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강상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전문가입니다.

강상우 전문가
현대중공업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헬륨풍선은 하늘에 뜨는데 무슨 원리 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헬륨풍선의 밀도와 공기의 밀도를 비교하면 헬륨풍선의 밀도가 작아서 하늘 높이 뜨는데 이유입니다.밀도란 단위부피당의 질량 값으로 표현합니다. 단순 헬륨이 공기보다 가벼워서란 말보다 더 적합한 표현이 되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복사, 대류, 전도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대표적인 열의 전달방식은 전도입니다.이는 특별한 것이 아니라 물질은 직접 이동하지 않고 열만 전달을 하는 방식입니다.조금 쉽게 말하면 학생들이 일렬로 서 있고 앞에 사람에게 물건을 주면서뒤로 전달!대류열을 가진 분자가 직접 가지고 이동하는 겁니다.즉 학생들이 일렬로 있고 가장 앞 학생에게 물건을 주면서뒤로 전달이라고 했는데 벌떡 일어나서 뒤로 간 다음 가장 뒷사람에게 직접 전해주는 방식입니다.복사열의 전달방식에서 말하는 복사란 학생들이 일렬로 있고 앞에 학생에게 물건을 전달하여 뒤로 넘기라는 것이 아닌열 그 자체가 가장 뒤 학생에게 직접 주는 겁니다. 쉽게 말하면 복사는 열 자체가 이동하는 건데요태양빛이 가장 대표적입니다.우주 공간에서 오는 태양빛은 그 자체가 직접 오는 것이기에 태양복사에너지라는 표현을 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무지개가 생기는 원리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에 무지개가 생기는 이유는 공기에 떠있는 물방울들과 빛의 에한 굴절로 인해서 반사가 되기 때문이다.무지개를 자주 볼수 있는 날은 꼭 비가 오는날이다. 소나기 가 내리는 날에는무지개가 더 잘 나타난다. 이유는 소나기는 물방울의 양이 많고 비가 그치고 난뒤에 공기중에 떠있는 물방울이 더 많기 때문에 무지개를 볼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 비가 오고난뒤에 갑자기 해가 쨍쨍한 날에 무지개가 더 많이 생기게 된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벌집은 왜 육각형인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꿀벌은 왜 집을 육각형 모양으로 지을까요?첫째, 빈틈이 없어야 하기 때문이에요. 육각형은 서로 잇대어 놓았을 때 빈틈이 전혀 없습니다. 그래서 불순물이 들어가지 않고 빈틈 없이 붙어 있어 꿀을 꽉 채울 수 있는 육각형을 선택한 거예요.꿀벌들이 원이나 팔각형으로 집을 지었다면 사이사이에 빈틈이 생기겠지요.둘째, 빈틈없이 딱 맞춰지는 도형 중에서 육각형이 넓이가 가장 넓어요.삼각형이나 사각형으로 집을 지으면 빈틈은 없지만 한 개 당 면적이 육각형보다 작아요.꿀벌은 여럿이 모여 살아요. 만약 혼자 살았다면 원 모양의 집을 짓고 살았을지도 몰라요.하지만 꿀벌은 여럿이 함께 살면서 꿀을 잘 보관하고 여왕벌이 낳은 알을 보호하려고 가장 튼튼하고 넓은 육각형 집을 짓는 거예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탄산음료에서 탄산을 물에 녹이는 방법?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탄산음료는 말대로 탄산을 갖은 이산화탄소를 물에 녹이는 것입니다. 자 여기서 이산화탄소를 어떻게 물에 녹일까요??그건 바로 압력에따른 상태 변화를 이용한 것이지요!!높은 압력은 기체를 액체로 액화 시킬수 있습니다 바로 이게 원리지요그래서 우리가 음료 뚜껑을 열면 압력이 낮아지면서 탄산들이 기화하기 시작한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의 서해쪽은 왜 밀물과 썰물이 존재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조수간만의 차는 서해 동해 남해 모두 발생하기 됩니다 다만 서해의 경우 수심이 얕아 해안 구조상 조차로 인해 물이 10m가량 빠지게 되면 갯벌이라고 불리는 곳이 나오게 되는 거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공전 속도는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는 시속 약 11만km, 즉 1초에 약 30km의 속도로 태양 주위를 달린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운동을 '공전'이라고 한다.그럼 지구가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얼마나 걸릴까?365일, 즉 한 바퀴 도는 데 1년이 걸린다. 2022년 1월 1일 출발해서 2023년 1월 1일에 드디어 제자리로 돌아오는 셈이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골다공증이 생기는 과학적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낮은 골밀도의 원인: 유전적 요인, 조기 폐경, 약제(스테로이드), 동반 질환, 흡연, 알코올, 류마티스관절염- 골절의 원인: 낮은 골밀도, 저체중, 과거 골절력, 부모 혹은 형제의 골절력, 흡연, 알코올, 류마티스관절염예방방법과도한 음주를 삼가하고 흡연은 중단하며 적절한 유산소 운동과 스트레칭, 제자리에서 뛰기 등과 같은 운동을 하여 골량을 유지하여야 한다. 짠 음식을 피하여 염분과 함께 칼슘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며 1주일에 2회씩은 약 15분 정도 햇볕을 쬐어 뼈에 필요한 비타민D를 충분히 합성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비타민 D 가 풍부한 유제품을 통해 섭취하는 것도 좋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 뱀장어로 전구를 킬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뱀장어에 전기선을 연결하여 전류만 흐르게 한다면전구를 키는데 문제 없습니다. 다만 전구다마가 버틸수 있는 저항값에 맞는 전류가 흘러야겠지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 눈의 흰자의 기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의 길이는 24mm 정도이며 탁구공만한 크기입니다. 눈의 구조는 역할에 따라 공막과 포도막, 망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공막은 안구의 가장 바깥 층으로 흰색을 띄고 있으며 눈의 모양을 유지시켜줍니다. 각막과 빛을 굴절시키는 방수, 수정체, 유리체액이 공막내에 존재합니다. 포도막은 혈관막이라고 하며, 홍채와 맥락막을 포함합니다. 포도막은 풍부한 혈관으로 눈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해줍니다. 망막은 눈의 가장 안쪽 층에 있으며 신경이 분포하는 층입니다. 망막 중 빛이 직접 도달하는 부분을 황반이라고 하며, 여기서 가장 세밀하게 빛을 감지합니다.
1811821831841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