 아이바조프스키(Ian Aivazovsky; 1817~1900)가 폭풍우 치는 바다의 그림을 많이 그렸습니다.아르메니아 출신의 러시아 화가 이반 아이바조프스키(Ian Aivazovsky; 1817~1900)는 바다 경치를 즐겨 그렸고, 그의 그림에 폭풍우와 관련된 그림이 많이 있습니다.밑에 그림도 폭풍우 치는 바다를 그린 작품 중 하나 입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5.07
0
0
왜 조선시대에 백성들이 흰 옷만 입었나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의 일반 백성들이 흰색 옷을 즐겨 입었던 것은 순수해서라기보다는 비단이 훨씬 비쌌기 때문입니다.흰옷도 염색을 하려면 더 돈을 들기에 가난했던 일반 백성들은 주로 흰색의 옷을 입을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4.13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