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강경원 전문가
부산진구남성합창단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세 유럽의 기사단은 얼마나 무거운 갑옷을 입고 싸웠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세 기사의 갑옷이 제대로 움직일 수 없을 정도, 심지어 80~100kg에 달할 정도로 무거웠다는 상식은 어떻게 된 것일까? 전혀 근거가 없는 낭설인 것일까?그렇지는 않다. 실제로 그만큼 무거운 갑옷이 존재하기는 했다.다만 그 무거운 갑옷은 실전용이 아니라 토너먼트용이었다.실전용 기사의 갑옷은 30kg정도로 알려져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팔공산이 국립공원 승격 이후, 천제단 복원 중점을 두는데 천제단의 역사적 의미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사기 등에 따르면 신라시대 팔공산은 '중악'으로 불리며 동악 토함산, 서악 계룡산, 남악 지리산, 북악 태백산 등 '오악(五岳)' 중 중심이었다. 신라 오악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제사를 지낸 곳이다. 국왕이 직접 국태민안을 기원하기 위해 하늘에 제를 올렸다. 중요민속자료 제228호인 태백산 천제단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태백산 천제단은 일제강점기까지도 천제를 지냈고, 지금도 개천절에 맞춰 제를 지내고 있다. 팔공산 비로봉 정상에도 천제단을 추정할 수 있는 장소가 있고, 흔적도 남아 있다. 이상과 같이 팔공산 비로봉 정상에 천제단을 복원해야 할 이유가 넘쳐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의 천문관측대는 언제 처음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 선덕여왕때 세워진 첨성대는 천문관측대로 동양에서 가장 오래 되고 유일한 석조 구조물이다.화강암으로 되어 있으며, 규모는 높이 9.17m, 윗지름 3.1m,아랫지름이 5.17m, 지대석 한 변의 길이가 5.35m이다.첨성대는 태양광선에 의해 생기는 해그림자를 측정해 태양고도를 알아내고, 춘추분점과 동하지점 특히 동지점과 시각을 결정하는데 쓰인 측경대(測景臺)였다는 말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불교는 언제부터 전파되었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 맨처음 불교가 전래된 것은 기록에 의하면 고구려의 17대왕인 소수림왕(小獸林王) 2년 즉, 서기 372년의 일입니다. 이해 2월에 중국의 북부에 자리잡고 있던 나라인 전진(前秦)의 왕 부견(符堅)이 순도(順道)라는 스님으로 하여금 불상과 경전을 보내옴으로써 공식적인 불교의 전래가 이루어진 것입니다.​2년 후에는 아도(阿道)라는 스님이 왔으며, 그 이듬해에는 초문사(肖門寺)와 이불란사(伊弗蘭寺)라는 최초의 사찰이 세워졌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국가간의 공식적인 전래로서, 그 이전에 민간 차원에서는 이미 불교가 이미 들어와 있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몽골음악중에 '흐미'라는 음악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흐미는 몽골의 전통 배음 창법이다. 가장 큰 특징은 한 사람이 두 사람의 목소리를 내는 듯한 기법이다. 들어보면 알겠지만 울리는 듯한 소리 같기도 하고 소리 두개가 겹친 듯한 느낌이기도 하다. 즉, 요들은 난이도는 높지만 후렴구에서 흉성과 두성을 빠르게 교체해야 하는 반면에 흐미는 한 번 부를 때 동시에 두 개의 소리를 내야한다는 뜻. 따라서 난이도가 높기로 유명한 요들보다 훨씬 더 어려운 창법이다. 그렇게 한 사람이 두 사람 목소리를 내는 듯한 창법은 초원의 바람 소리를 묘사한 것이라 한다.매우 어려운 창법이므로 몽골인들 중에서도 흐미를 잘 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그러나 비교적 몽골의 전통이 잘 남아 있는 서부 몽골 지역에서는 아직 흐미를 부를 수 있는 사람이 꽤 남아 있고, 이들을 중심으로 후학들을 양성해 전통을 보전하려 하고 있다.
1761771781791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