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강경원 전문가
부산진구남성합창단
역사
역사 이미지
Q.  회자정리라는 고사성어는 어디서 유래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처는 열반에 들기 직전 슬퍼하며 모인 제자들에게 말한다.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다. 만남에는 반드시 이별이 있다라고 즉, 너희들이 내 죽음을 슬퍼하지만만나면 헤어지는 것처럼, 산 생명은 반드시 죽게 마련이니너무 슬퍼하지 말라고 외려 제자들을 위로한 말인 것이다. 일전에 말한 도리 (道理) 중 필연 (必然)의 도리를 부처님도 설파하신 것이다. 불교의 경전에 세상은 덧없는 것이니 만나면 반드시 이별이 있다 고 했고,또 에는 흥성함에는 쇠퇴함이 있고 만남이 있으면 이별이 있다고부처님의 말씀을 전하고 있다. 여기서 회자정리 (会者定离)와 거자필반 (去者必返)의 말이 유래했다고 한다.하지만 그 속뜻을 생각해 보면 더 의미가 있다 하겠다. 세상만사 만남이 있고 헤어짐이 있는 것처럼즉, 영원한 게 하나도 없는데 무슨 집착과 욕심 그리고 연연함이 필요하겠는가? 사랑의 이름으로 연연하거나 집착하지 말고그저 순리대로 살며 특히 인간관계에 너무 연연하여 억지로 붙잡으려 하지 말라는 의미가 있다. 중국말의 顺其自然즉 순리대로 살라는 의미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홍길동전이 가지는 문학적 가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홍길동전에서 "평등 의식"은 존재하지 않고 홍길동 개인의 입지전일 뿐, 결코 계몽적인 메시지가 될 수 없다는 주장이 있다. 다만, 홍길동전이라는 소설에 대한 비평은 계몽성을 내부에 숨긴 대중소설이냐, 아무런 의미도 없는 단순한 오락 소설이냐를 분간하려는 논쟁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할 것이다.기본적으로 이 소설은 적서 차별 제도와 탐관오리의 횡포를 비판한다. 그 당시 사찰들이 자신들의 이권을 불리는 데 열중했기 때문에, 도적이 되어서 맨 처음으로 한 일이 바로 해인사 탈취였다. 즉 당시 시대 상황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볼 수 있다.홍길동전의 의의는 철학에까지 왕조 사상의 프로파간다 때문에 사회적인 발전이 늦었던 동아시아에서, 서얼 제도라는 '피부에 와닿는' 요소를 통해서 차별 제도의 근본적인 모순점을 파헤치고, 이를 대중 소설로서 널리 읽히게 만들었다는 점에 있다. 비교 대상은 현대적인 가치가 아니라, 당시의 계급 제도를 두둔하는 프로파간다, 이에 길들여진 대중 소설들 사이에 계몽적인 성향을 스며들게 만들었던 작가의 통찰력이라고 보아야한다. 또한 당시의 부조리했던 관리에 대한 비판도 담고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과 미국의 한미군사동맹은 언제 해 어느 시기에 체결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미군사동맹은 미국과 한국이 1953년 체결한 한미상호방위조약(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을 근간으로 하고 있습니다.미국은 현재 대한민국 이외에 유럽연합, 일본, 필리핀, 호주, 뉴질랜드,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등과함께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재미있는 건 이스라엘과는 상호방위조약이 체결되어 있지 않습니다.이중 유럽연합의 나토와는 전쟁에 자동참전하는 형식을 채택하고 있지만,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와는 자동참전조항이 없습니다.따라서 미국이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의회의 비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하지만, 정말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대학살, 선제 핵공격 등) 사실상 의회의 비준은 무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세금법인 대동법에 대해 쉽게 설명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납을 지방 특산물에서 미곡으로 바꾸어 통일한 조선의 조세제도. 1608년 경기도에서 처음 시행되기 시작하여 1708년에 완성되었다. 호역으로서 존재하던 각종 공납과 잡역의 전세화가 주요내용이었다. 대동법에서는 공물을 각종 현물 대신 미곡으로 통일하여 징수했고, 과세 기준도 종전의 가호에서 토지의 결수로 바꾸었다. 따라서 토지를 가진 농민들은 공납의 부담이 다소 경감되었고, 토지가 없는 농민이나 영세농민들은 이 부담에서 제외되었다. 대동세는 쌀로만 징수하지 않고 포나 전으로 대신 징수하기도 했다. 대동법의 시행은 조세의 금납화로 상품화폐경제의 발전을 촉진시켰으며, 임진왜란 이후 파국에 이른 재정난을 타개할 수 있었다. 또한 공인들의 활동에 의해 유통경제가 활발해지고 상업자본이 발달했으며, 공인의 주문을 받아 수요품을 생산하는 도시와 농촌의 수공업도 활기를 띠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도 장기적으로는 핵무장이 필요해 보이는데 자체 개발에 대해서 어떻게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옛날 박정희 대통령이 시도하던 계획이었지요.(자체 핵보유) 근데 유엔안보리나 주변국에서 무조건 가만두지않지요. 평화를 위해 강력한 힘을 가져야한다는게 아이러니하지만 걱정은 됩니다
2212222232242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