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가장 작은 관악기인 하모니카 전공도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정식으로 하모니카만을 전공으로 개설한 대학은 드뭅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로 하모니카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한세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교 등 실용음악과에서는 일부 교수나 외래강사로부터 하모니카 레슨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전공은 아니지만 평생교육원, 음악학원, 문화센터 등에서 전문적인 하모니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기도 합니다.대표적인 하모니카 연주자로는 시각장애인 연주자인 전재덕씨, 박종성,김병철 등이 있습니다
Q. K-POP의 성공 요인과 글로벌 확산의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세련된 음악, 화려한 퍼포먼스, 감각적인 뮤직비디오 등 완성도 높은 콘텐츠가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습니다. 아울러 연습생 시스템 / 소셜미디어 활용 / 팬덤 문화 / 다문화 전략이 먹혀들어갔지요이러한 kpop 문화는 글로벌 문화 확산의 긍정적 영향을 끼쳤습니다.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했습니다.K-POP을 계기로 한국어, 한식, 한복, K-드라마 등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국가 이미지가 상승했지요^^한국이 창의적이고 현대적인 이미지로 전환되며 "문화 강국"으로 인식되는 데 기여했습니다.경제적 파급 효과가 엄청납니다.앨범 판매, 공연, 굿즈뿐 아니라 관광, 화장품, 의류 등 연관 산업의 수출이 증가했습니다.또한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이 한국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문화 간 이해와 소통의 기회가 확장되었습니다.그리고글로벌 Z세대가 K-POP을 통해 자신의 문화적 취향과 정체성을 공유하며 전 세계적인 문화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Q. 우리나라의 옛날 악보인 정간보는 아직도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네, 정간보는 현대에도 일부 영역에서 사용됩니다. 주로 전통 음악(국악) 분야에서 정간보가 활용되는데, 특히 정악(궁중음악)과 민속악을 연구하거나 교육할 때 종종 사용됩니다. 그러나 일반 대중이 접하는 음악에서는 서양식 오선보가 훨씬 더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국악 관련 교재나 학술 연구에서는 정간보가 원형 그대로 사용되거나, 현대적으로 변형된 형태로 제공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국립국악원이나 국악 교육 기관에서는 정간보와 오선보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Q. 우리 고유의 민속악인 판소리는 언제부터 불렸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판소리는 조선 후기(17~18세기)에 형성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민속 음악입니다. 정확한 기원에 대한 문헌 기록은 많지 않지만, 조선 시대 민간에서 유행하던 구비 문학과 민속 음악이 결합하여 발전한 것으로 보입니다.판소리는 초기에는 주로 서민층을 중심으로 공연되었으며, 이후 양반층에서도 관심을 가지면서 더욱 정교하게 다듬어졌습니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판소리는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등 다섯 마당이 정형화되었고, 이 시기에 명창들이 등장하며 황금기를 맞이했습니다.2003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면서 세계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유럽에서도 우리나라의 판소리를 듣고 감탄하고 그 뛰어난 문학과 경지에 존경을 보내기도 했습니다.한사람이 12시간 이상 노래를 부르다니요.... 세상에~ 오페라도 길어야 3시간인데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