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강경원 전문가
부산진구남성합창단
역사
역사 이미지
Q.  커피의 우리나라 도입은 언제부터였을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커피의 유입은 조선의 천주교 전파와 함께 되었는데, 즉 1860년대 프랑스 선교사들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천주교 박해가 심했던 조선 순조 대에 프랑스 신부들은 커피를 마실 여유가 없었지만 한국 천주교 전래의 상대적 안정기라고 할 수 있는 철종 대에 프랑스 선교사들은 평소 몸에 배었던 프랑스식 식생활을 향유하려고 노력했다. 이때 자국에서 대중화되었던 커피를 마시면서 향수를 달랠 수 있었을 것이다.프랑스 선교사들의 커피 사랑은 그들이 본국과 소통한 서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파리외방전교회 극동대표부의 리부아(N. F. Libois) 신부에게 보낸 1860년 3월 6일자 서한에서 베르뇌(Siméon-François Berneux) 신부는 이듬해 조선으로 들어올 선교사 편에 커피 40 리브르(livre) 등을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베르뇌가 파리 신학교 장상(長上)인 루세이(Rouseille)에게 보낸 1861년 9월 7일 자 서한에도 커피 등이 반입되었음이 간접적으로 확인된다. 1863년 11월 24일 베르뇌는 리부아에게 보낸 서한에서 커피 50 catis(paquet)가 또 요청되었다. 이어 1865년 12월 4일 리부아에게 편지를 보내 설탕, 커피 각 100 리브르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만약 커피가 원활히 전달되지 않았으면 이렇게 지속적으로 요청했을 가능성이 없었을 것이다.한편 개항 이후 1880년대 중반부터는 조선의 일부 상류층들을 중심으로 커피 음용 문화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퍼시벌 로웰(Percival Lowell)이 간행한 1886년 저서에 따르면 1883년 보빙사를 안내하는 임무를 맡았던 로웰은 그해 12월 노고를 치하하는 조선 왕실의 초청을 받아 겨울 동안 조선에 머물렀다. 로웰은 1884년 1월의 추운 어느 날 경기도 관찰사(김홍집으로 추정)의 초대를 받아 한강 변 별장으로 유람을 갔는데 꽁꽁 얼어붙은 겨울 한강의 정취를 즐기던 중 “우리는 ‘잠자는 물결’이라는 누대 위로 올라 당시 조선의 최신 유행품이었던 ‘석식 후 커피’를 마셨다”라고 기록했다. 고종(高宗) 황제도 이 무렵에 커피를 접했다가 1896년 아관파천 이후 본격적으로 음용하여 커피 마니아가 되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우리조상들이 서로 돕고 도와주는 제도에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두레는 조선 후기 이앙법이 전개되면서 보편적인 농민생활풍습으로 정착되었으며 농민문화의 풍물을 발전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두레싸움·두레밥·두레기·두레놀이·풍습 같은 농민생활풍습의 바탕이 되기도 했다. 두레는 소농경영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조직되었으므로 공동노동으로서의 진취성과 농민들의 자주적 성격이 매우 강한 긍정적인 조직이었으며, 두레의 상부상조 전통은 아름다운 미풍양속으로 자리잡았다.품앗이도 이와같은 미풍양속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에서는 왜 이순신에 대한 평가가 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좋은것만 있는것은 아닙니다.이순신을 존경한다. 그러나 미치도록 죽이고 싶다. 이순신에게 진 나를 용서못하겠다..ㅡㅡ 그러나 이순신에게 졌기때문에 이해한다 등 전체적으로 봤을때 훌륭한 적군 장수에게ㅜ졌다는것을 인정할때 자신들도 높이 올라간다는 일본인의 꼼수도 있는듯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잉글랜드의 장궁병은 중갑옷도 뚫을 정도였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국군 장궁부대 천명이프랑스 기마기사(완전 철갑중무장) 만명을 상대로일방적 학살을 자행한 전투멀리서 날아오는 화살은 철갑을 걍 뚫어버려서근처에 가지도 못하고 프랑스 군 정예부대가 전멸왕까지 화살에 맞아 즉사이것으로 중세 천년 기사도의 시대는 끝
역사
역사 이미지
Q.  태조 이성계는 활 실력이 뛰어났다고 하던데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하추장수의 부하가 온몸을 갑옷으로 감싸서 빈틈이 없었는데 그의 말을 쏴서 말이 쓰러지자 놀란 장수의 입을 쏴서 죽인 일화가 가장 유명합니다. 지금도 그 장수가 도망가며ㅜ피를 흘린 바위가 있지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역사에서 메이지유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세기 후반 일본의 메이지 천황 때, 에도 바쿠후(江戶幕府)를 무너뜨리고 중앙 집권 통일 국가를 이루어 일본 자본주의 형성의 기점이 된 정치적, 사회적 변혁의 과정. ‘메이지(Meiji)’를 우리 한자음으로 읽으면 ‘명치(明治)’이다.메이지 유신은 천황의 작품이 아니라 신진 사무라이 세력이 구상하고 집행한 것이었다. 메이지 유신이 드라마에 즐겨 비유되는 것처럼 천황은 배우로서 드라마 속 역할을 연기했을 뿐이다.정권을 장악한 신흥 세력들은 곧바로 국가 대개조 사업에 착수했다. 먼저 지방분권 사회였던 일본을 중앙집권 사회로 뜯어고쳤다. 1869년 신정부는 영주들이 갖고 있던 영지 지배권을 천황 아래로 모으고 행정 기구 개편을 통해 구체제의 ‘번(藩)’을 ‘현(縣)’ 체제로 개편했다. 영주들은 이제 현의 지사가 되었다. 이 현 제도는 오늘날까지 일본의 지방행정 체제로 유지되고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에 컴퓨터 보급 역사에 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내 최초의 PC는 1980년 삼보컴퓨터에서 만든 SE-8001이다. 1980년에 처음 출시돼 이름에 8001을 붙였다. 이 PC는 미국에서 유학을 마친 이용태 박사가 직원 7명과 자본금 1000만원으로 삼보컴퓨터를 설립한 후 청계천의 조그만 사무실에서 개발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 SE-8001 컴퓨터의 가격은 무려 1000만원대로, 가정용이 아닌 기업의 회계 관리용으로 사용됐다.1982년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의 중형 컴퓨터인 PDP 11과 전자기술연구소의 중형 컴퓨터 VAX 11이 연결돼 국내 인터넷의 시초가 되는 SDN(System Development Network)이 처음으로 개통됐다. 그로부터 1년 후인 1983년은 정부가 PC 보급을 위해 ‘정보산업의 해’로 지정했다. 당시 8비트 교육용 PC를 모든 학교에 보급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에 따라 삼보컴퓨터를 비롯해 삼성반도체통신, 한국상역, 동양나이론, 금성사 등 5개사를 선정해 PC 보급 사업에 나섰다. 삼성반도체통신은 현재의 삼성전자이고, 동양나이론과 한국상역, 금성사는 각각 지금의 효성 컴퓨터, 한국컴퓨터, LG전자이다. 이 사업을 통해 삼성반도체통신은 SPC-1000이라는 컴퓨터를 개발했다. 이 PC에는 용량이 70KB인 메모리가 내장돼 있었는데, 현재의 스마트폰 메모리 용량이 최대 512GB인 것과 비교하면 하늘과 땅 차이지만, 그 당시 기준으로는 대용량 메모리였다. 금성사는 패미콤 FC-100, 삼보컴퓨터는 트라이젬 30(Trigem 30), 한국상역은 스포트라이트(Spotlight), 그리고 동양나이론에서는 하이콤 8(HYCOM 8)을 개발했다. 1984년부터 16비트 IBM PC 호환 기종 PC가 개발되면서 본격적인 개인용 PC의 시대가 시작됐다. 국내 최초로 판매된 IBM PC 호환 기종은 삼성반도체통신의 SPC-3000과 삼보컴퓨터의 트라이젬 88(Trigem 88)이었다. 최초의 286PC는 1985년 삼보컴퓨터가 선보인 트라이젬 28(Trigem 28)이었다. 1990년 SDN은 하나(HANA)망으로 이름을 변경하고 한국과 미국을 연결하는 해저케이블을 통해 글로벌 인터넷으로 성장했다. 1994년에는 코넷(KORNET)의 서비스와 함께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 WWW)이 등장했다. 인텔의 펜티엄(Pentium) CPU를 탑재한 국내 첫 펜티엄 PC는 1994년 대우통신에서 출시한 윈프로 펜티엄이었다. 1996년에는 LG와 IBM의 합작사인 LG-IBM PC 주식회사가 국내 컴퓨터 산업의 급성장을 이끌었다. 2007년 국내 컴퓨터 보급률은 80%를 돌파했고, 이듬해인 2008년 저렴한 노트북 PC가 출시되면서 2010년 노트북 출하량이 데스크톱 출하량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거문고를 만든 왕산악 인물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거문고의 제작자이며 거문고 연주의 대가이다. 『신라고기(新羅古記)』를 인용한 『삼국사기』에 의하면 진(晉)나라에서 보낸 칠현금을 개량하여 새로운 현악기를 만들었는데, 그 개량된 악기가 바로 오늘날의 거문고(玄琴)이다.당시 그는 고구려의 제2상(第二相)의 자리에 있었는데 그가 만든 새 악기로 100여곡을 지어 연주하였더니, 검은 학이 날아와서 춤을 추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새로 만든 악기를 현학금(玄鶴琴)이라고 하였으며, 뒤에 현금이라 불렀다고 전하여진다.그가 언제 거문고를 만들었는지는『삼국사기』에 언급되어 있지 않아서 불확실하다. 그러나 그가 거문고를 만든 연대는 문헌자료와 고고학자료에 의하면 4세기 무렵일 것으로 알려져 있다.즉, 357년에 축조된 안악(安岳) 제3호분 벽화에 그려진 거문고의 연주모습이나, 집안(集安) 무용총 벽화에 나타난 거문고의 연주 모습이 그러한 추정의 근거가 되는 고고학자료들이다. 그리고 고구려에 칠현금을 보낸 진나라는 서진(西晉, 265∼316)이 아니라 동진(東晉, 316∼419)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에 어린이 보호 구역은 언제부터 적용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95년 처음 지정되었다. 2003년부터 어린이 교통안전 대책의 일환으로 개선사업을 추진하여 현재 행정안전부 주관의 국가보조사업이다. 어린이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담당하고 있다.민식이법이 재정되어 3년전부터는 더욱 강화되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에 원나라에 간 공녀가 주로 귀족이라던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나라에서 그렇게 요구했을것이구요, 고려에선 화친의 목적으로 마치 서양에서 딸을 볼모로 이웃하는 나라와 사돈지간을 맺어 서로 동맹하듯 고려에선 힘없는 나라의 국방을 귀족의 딸을 보내어 맺고 싶었던 것이겠지요~
5152535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