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서양 고전음악이 교회 중심으로 발달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고전 음악뿐만아니라 초기 음악이 생성되었을때,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고대 문명에서도 음악은 종교의식에 사용되었습니다. 그이후 중세(500~1400)동안 카톨릭 종교의식에 음악이 사용되었구요, 르네상스(1400~1600)시대 문화예술이 번성했는데, 기독교문화가 유럽을 이끌었는데, 마드리갈,모테트,오페라가 만들어졌고, 바로크(1600~1750)시대에는 대위법등이 발전하며 훨씬음악이 복잡하고 화려해졌지요. 바흐나 모짜르트가 이시기에 활동했습니다. 그들역시 교회나 성당에 소속되어 음악을 작곡했지요. 그들이 모시고 있는 성주나 황제가 당시에는 교회의 권위안에 있었거든요!~
Q. 계이름은 어디서 유래된 걸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1C 귀도 다레쪼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당시에는 악보표기법이 없어서 일반시민이 연주하기가 힘들었습니다. 다레쪼는 성요한의 찬미가에서 첫소절이 한음씩 올라가는 가사로 웃트,레,미,파,솔,라 를 인용해서 사용하다가 웃트가 발음하기 힘들어 Dominus, (하나님)의 첫소절을 따서 도로 사용했다.17c에 와서 si 음절을 따와서 오늘날의 8음계를 완성했다.
Q. 옛사람들이 '이름' 이외에 '호'라는것을 사용한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호를 사용한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원효는 소성거사, 백결선생등 당시의 문헌에 기록이 되어있지요.거처하는 바를 따라 호를 짓고, 간직한것은 근거로 짓기도하고,얻은바의 실상을 호로하기도 하며,자신이 목표로하며 의지에 따라 짓기도 합니다.호를 쓰는 이유는 본관을 나태내지 않으려는것과 두개이상의 이름을 가지는 옛풍습에서 전해졌다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풍유와 멋을 담아 그 사람을 나태내는 풍아한 취미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좋을듯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